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51, No. 3, pp.5-24
ISSN: 1226-7147 (Print) 2383-917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Jun 2016
Final publication date 29 Apr 2016
Received 25 Apr 2013 Revised 25 Apr 2015 Reviewed 10 May 2015 Accepted 10 May 2015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6.06.51.3.5

수도권 사회적기업의 공간분석을 통한 입지특성 연구

임은숙* ; 이희정**
The Characteristics of Social Enterprises Distribution through the spatial analysis in Capital Area, Korea
Lim, Eunsook* ; Lee, Heechung**
*University of Seoul kohline@naver.com

Correspondence to: ** University of Seoul ( leeworld@uos.ac.kr)

Abstract

This study has started from the sustainability of the social enterprise. Social enterprises as a positive effect of the local community had realized an assessment of the Social purpose. But the volumetric expansion of the rapid performance-based is being evaluated as negative. Therefore, this study prepared by one of the measures for 'sustainability' of social enterprises and approach to analysis of the distribution and location on the social enterprise of the city. 2012 social enterprises (774units) in 44% (342units) of companies are concentrated in Capital Area. But the sites were limited as a metropolitan area. The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of the social enterprise is affected by the level of incomes and social services to the consumer. Because low-profit in nature than the nature of social enterprises, private enterprises can enjoy the low cost of social services such as education, health care, child care, and culture. Social enterprise sector in the distribution of each industry could appear in the 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The basis for this study by identifying the status of the distribution and support of social enterprises through the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s, regional industry index of social enterprises, regional and sector differentiation strategy will be used as a strategic material for the future as a social enterprise.

Keywords:

Social Enterprise, Capital Area, Office Distribution, Spatial concentration, Location quotient

키워드:

사회적기업, 수도권, 분포특성, 공간적 집중화, 입지계수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최근 사회적 책임1., 사회적 경제2., 사회적 투자3., 사회적기업4. 등의 사회적 담론들이 공동체적 상생이라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등장하고 있다. 그중 사회적기업(社會的企業, Social Enterprise)의 등장이 가장 뜨거운 화제로 논의되고 있는데 그 이유는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에게 사회(공공)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면서 영리적인 활동을 하는 기업으로 이러한 사회적 담론들을 담을 수 있는 도구로서 여겨질 수 있기 때문이다. 우리나라에서 사회적기업에 대한 논의의 시작은 ‘실업’의 문제가 크게 대두되었던 외환위기(IMF)때로 여겨진다. 그 후 ‘사회적기업육성법’의 법률로 제정, 인증제도5.를 통한 사회적기업을 지원함으로써 본격적으로 등장하게 되었고, 2008년 금융위기로 인한 재정적 위기는 사회적기업의 수를 높이는 계기가 되었다. 이와 같이 사회적기업은 사회적 위기 때 등장하여 실업, 고용 등의 문제를 해결하여 이슈화 되었고 최근 고용부에서는 2017년까지 3,000개의 사회적기업을 육성하겠다는 계획을 밝히며 그 수가 빠른 속도로 증가하고 있다(제2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 2012).

그러나 기업이 성장하기 위해서는 수를 늘리는 것보다 우선적으로 사업적 환경의 구축, 네트워크의 형성 등이 선행되어야 하는데, 현재의 사회적기업은 성과주위의 사업확장으로 인하여 부피 키우기에만 여념이 없는 듯하다. 이를 반증하듯 많은 기업들이 지원기간인 3년이 지나 문을 닫는 실정으로(김재인 외 1인, 2010) 문제점에 대한 진단과 해결점의 모색이 시급하다. 따라서 지속적인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위해서 양적 성장에 대응하는 질적 성장, ‘사업 환경’을 파악하고 구축하기 위한 입지특성에 대한 진단이 요구되며 이러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2. 연구의 목적

본 연구는 지속적인 사회적기업의 발전을 위한 질적 성장, 사업 환경에 대한 구축 논의로 시작하였다. 사회적기업도 기업의 유형 중 하나라고 보았을 때 ‘생성과 소멸이 지역적 특성과 밀접한 관계가 있다’는 측면에서 지역적 특성을 반영한 공간분석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기존 연구들은 이미 안정권에 접어들고 있는 유럽과 미국 등의 선진국형 사회적기업의 사례연구를 통한 발전방향을 마련하는 것에 초점을 맞추고 있어 지역적 차이를 간과한 일반적인 모델 제시라는 한계를 가지므로 지역적인 요소를 포함한 실증적 분포특성 연구가 필요하다.

