Browse Archives | About the Journal | For Contributors | e-Submission |
Sorry.
You are not permitted to access the full text of articles.
If you have any questions about permissions,
please contact the Society.
์ฃ์กํฉ๋๋ค.
ํ์๋์ ๋ ผ๋ฌธ ์ด์ฉ ๊ถํ์ด ์์ต๋๋ค.
๊ถํ ๊ด๋ จ ๋ฌธ์๋ ํํ๋ก ๋ถํ ๋๋ฆฝ๋๋ค.
[ Article ] |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59, No. 5, pp. 105-117 | |
Abbreviation: J. of Korea Plan. Assoc. | |
ISSN: 1226-7147 (Print) 2383-9171 (Online) | |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24 Final publication date 17 Jul 2024 | |
Received 09 Apr 2024 Reviewed 10 May 2024 Accepted 10 May 2024 Revised 17 Jul 2024 | |
DOI: https://doi.org/10.17208/jkpa.2024.10.59.5.105 | |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연구 :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 |
김지원** ; 마강래***
| |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by Subjective Social Status | |
Kim, Ji-Won** ; Ma, Kang-Rae***
| |
**Ph.D. Student,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Chung-Ang University (w0228ww@gmail.com) | |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Chung-Ang University (kma@cau.ac.kr) | |
Correspondence to : ***Professor, Department of Urban Planning and Real Estate, Chung-Ang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kma@cau.ac.kr) | |
Funding Information ▼ |
In 2021, the government attempted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for residents in depopulated areas by designating 89 regions across the country as declining areas. While previous literature emphasized the need to consider heterogeneity among subgroups within declining areas, it mainly illuminated discrepancies based on objective and absolute status levels. This study, however,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subjective social status”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and conducted empirical analysis on their life satisfaction. The analysis revealed that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was higher compared to residents in non-declining areas. Particularly, this study found that the higher the 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and the subjective prospect of upward mobility, the greater the positive impact on life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The results of this study indicate the importance of considering “subjective social status” when examining disparities among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This implies that as local conditions change, the gap in life satisfaction among residents could widen further. This study on life satisfaction according to the socioeconomic status of residents in declining areas highlights the importance of policy support considering typification based on subjective social status.
Keywords: Declining Areas, Life Satisfaction, Subjective Social Status 키워드: 인구감소지역, 삶의 만족감, 주관적 계층 인식 |
수도권으로의 인구 쏠림 현상이 가속화되면서 지역의 쇠퇴 문제가 심화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는 1960년대 이후 산업화·도시화가 급격하게 진행되면서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이 심화되었고, 최근까지도 수도권으로의 인구 집중 현상이 지속되고 있다. 이러한 지역 간 격차가 심화되면, 개인 간 사회·경제적 격차가 커지고, 이에 따라 사회 통합이 저해될 수 있다. 정부는 지난 2021년 전국 89개 지역을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정해 2022년부터 10년간 매해 1조 원의 재원을 투입하기로 했다. 이러한 정책적 노력의 궁극적인 목적은 ‘거주민의 삶의 질 제고’라는 점에서, 관련 학술적 연구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도시의 크기, 인구규모, 인구밀도, 인구변화율 등 지역의 ‘인구변화’와 ‘삶의 만족감(life satisfaction)’ 간의 상관성에 대한 연구는 다수 존재하지만, 이들이 일치된 견해를 보이는 건 아니다. 먼저 인구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지역 거주민의 삶의 질이 낮아지고 있음을 밝힌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Delken, 2008; Berry and Okulicz-Kozaryn, 2011; Easterlin et al., 2011; Hollander, 2011). 관련 연구들은 인구증가지역에서 경쟁적 환경, 자연환경, 소음 등의 측면에서 부정적인 효과가 유발되며, 덜 밀집된 지역에서 삶의 질이 더 높은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 반면 큰 규모의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거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지역 거주민의 만족감이 낮아지고 있음을 지적한 연구도 다수 진행되어 왔다(Glaeser and Gyourko, 2005; Glaeser et al., 2016). 관련 연구에서는 각각의 국가, 공간 단위 등에 따라 일치된 결론은 없지만, 공통적으로 ‘지역 수준(regional level)’에서 거주민을 하나의 ‘동질적 집단(homoge-neous population)’으로 간주하고, 지역 여건과 거주민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에 대한 중요한 통찰을 제공하고 있다.
한편, 다수의 연구에서는 지역 내에서도 거주민들 간 사회경제적 편차가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임보영·마강래, 2016; 박인권, 2018; 박인권, 2020; 박인권 외, 2023). 관련 연구들은 공통적으로 인구집단의 평균적 수준에 집중해 왔음을 지적하고, ‘개인 수준(individual level)’에서 소득수준 등에 따른 하위집단의 이질성을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한편 삶의 만족감은 개인의 소득, 교육수준 등 객관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주관적인 계층 인식’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계층은 개인이 보유한 자원, 여건 등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주변과 비교해서 인식되는 상대적인 개념이기 때문이다(이용관, 2018). 특히 인구감소지역에서는 지역 간 격차가 커지면서 정보 접근성 및 기회의 격차에 따라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를 달리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객관적 조건상 우위에 있을지라도, 비교집단에 따라 상대적인 박탈감으로 인해 자신의 주관적 계층 인식에 대해 낮게 인식할 수 있고,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은 지자체의 여건이 열악해짐에 따라 자신의 계층을 더욱 부정적으로 평가할 가능성이 크다(이경영 외, 2018).
이를 종합해 보면, 거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지역의 쇠퇴에 차별적으로 반응할 가능성이 크고, 이로 인해 삶의 만족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존 문헌들은 특정 지역 내에서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하위집단 간 이질성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지역 정책에 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반면 절대적·객관적 수준에서의 하위계층 간 편차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상대적·주관적인 계층 인식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었다. 인구감소지역에서도 계층적 특성이 다양해지고, 거주민 간 사회·경제적 편차가 커지면서 거주민의 계층 인식이 다를 수 있고, 이는 삶의 만족감에 중요한 동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한국노동패널자료를 활용하여, 거주민의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 인식’의 조절효과 검증에 초점을 두고,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어지는 2장에서는 쇠퇴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과 관련된 이론적 논의 및 선행연구를 검토하였고, 3장에서는 실증분석에 활용한 사용자료 및 분석방법을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실증분석을 요약하였고, 5장에서는 연구의 결과가 가지는 사회적 함의를 정리하였다.
전 세계적으로 지난 수십 년 동안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대도시로의 인구 집중 현상이 나타났고, 이에 따라 지속적인 인구감소 현상을 겪는 쇠퇴지역에 대한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되어 왔다. 쇠퇴지역 대한 기존 논의는 주로 지역의 물리적 환경 특성에 주목해, 지역 여건을 개선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왔다. 하지만 2000년대 이후 지역계획 분야에서 ‘거주민의 삶의 질 향상(getting better)’이 강조되면서, ‘주관적 측도(subjective measure)’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어 왔다(강동우 외, 2020). 본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루는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도 이러한 흐름과 관련이 있다. 삶의 만족감은 ‘개인이 자신의 삶에 대해 느끼는 주관적 만족감(Diener et al., 1999)’, ‘자신의 삶에 대한 인지적, 정서적 평가(Diener, 2006)’, ‘개인의 전체 삶에 대한 주관적인 감정과 평가(Dolan and White, 2007)’ 등으로 다양하게 정의된다. 학자들은 삶의 만족감을 ‘삶의 질(Quality of Life, QOL)’, ‘주관적 삶의 만족도(Subjective Well-Being, SWB)’, ‘행복감(happiness)’ 등과 같은 다양한 개념을 유사한 의미로 사용하고 있다. 삶의 만족감은 연령, 직업 등 개인 특성과 가구소득, 주거유형 등 가구 특성에 의해서 설명되기도 하지만, 도시규모, 인구구성, 사회기반시설의 수준, 복지시설의 수준 등과 같은 지역의 여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강동우 외, 2020). 이때 지역의 여건은 주거환경, 교통환경 등과 같은 객관적, 물리적 특성뿐만 아니라, 이웃과의 관계, 지역사회에 대한 신뢰 등 주관적인 감정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다(Andrews, 1974). Speare(1974)는 지역의 정주 여건이 만족감에 영향을 주고 이를 통해 개인이 다른 지역으로의 이주를 결정하게 된다는 점에서, 지역 여건과 삶의 만족감 간의 관계를 강조한 바 있다. 또한 지역 여건은 직접적으로도 삶의 만족에 영향을 미치지만, 정주 만족을 높여서 삶에 대한 전반적인 만족감을 향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오영균, 2018).
한편, ‘장소의 번영(place prosperity) vs. 사람의 번영(people prosperity)’의 논쟁도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논의에서 중요하게 다뤄져 왔다(Bolton, 1992). 두 가지의 방식 중 어떤 방식으로 접근하느냐에 따라 인구감소지역 정책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이다. ‘장소의 번영’에 주목한 학자들은 거주민의 ‘전체’와 ‘부분’을 동일한 측면에 두고 접근한다. 이들은 지방정부가 주민의 복리 증진을 위해 다양한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해야 한다는 점에서,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은 ‘지역 수준’에서 다뤄질 필요가 있음을 강조한다(Crane and Manville, 2008). 반면 ‘사람의 번영’에 주목한 학자들은 지역 내 ‘인구집단 간 이질성’에 초점을 두고 있다. 특정 지역에는 개인 또는 하위집단 간 사회·경제적 편차가 존재하며, 차별화된 정책을 통해 사회적 형평성을 제고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기존 논의는 두 가지의 접근 방식에 근거해,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질, 삶의 만족감 제고에 대한 다양한 시사점을 제시해 왔다(Parra et al., 2010; 서재호 외, 2012; 박인권, 2020; 박인권 외, 2023).1)
기존 문헌에서는 인구변화율, 도시화 수준, 인구밀도, 도시 규모 등의 측면에서 지역의 쇠퇴와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을 조명해 왔지만, 이들이 일치된 견해를 보이진 않는다. 먼저, 도시화 수준이 높거나, 인구가 증가하는 지역에서 거주민의 삶의 질이 높다는 연구가 다수 존재한다(Delken, 2008; Berry and Okulicz-Kozaryn, 2011; Easterlin et al., 2011; Hollander, 2011). 대표적인 연구로는 Delken(2008)의 연구를 들 수 있다. 해당 연구에서는 독일 439개 구역을 세 가지의 유형(축소도시, 유지도시, 성장도시)으로 구분하여 주민의 전반적인 행복도를 살펴보았는데,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의 전반적인 행복도가 유지도시나 성장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에 비해 낮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Easterlin et al.(2011)은 경제 발전 수준이 낮을 때는 도시(urban)에서 삶의 만족감이 비도시지역(rural)보다 높을 수 있지만, 경제 발전이 일정 수준으로 진행되고 도시와 비도시지역 거주민 간 특성이 비슷해짐에 따라 삶의 만족감이 반전될 수 있음을 주장한 바 있다. Hollander(2011)는 미국의 38개 지역 중심도시를 대상으로 인구변화율에 따라 쇠퇴도시와 성장도시 주민들의 행복감의 차이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성장도시 거주민의 만족감이 쇠퇴도시에 비해 높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Hollander(2011)는 도시의 성장이 혼잡을 증가시키고, 통행시간의 증가, 주택가격의 상승 등 추가적인 사회적 비용이 발생하면서 주민들의 행복도나 삶의 만족감 저하로 이어질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반면, 큰 규모의 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일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거나,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지역 거주민의 만족감이 낮아지고 있음을 지적한 연구도 다수 존재한다(Glaeser and Gyourko, 2005; Glaeser et al., 2016). Glaeser and Gyourko(2005)의 연구에서는 도시의 쇠퇴로 인해 거주민의 삶의 만족이 저하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Glaeser and Gyourko(2005)는 도시의 쇠퇴에 따라 인구가 감소하면서 도시의 세수가 줄어들게 되고, 지자체에서 제공하는 공공서비스의 수준이 열악해질 수밖에 없음을 지적하였다. Glaeser et al.(2016)의 연구에서도 1950년에서 2000년까지 인구의 증감폭이 평균적인 수준보다 낮은 지역에 거주할 경우, 낮은 삶의 만족감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국내 문헌에서도 상반된 견해가 존재한다. 채종훈·서정원(2019)의 연구에서는 농촌지역과 도시지역에 거주하는 고령자의 삶의 만족감을 살펴보았는데, 농촌지역의 고령자가 삶의 만족감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권인혜·박인권(2022)은 도시-농촌, 수도권-비수도권 거주민의 주관적 삶의 질 수준 차이에 대해 검증하였는데, 해당 연구에서는 농촌 주민이 수도권 도시, 비수도권 도시 거주민에 비해 전반적으로 더 높은 행복도를 보이고 있었다. 이에 더해, 영역별 삶의 질에 대해서는 기초생활환경, 의료, 문화·여가 영역에서는 수도권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상대적으로 높은 반면, 일자리·소득, 환경, 공동체 영역에서는 농촌 주민의 삶의 질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반면 최영출(2018)의 연구에서는 대도시(서울, 광역시) 거주민에 비해 중소도시 및 농촌지역 거주민의 삶의 질이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권오규 외(2019)는 도시 규모에 따라, 도시의 쇠퇴(전년 대비 인구변화율)와 주민들의 삶의 만족감의 관계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소도시 거주민의 경우 도시의 쇠퇴가 주민의 삶의 만족감을 낮추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종합해 보면, 기존 문헌에서는 각각의 국가, 분석대상, 공간 단위(e.g. 성장도시 vs. 축소도시, 수도권 vs. 비수도권, 도시 vs. 농촌 등)에 따라 다양한 결과가 제시되고 있었다. 관련 연구는 지역 수준에서 거주민을 하나의 ‘동질적 집단’으로 간주하고, 평균적인 수준에서 주민들의 삶의 만족감 제고에 관한 정책적 시사점을 제시했다는 데 의의가 있었다.
다수의 연구에서는 지역 내에서도 거주민들 간 사회경제적 편차가 매우 크다는 점에 주목하고 있다(최민정·권정호, 2014; 임보영·마강래, 2016; 박인권, 2018; 박인권, 2020; 김지원 외, 2022; 박인권 외, 2023). 관련 연구에서는 기존 논의가 인구집단의 ‘평균적 수준’에 치우쳐져 있음이 지적되면서, 지역 내 거주민의 계급 또는 계층 특성에 따른 개인 간의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임보영·마강래(2016)는 삶의 만족도를 결정하는 요인에는 ‘개인 수준’과 ‘지역 수준’에서 차이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실증한 바 있다. 최민정·권정호(2014)는 농촌 거주 노인과 도시 거주 노인의 사회적 배제 수준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데, 여성, 고령자, 저학력자일 경우 경제적 불평등, 사회적 배제 수준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해 최민정·권정호(2014)는 지역 정책의 경우 인구학적, 사회·경제적 특성을 고려하여 특정 계층에 대해 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김지원 외(2022)는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socio-economic status)에 따라 지역의 쇠퇴에 차별적으로 반응할 수 있음에 주목하고자 하였다. 해당 연구에서는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계층은 수도권과의 상대적인 격차(e.g. 일자리, 문화, 의료 등의 기회)를 덜 체감하고 있지만,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은 계층의 경우 수도권과의 상대적인 격차에 대해 훨씬 심각하게 체감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에 대해 김지원 외(2022)는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편차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주장한 바 있다. 박인권 외(2023)의 연구에서도 지역의 규모별로, 물질적 조건(소득, 빈곤 등), 삶의 기능(건강, 교육수준 등) 등의 지역역량지표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하위집단 간의 만족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한편, 삶의 만족감은 개인의 소득, 학력 등의 객관적 특성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지만, ‘주관적인 계층 인식’에 따라서도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계층은 개인이 보유한 자원, 여건 등에 의해 형성되기도 하지만, 주변과 비교해서 인식되는 상대적인 개념이다(이용관, 2018). 따라서 주관적·심리적 요인, 비교집단과의 차이에도 크게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절대적·객관적인 지표만으로 규정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Jackman and Jackman, 1973).2)
삶의 만족감에 대한 ‘상대적 지표의 중요성’은 ‘이스탈린의 역설(The Easterlin paradox)’ 이후 활발하게 논의되어 왔다. Easterlin(1974)은 소득수준과 삶의 만족감이 서로 비례하는 관계를 갖지만, 소득이 일정 수준 이상일 때는 서로 상관성을 갖지 않음을 주장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Easterlin(1974)은 ‘절대 소득(absolute income)’이 일정 수준의 임계점(saturation point)을 넘어서면 삶의 만족감이 더는 증가하지 않으며, ‘상대 소득(relative income)’이 삶의 만족감 증대에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음을 강조한 바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기존 문헌에서는 개인이 자신의 계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의 ‘주관적인 계층 인식’ 또한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하고 있다(Campbell, 1976; Veenhoven, 2002; Oshio et al., 2011; 이연경·이승종, 2017; 김재우, 2019). Campbell(1976)은 개인이 객관적 환경이 아니라 ‘인지된 환경’에 반응한다는 점에 주목하여, 객관적 조건과 주관적 인식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는데, 개인의 객관적인 조건보다 주관적인 평가가 행복과 더 강한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Oshio et al.(2011) 또한 소득에 대한 개인의 ‘인지된 불평등’이 객관적인 가구소득 수준에 비해 행복에 더욱 큰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실증한 바 있다. 이연경·이승종(2017)은 객관적 계층 및 주관적 계층의식이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는데, 객관적 계층보다 주관적 계층의식의 상대적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밝혀졌다. 해당 연구에서는 거주지에 따라 소득, 교육의 기회 등 객관적 조건이 달라질 수 있고, 비교 대상, 준거집단의 차이로 인해 사회계층 인식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는 점에서, 거주지와 주관적인 계층 인식의 상관성이 조명되기도 하였다. 김재우(2019)는 주관적 사회계층 인식이 객관적 지표들과 독립적으로 삶의 만족도에 근인으로 작용하며, 하위집단별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른 기회의 불평등을 줄일 수 있는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논의는 객관적 조건의 향상만으로 삶의 만족감을 담보할 수 없으며, 개인이 실제 인지하는 ‘계층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 또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역설하고 있다.
선행연구를 종합해 보면, 인구가 감소하면서 거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지역의 쇠퇴에 차별적으로 반응하고, 이로 인해 삶의 만족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기존 문헌들은 특정 지역 내에서도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하위집단 간 이질성이 있음을 강조하면서, 지역 정책에 차별적으로 접근할 필요성을 제시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반면 인구감소지역 내 절대적·객관적 수준에서의 하위계층 간의 편차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주관적인 계층 인식’에 대한 논의는 상대적으로 부족한 실정이었다. 인구감소지역의 경우, 사회·경제적 변화에 대응하는 능력이 약한 취약계층이 다수 분포해 있으며, 주관적인 계층 인식에 따른 다양한 편차가 존재할 수 있다. 또한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을지라도, 주관적 계층 인식이 낮을 수 있고, 이는 삶의 만족감에 주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을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노동연구원의 25차(2022년) 한국노동패널조사(Korean Labor & Income Panel Study, KLIPS) 자료를 활용하여,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이 조사는 도시지역의 가구, 가구원을 대상으로 1차 조사(1998년) 이후 현재 25차(2022년)까지 매년 1회씩 추적조사된 패널자료이다. 한국노동패널조사에는 개인 및 가구의 연령, 소득, 직업, 교육수준, 거주지 등에 대한 정보를 담고 있다. 이외에도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주관적인 삶의 만족감’, ‘계층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e.g. 주관적 사회경제적 인식,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 등)’ 등의 문항을 묻고 있어,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 활용하기에 적합하다.
실증분석의 주요 분석대상은 한국노동패널조사의 25차(2022년) 시점 응답자 4,025명 중 ‘인구감소지역 거주민’과 ‘인구증가지역 거주민’으로 구분된다. 기존 문헌에서는 인구 지표를 활용하여 지역의 유형을 구분하고 있는데, 본 연구는 구형수 외(2016)에 기반한 강은택(2020)을 참고하여 인구감소지역을 구분하였다. 강은택(2020)은 인구감소의 기간 및 변화 패턴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최근 10년 동안의 연평균 인구변화율이 0% 미만인 지역을 축소, 0% 이상인 지역을 성장·안정 유형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5년 단위의 단기적인 변화 패턴에 따라 다시 네 가지 유형(지속적 축소, 일시적 축소, 지속적 성장·안정, 일시적 성장·안정)으로 구분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해당 기준을 적용하여, 우리나라 77개 지역(특별시, 광역시 제외)을 대상으로 인구감소 패턴을 분류하였다. 실증분석에 활용한 인구감소지역 분류 결과는 <표 1>과 같다.
앞서 살펴본 인구감소지역 선정기준에 따라 우리나라 77개 도시(특별시, 광역시 제외) 중 약 34개(44.2%)는 지속적 축소 패턴(유형 A)을 보이며, 32개(41.6%)는 지속적 성장·안정 패턴(유형 F)을 보이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속적 축소 패턴을 보이는 도시의 경우 수도권은 8곳에 불과하지만, 비수도권은 26곳으로 나타났다. 반면 지속적 성장·안정 패턴을 보이는 도시는 수도권 17곳, 비수도권 15곳으로 골고루 분포하고 있었다. 수도권 도시는 모두 경기도에 속해 있고, 비수도권 도시는 대부분 비수도권 지역에서도 대도시권에 속해 있는 곳들로 확인되었다. 이외 일시적 축소 패턴(유형 B·유형 C)을 보이는 도시는 5개(6.5%), 일시적 성장·안정 패턴(유형 D·유형 E)을 보이는 도시는 6개(7.8%)로 확인되었다. 실증분석에서는 지속적 축소 패턴을 보이는 도시(유형 A)를 ‘인구감소지역’으로, 지속적 성장·안정 패턴을 보이는 도시(유형 F)를 ‘인구증가지역’으로 분류하였고, 이외 유형은 분석에서 제외하였다. 총 4,025명의 응답자 중 본 연구의 실증분석 대상은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은 2,402명(59.68%), 인구증가지역 거주민은 1,623명(40.32%)으로 구분된다.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실증분석에서는 ‘삶의 만족감’을 종속변수로, ‘개인 특성 변수’, ‘가구 특성 변수’, ‘계층 특성 변수’를 독립변수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활용한 변수와 기초통계량은 <표 2>와 같다.
먼저 종속변수는 ‘5년 후 예상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 문항을 활용하였다. 한국노동패널조사에서는 삶의 만족감을 ‘현재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 ‘5년 후 예상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 등의 문항을 제공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앞으로 자신의 삶이 더 만족스러울 것이라는 희망 또는 기대’를 담은 미래에 대한 주관적 만족감의 중요성을 강조한 Diener et al.(1999)의 연구를 참고하여, ‘5년 후 예상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 문항을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노동패널 조사에서는 향후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에 대해 ‘-님께서는 5년 후, 전반적인 삶에 대해 얼마나 만족할 것으로 예상하십니까’라는 문항으로 묻고 있고, 답변은 ‘① 완전히 만족할 것이다, ② 만족할 것이다, ③ 보통이다, ④ 전혀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 ⑤ 만족하지 않을 것이다’의 5점 리커트 척도(Likert scale)로 구성되어 있다. 실증분석에서는 해석의 편의를 위해 높은 점수가 향후 삶에 대해 높은 만족감을 가지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도록 역코딩(reverse coding)하였다.
독립변수는 삶의 만족감을 다룬 여러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개인 특성, 가구 특성, 계층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먼저 개인 특성의 경우, 성별, 연령, 연령제곱, 혼인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 등으로 구성하였다. 주관적인 건강상태 변수는 세 가지의 범주(좋음, 보통, 안 좋음)로 구분하였다. 가구 특성 변수는 가구원 수, 맞벌이 여부, 거주유형, 주택 점유형태, 가구소득, 부동산자산, 주관적인 경제상태 변수로 구성된다. 가구소득은 평균적인 수준을 고려하기 위해 강은택·마강래(2014)를 참고하여 가구소득 동등화지수를 적용하였는데, 작년 한 해 총 근로소득을 가구원 수에 루트를 취합 값(=가구총소득/루트 가구원 수)으로 산정하였다. 부동산자산 변수는 거주주택, 거주주택 외 부동산을 모두 더한 후 로그값(log)으로 변환하였고, 주관적인 경제상태 변수는 세 가지의 범주(여유 없음, 보통, 여유 있음)로 구분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계층 특성 변수로는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o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subjective socioeconomic status)’,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subjective prospect of upward mobility)’이 포함된다.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의 경우,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소득, 직업, 교육수준 등의 세 가지 요인을 결합하여 조작적으로 정의하고 있다(여유진, 2008; 김수희 외, 2018). 이에 기반해 본 연구에서도 소득, 직업, 교육수준 정보를 점수화하여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를 정의하였다. 보다 구체적으로, 소득은 개인의 근로소득을 4분위(180만 원 미만, 180만 원 이상~250만 원 미만, 250만 원 이상~370만 원 미만, 370만 원 이상)로 구분하였다. 직종의 경우 한국표준직업분류체계에 따른 사회경제적 지위의 직종 분류를 참고해, 4분위(단순기능기타/무직, 서비스판매직/농어업, 사무직, 전문관리직)로 구분하였다. 교육수준은 4분위(미취학/무학/초등(초졸), 중등/고등(고졸), 2년제 대학, 4년제 대학/석사/박사)로 구분하였다. 이를 통해 소득, 직종, 교육수준의 4개 범주에 대해 점수를 부여하였고, 3~12점으로 환산해 분석에 활용하였다.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은 주로 설문조사를 통해 ‘자신이 어느 계층에 속한다고 생각하는지’에 대한 주관적인 답변으로 측정된다. 노동패널조사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은 ‘귀하의 현재 사회경제적 지위(소득, 직업, 교육, 재산 등을 고려)는 어디에 속한다고 생각하십니까?’라는 질문에, ‘① 상상, ② 상하, ③ 중상, ④ 중하, ⑤ 하상, ⑥ 하하’ 중 하나에 답하는 방식으로 측정되고 있다. 반면에, ‘주관적 계층상승 가능성 인식’은 실제 계층상승 여부와 상관없이, 계층이 상승할 수 있다는 희망을 의미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동패널조사에서는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에 대해 ‘-님은 우리 사회에서 누구나 열심히 노력한다면 개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아질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하십니까?’의 문항으로 제공하며, 응답은 ‘① 매우 그렇다, ② 대체로 그렇다, ③ 별로 그렇지 않다, ④ 전혀 그렇지 않다, ⑤ 잘 모르겠다’이다. 두 가지의 주관적 계층 인식 변수는 해석의 편의를 위해 역코딩하였으며, 높은 값일수록 자신의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계층 상승 인식에 대해 긍정적인 응답을 의미한다.
실증분석에는 ‘순서형 로짓모형(Ordered Logit Model)’을 활용하였다. 실증분석에서의 종속변수는 ‘5년 후 예상하는 전반적인 삶의 만족감’으로, 1~5점 사이의 리커트 척도 응답 값을 가지는데, 리커트 척도가 종속변수일 경우에는 동일한 척도 간의 차이를 가정할 수 없다. 이때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게 되면, y=0, y=1 간의 차이와 y=1과 y=2의 차이를 동일한 크기로 간주하는 OLS 선형회귀모형의 가정을 고려하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활용한 순서형 로짓모형의 식은 식 (1)과 같다.
(1) |
위의 수식에서 y*는 실제로 측정할 수 없는 잠재변수(latent variable)를 의미하고, x는 독립변수, ϵ는 오차항을 뜻한다. 다음의 식 (2)에서 y는 측정이 가능한 피조사자의 응답으로, 응답자의 선택 대안이 N개라고 한다면, y*와 y간의 관계는 이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μ를 통해 표현된다.
(2) |
본 연구의 실증분석은 크게 두 가지 단계로 구분된다. 먼저 첫 번째 단계에서는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에 대한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호작용항의 영향력을 확인하려 했다. 다음으로, 두 번째 단계에서는 인구감소지역 거주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력에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특히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의 상호작용항을 구성하여, 주관적 계층 인식이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을 조절하는지를 검증하려 하였다.상호작용항 변수는 다중공선성(multicollinearity) 문제를 고려하여, 평균중심화(mean-centering)를 통해 생성하였다.
실증분석에서는 순서형 로짓모형을 활용하여, 인구감소지역 거주에 따른 삶의 만족감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였다. 특히 본 절에서는 ‘인구감소지역’과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의 상호작용항 변수를 중심으로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검증하려 하였다. 실증분석은 상호작용항을 포함하지 않은 <Model 1-1>과 상호작용항을 포함한 <Model 1-2>로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는 <표 3>과 같다.
<표 3>의 주요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먼저 개인 특성 변수의 경우, 성별, 연령, 연령제곱, 혼인상태, 주관적인 건강상태가 통계적 유의성을 보이고 있었다. 연령과 연령제곱 변수의 경우, 각각 삶의 만족감에 음(-)의 영향,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연령이 증가할수록 만족감이 낮아지다가, 일정 연령을 지나서 다시 만족감이 높아지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기혼자일 경우, 주관적인 건강상태에 대해 건강하다고 인식할수록 삶의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가구 특성 변수는 가구원 수, 맞벌이 여부, 거주유형, 가구소득, 주관적인 경제적 상태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맞벌이 가구인 경우, 아파트에 거주하는 경우, 가구소득이 높을수록 높은 삶의 만족감을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경제적 상태에 대해 여유가 없다고 생각하는 경우에 비해 여유 있다고 인식하는 경우에 삶의 만족감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인구감소지역 거주 변수는 삶의 만족감에 양(+)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인구가 감소하는 지역에서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이 높음을 보고한 여러 선행연구의 결과와 유사하다고 볼 수 있다. Barreira et al.(2017)은 일반적으로 축소도시에 거주하는 주민의 만족감이 낮을 거라고 예상하지만, 주민 수의 감소가 반드시 거주민의 만족감 수준 감소로 이어지지 않음을 주장하였다.3) 이외에도 자연환경, 소음 등의 환경적 측면(Verheij et al., 2008), 경쟁적 환경이나 높은 불평등도(Piper, 2015) 등 사회적 측면에서 도시화 수준이 높은 인구증가지역에서의 거주민의 삶의 질이 더 낮을 수 있음을 지적한 연구를 비추어 볼 때,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이 높을 수 있다.
<Model 1-2>에서는 개인 특성 변수, 가구 특성 변수는 <Model 1-1>의 결과와 뚜렷한 차이가 없었고, 조절변수인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가 높은 거주민은 그렇지 않은 거주민 간에는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에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실증분석에서 활용한 분석대상의 경우 인구감소지역, 인구증가지역 거주민 간의 객관적 수준에서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전반적으로 유사한 수준이라는 점에서, 인구감소지역 거주 여부와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음을 유추해볼 수 있다.
이어지는 분석에서는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였다. 분석결과는 아래의 <표 4>와 같다.
<Model 2-1>은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조절효과를, <Model 2-2>에서는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주관적 계층 상승 인식’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먼저, 두 모형에서 나타나는 통제변수의 경우에는 앞선 분석 결과와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개인 특성 변수는 기혼일 경우, 주관적인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인식할 경우에 삶의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밝혀졌다.
가구 특성 변수의 경우에는 가구원 수가 적을수록, 맞벌이 가구일 경우, 맞벌이가구일 경우, 아파트 거주자일 경우, 가구소득이 많을수록, 경제적 상태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경우, 높은 삶의 만족감을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주관적 계층 인식’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를 살펴보면, <Model 2-1>에서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의 추정계수가 양(+)의 영향력을 가지며, 강화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나머지 다른 통제변수의 값이 일정할 때, ‘인구감소지역 거주 → 삶의 만족감’ 간의 긍정적인 영향이 주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를 높게 인식하는 집단에게서 상대적으로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Model 2-2>에서도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이 강화조절효과의 관계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주관적 계층 인식이 높은 응답자들이 낮은 응답자들에 비해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긍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인구감소지역 거주 → 삶의 만족감’ 간의 긍정적인 영향이 주관적 사회경제적 인식이 높을수록 더 강하게 나타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이 자신의 계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가 삶의 만족감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Veenhoven(2002)은 정책의 목표를 장기적으로 접근할 경우, 객관적인 지표에 비해 ‘주관적인 지표’ 사용의 상대적인 중요성을 강조한 바 있다.
실증결과를 종합해 보면,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 등의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인구감소지역에서도 거주민의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라 삶의 만족감에 차이가 존재할 수 있고, 객관적 조건과 더불어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계층 인식’ 또한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인구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지역에서는 ‘주관적 계층 인식’의 강화조절효과가 더욱 크게 작동하기 때문에, 지역 여건 변화에 따라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른 거주민들의 삶의 만족감 격차가 더욱 크게 벌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계층 특성에 따른 삶의 만족감을 다룬 본 연구는,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른 유형화를 고려한 정책적 지원의 필요성을 조명했다는 데 큰 의의가 있다.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학술적 논의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는 상황에서, 최근에는 인구감소지역 내에서의 거주민 간 사회경제적 편차에 주목한 연구가 다수 진행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 논의는 절대적·객관적인 특성에 따른 하위집단 간의 차이에만 초점이 맞추어져 있었고, 인구감소지역에서도 실제 주민이 인식하는 ‘계층 인식’이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줄 수 있음을 간과한 측면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주관적인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관한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주요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구감소지역에 거주할 경우, 삶의 만족감이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구감소지역 거주’의 조절효과 검증결과,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인구감소지역 거주의 상호작용 효과가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객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인구감소지역 거주 → 삶의 만족감’의 영향력이 차이가 없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이유에는 본 연구의 분석대상인 인구감소지역과 인구증가지역 거주민의 객관적인 사회경제적 지위가 유사한 수준을 보였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다음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주관적 계층상승 인식’의 삶의 만족감에 대한 조절효과 분석에서는 상호작용 변수가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주관적인 계층 인식에 따라 ‘인구감소지역 거주 → 삶의 만족감’의 영향력이 차이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두 가지의 상호작용 변수는 삶의 만족감에 양(+)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와 주관적 사회경제적 지위 인식이 높은 응답자들이 낮은 응답자들에 비해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긍정적인 영향이 상대적으로 강화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러한 실증결과는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이 자신의 계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삶의 만족감이 달라질 수 있음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 실증된 주관적 계층 인식에 따라 인구감소지역 거주가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이 달라질 수 있다는 사실은, ‘주관적으로 인식하는 계층 인식’이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 제고에 중요하게 고려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특히 지속적인 인구감소 현상을 겪는 지역에서는 주민들이 소득, 교육의 기회 등 객관적 조건에서는 상대적으로 열악한 여건에 놓여있을 가능성이 크다. 하지만 타인과의 비교 대상, 준거집단의 차이로 인해 사회계층에 대한 주관적인 인식에도 거주민 간의 상당한 편차가 존재할 수 있고, 지역 내에서 ‘자신의 계층을 어떻게 인식하는지’에 따라 삶의 질, 삶의 만족감이 향상될 수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구감소지역 지자체에서는 ‘객관적 조건 향상’을 통해 거주민의 삶의 질을 제고시키는 데서 나아가, 지역 내 거주민의 주관적 인식에 따른 이질성을 고려하고, ‘주관적 계층의식 수준’을 높이는 정책적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구체적인 실증이 이루어지지 않았던 ‘주관적 계층 인식’을 중심으로, 인구감소지역 거주와 삶의 만족감 간의 상관성에 차이가 나타날 수 있음을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인구감소지역 거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초점을 맞추었지만, 인구감소지역과 인구증가지역 거주민 간의 주관적인 계층 인식 차이, 준거집단에 따른 거주민의 주관적 계층 인식의 차이 등을 고려한다면, 보다 풍부한 논의가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에서 활용한 자료는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조사되었지만, 향후에는 다수의 인구감소지역에 해당하는 농촌지역도 함께 고려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해서는 추가적 후속 연구로 남기고자 한다.
이 논문은 2022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22S1A5A2A01048774)
1. | 강동우·안주엽·남수연, 2020. “지역 특성이 주민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 「국토연구」, 104: 3-21. Kang, D.W., Ahn, J.Y., and Nam, S.Y., 2020. “Searching for Regional Characteristics Affecting Residents’ Happines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104: 3-21. |
2. | 강은택, 2020. “축소도시 주민들의 삶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부동산학회지」, 38(4): 169-185. Kang, E.T., 2020.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Shrinking City”, Journal of Korea Real Estate Society, 38(4): 169-185. |
3. | 강은택·마강래, 2014. “수도권 대학으로의 이동 요인과 졸업 후 경제적 효과에 관한 연구”, 「국토계획」, 49(6): 5-16. Kang, E.T. and Ma, K.R., 2014. “A Study on the Factors affecting Student Migration to Higher Education in the Seoul Metropolitan Area”,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6): 5-16. |
4. | 구형수·김태환·이승욱·민범식, 2016. 「저성장 시대의 축소도시 실태와 정책방안 연구」, 세종: 국토연구원. Ku, H.S., Kim, T.H., Lee, S.W., and Min, B.S., 2016. UrbanShrinkage in Korea: Current Status and Policy Implications, Sejong: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5. | 권오규·강은택·마강래, 2019. “도시의 쇠퇴가 지역주민의 삶의 만족감에 미치는 영향: 도시 규모의 차이를 중심으로”, 「지역연구」, 35(2): 33-47. Kwon, O,K., Kang, E.T., and Ma, K.R., 2019. “A Study on the Impact of the Urban Decline on the Subjective Well-being of Residen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5(2): 33-47. |
6. | 권인혜·박인권, 2022. “성향점수매칭법을 이용한 정주공간 유형별 주관적 삶의 질 수준 비교”, 「지역연구」, 38(2): 21-41. Kwon, I.H. and Park, I.K., 2022. “Comparison of Subjective Quality of Life by Settlement Type Using Propensity Score Matching Method”,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8(2): 21-41. |
7. | 김수희·정종화·송진영, 2018. “노인의 사회경제적 지위가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공식적·비공식적 사회활동참여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73(3): 167-191. Kim, S,H., Jeong, J.H., and Song, J.Y., 2018. “The Effect of Socio-Economic Status of Elderly on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Mediating Effects of Participation in formal and Informal Social Activities”, Korean Journal of Gerontological Social Welfare, 73(3): 167-191. |
8. | 김재우, 2019. “한국인의 주관적 사회계층, 기회공정성 인식, 그리고 삶의 만족도: 성별·연령집단별 매매과정과 조절작용”, 「행정논총」, 57(4): 97-127. Kim, J.W., 2019. “Subjective Social Class, Perceived Opportunity Equality, and Life Satisfaction of Koreans: The Mediation and Moderation Effect across Gender and Age Group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7(4): 97-127. |
9. | 김지원·김도연·마강래, 2022. “쇠퇴지역 거주민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지역 여건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4(4): 61-81. Kim, J,W., Kim, D.Y., and Ma, K.R., 2022. “A Study on the Residents’ Evaluation of Local Circumstances by Socio-economic Status in the Declining Area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34(4): 61-81. |
10. | 박인권, 2018. “사회적 약자의 삶과 지역균형발전: 역량의 지역 격차 분석”, 「공간과 사회」, 28(2): 71-114. Park, I.K., 2018.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of Residents in Shrinking City”, Space and Environment, 28(2): 71-114. |
11. | 박인권, 2020. “‘부분’대 ‘전체’ 사회적 약자와 전체 인구의 삶의 질 지역 격차의 비교”, 「지역연구」, 36(1): 17-36. Park, I.K., 2020. “ ‘Part’ vs. ‘Whole’: Comparison between the Socially Underprivileged and the Whole Population in Terms of Inter-regional Disparities in Quality of Life”,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36(1): 17-36. |
12. | 박인권·정하림·강다은, 2023. “사회적 약자 집단별 삶의 만족도 지역 간 격차와 지역 역량 요인: 청년층과 고령층 비교”,「한국지역개발학회지」, 35(1): 29-54. Park, I,K., Jeong, H.R., and Kang, D.E., 2023. “Regional Disparities in Life Satisfaction by Socially Underprivileged Groups and Regional Capability Factors: A Comparison Between Young and Older Adult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35(1): 29-54. |
13. | 서재호·김혜정·이승종, 2012. “지방정부의 가치지향으로서 커뮤니티 웰빙에 대한 연구”, 「한국행정학보」, 46(1): 33-56. Seo, J,H., Kim, H.J., and Lee, S.J., 2012. “A Study on Community Wellbeing as a Value Orientation in Local Government”, Korean Public Administration Review, 46(1): 33-56. |
14. | 여유진, 2008. “한국에서의 교육을 통한 사회이동 경향에 대한 연구”, 「보건사회연구」, 28(2): 53-80. Yeo, E.G., 2008. “A Study of the Influence of Education on Social Mobility”,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28(2): 53-80. |
15. | 오영균, 2018. “지역여건에 대한 평가와 삶의 만족”, 「지방행정연구」, 32(3): 95-114. Oh, Y.K., 2018. “The Evaluation for Regional Conditions and Satisfaction of Life”, The Korea Local Administration Review, 32(3): 95-114. |
16. | 이경영·정주희·전희정, 2018. “서울시 강남·강북권 간 지역격차 및 주거특성이 주민의 사회적 지위 인식에 미치는 영향”, 「도시행정학보」, 31(1): 77-100. Lee, K,Y., Jung, J.H., and Jun, H.J., 2018. “The Effect of Regional Disparity and Housing Characteristics of Seoul’s Gangnam and Gangbuk Districts on the Social-Class Recognition: Focusing on Low-Income Class Recognition”,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31(1): 77-100. |
17. | 이연경·이승종, 2017. “사회계층이 행복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객관적 계층과 주관적 계층의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55(1): 1-39. Lee, Y.K. and Lee, S.J., 2017. “A Study of the Effect of Social Status on Happiness: A Focus o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Korean Journal of Public Administration, 55(1): 1-39. |
18. | 이용관, 2018. “청년층의 주관적 계층의식과 계층이동 가능성 영향요인 변화 분석”, 「보건사회연구」, 38(4): 465-491. Lee, Y.K., 2018. “Changes in Influence Factors on Subjective Class Identification and Class Mobility Possibility of the Youth”, Health and Social Welfare Review, 38(4): 465-491. |
19. | 임보영·마강래, 2016. “삶의 만족감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관한 연구: 집계적 자료와 비집계적 자료의 비교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8(1): 89-104. Im, B.Y. and Ma, K.R., 2016. “A Study on the factors of Subject Well-being: A Comparative Analysis of between Aggregated Data and Disaggregated Dat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8(1): 89-104. |
20. | 채종훈·서정원, 2019. “고령자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도·농간 비교 분석”, 「한국지역개발학회지」, 31(3): 137-158. Chai, J.H. and Seo, J.W., 2019. “A Study on the Life Satisfaction Influence Factors of Senior: A Comparative Analysis of Between Urban and Rural Area”,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31(3): 137-158. |
21. | 최민정·권정호, 2014. “농촌노인의 사회적 배제와 경제적 불평등의 실증분석”, 「사회과학담론과 정책」, 7(1): 103-138. Choi, M.J. and Kwon, J.H., 2014. “Social Exclusion and Income Inequality of the Rural Elderly”, Discourse and Policy in Social Science, 7(1): 103-138. |
22. | 최영출, 2018. “소득수준과 삶의 만족도와의 관계 분석: 이항로짓분석의 활용”, 「한국자치행정학보」, 32(3): 1-18. Choi, Y.C., 2018.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Income Level and Life Satisfaction: Application of Logistic Regression Model”, Korean Journal of Local Government & Administration Studies, 32(3): 1-18. |
23. | Andrews, F.M., 1974. “Social Indicators of Perceived Life Quality”, Social Indicators Research, 1(3): 279-299. |
24. | Barreira, A.P., Agapito,D., Panagopoulos, T., and Guimarães, M.H., 2017. “Exploring Residential Satisfaction in Shrinking Cities: A Decision-tree Approach”, Urban Research & Practice, 10(2): 156-177. |
25. | Berry, B.J.L. and Okulicz-Kozaryn, A., 2011. “An Urban-Rural Happiness Gradient”, Urban Geography, 32(6): 871-883. |
26. | Bolton, R., 1992. “‘Place Prosperity vs People Prosperity’ Revisited: An Old Issue with a New Angle”, Urban Studies, 29(2): 185-203. |
27. | Campbell, A., 1976. “Subjective Measures of Well-being”, American Psychologist, 31(2): 117-124. |
28. | Crane, R. and Manville, M., 2008. “People or place? Revisiting the who Versus the Where of Urban Development”, Land Lines, 2-7. |
29. | Delken, E., 2008. “Happiness in Shrinking Cities in Germany”, Journal of Happiness Studies, 9: 213-218. |
30. | Diener, E., 2006. “Guidelines for National Indicators of Subjective Well-Being and Ill-Being”, Applied Research in Quality of Life, 1: 151-157. |
31. | Diener, E., Suh, E.M., Lucas, R.E., and Smith, H.L., 1999. “Subjective Well-being: Three Decades of Progress”, Psychological Bulletin, 125(2): 276-302. |
32. | Dolan, P. and White, M.P., 2007. “How Can Measures of Subjective Well-Being Be Used to Inform Public Policy?”,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2(1): 71-85. |
33. | Easterlin, R.A., 1974. Does Economic Growth Improve the Human Lot? Some Empirical Evidence. Nations and Households in Economic Growth, David, P. and Weber, R. (eds.), New York: Academic Press, 89-125. |
34. | Easterlin, R.A., Angelescu, L., and Zweig, J.S., 2011, “The Impact of Modern Economic Growth on Urban–Rural Differences in Subjective Well-Being”, World Development, 39(12): 2187-2198. |
35. | Jackman, M. and Jackman, R., 1973. “An Interpretation of the Relation between Objective and Subjective Social Status”, American Sociological Review, 38(5): 569-582. |
36. | Glaeser, E.L. and Gyourko, J., 2005. “Urban Decline and Durable Housing”, Journal of Political Economy, 113(2): 345-375. |
37. | Glaeser, E.L., Joshua D.G., and Oren Z., 2016. “Unhappy Cities”, Journal of Labor Economics, 34(S2): S129-S182. |
38. | Hollander, J.B., 2011. “Can a City Successfully Shrink? Evidence from Survey Data on Neighborhood Quality”, Urban Affairs Review, 47(1): 129-141. |
39. | Oshio, T., Nozaki, K., and Kobayashi, M., 2011. “Relative Income and Happiness in Asia: Evidence from Nationwide Surveys in China, Japan, and Korea”, Social Indicators Research, 104: 351-367. |
40. | Parra, D.C., Gomez, L.F., Sarmiento, O.L., Buchner, D., Brownson, R., Schimd, T., Gomez, V., and Lobelo, F., 2010. “Perceived and Objective Neighborhood Environment Attributes and Health Related Quality of Life among the Elderly in Bogotá, Colombia”, Social Science & Medicine, 70(7): 1070-1076. |
41. | Piper, A.T., 2015. “Europe’s Capital Cities and the Happiness Penalty: An Investigation Using the European Social Survey”, Social Indicators Research, 123(1): 103-126. |
42. | Speare, A., 1974. “Residential Satisfaction As an Intervening, Variable In Residential Mobility”, Demography, 11(2): 173-188. |
43. | Veenhoven, R., 2002. “Why Social Policy Needs Subjective Indicators”, Social Indicator Research, 58: 33-45. |
44. | Verheij, R.A., Mass, J., and Groenewegen. P.P., 2008. “Urban-Rural Health Differences and the Availability of Green Space”, European Urban and Regional Studies, 15(4): 307-316. |
Technology Center, 7-22 Teheran-ro (635-4 Yeoksam-dong), Gangnam-gu, Seoul, 06130, Korea
License No: 220-82-01818ใPresident: Chanho Kim
Phone : +82)02-568-1813 | Fax : +82)02-563-3991 | Homepage : http://www.kpaj.or.kr/ | Email : lsj@kpa1959.or.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