그리고 기업은 업종에 따라 다원화 될 수 있는 조직이기 때문에 사회적기업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사회적기업으로서의 관점과 동시에 각 업종별로 살펴보는 분석적 방법도 필요하다. 업종에 따라 수요자, 공급자의 특성과 사업의 환경이 다를 수 있으므로 다각적인 측면에서 분포특성에 대한 분석을 해야 연구적 함의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연구에서 사회적기업을 기업으로서 접근하여 입지, 분포에 대한 특성을 분석하고자 하기 때문에 일반기업6.과 비교를 통해 사회적기업이 갖는 특징에 대해 분명히 하고자 한다. 사회적기업은 자본주의에 반(反)하여 등장하였지만 완전히 영리적인 특성에서 독립적인 존재가 아닌 영리적이면서 비영리적인 조직이기 때문에 비교를 통한 분석이 적합하다고 여겨지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질문을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사회적기업은 어떠한 분포특성을 보이며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은 무엇인가?

둘째, 업종별 사회적기업은 어떠한 분포특성을 보이며 업종별 분포에 영향을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은 무엇인가?

셋째,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은 일반기업과 다른가? 어떠한 특성이 일반기업과 유사하거나 상이한가?

위와 같은 연구의 질문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을 파악하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사업환경 구축의 도시계획적 함의를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3. 연구의 내용과 범위

1) 연구의 범위 및 자료

2012년 현재 우리나라 전체 사회적기업(774개소)의 44%에 해당하는 342개의 기업이 수도권에 집중해있다. 면적에 비해 사회적기업의 분포가 가장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는 수도권에 대한 분석은 전체 사회적기업의 절반에 해당되는 수의 분석이며, 도시적 사회적기업의 대표할 만한 수의 입지이므로 그 특성을 파악하는데 유의한 대상지로 여겨진다. 또한 지역적으로 수도권과 지방은 표준화 될 수 없는 물리적․ 사회적 환경이기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적 사회적기업이 다수 입지한 수도권을 공간적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내용적 대상으로는 수도권에 입지한 사회적기업 중에 3년 이상(2007~2010년)의 지속성을 갖은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3년의 지원기간이 끝난 이후에도 사회적기업으로서 지속성을 갖았다는 반증에서다. 또한 아직 지원을 받고 있는(2011~2013년) 사회적기업은 지원금과 지원방식에 따라 각각 다른 형태로 지속적인 모습을 띄기 때문에 대상에서 제외하였다.7.

2) 분석방법

이 연구에서는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을 도출하고자 일반기업과 비교를 통한 LQ(Location quotient)지수 분석과 함께 ArcGIS 10.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공간적 분포분석을 병행하였는데, 이 연구에서 LQ를 활용한 것은 사회적기업의 지역적 집중도를 파악할 수 있는 가장 적합한 분석이며, 현재 수도권 사회적기업의 분포를 전체기업(사회적기업+일반기업) 분포의 비율로써 비교해 보았을 때 지역에 분포한 사회적기업의 비중과 크기에 대한 측정이 용이 하기 때문이다. 지역적․업종별 분포특성분석의 방법으로는 ‘증감률(%) 비교분석의 기술통계분석’을 사용하였으며 그 이유는 다른 통계적 방법의 분석을 통한 비교를 선행하였을 때 확률적 유의미한 결과가 미흡하였으며 또한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의 비교를 통한 지역특성요인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목표이기에 연구의 방법으로써 증감률(%)을 통한 지역특성요인을 밝히는 것에 주목하였다. 증감률(%)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17개의 독립변수를 수도권의 평균값에서 얼마나 (+), (-)로 작용하였는지를 비교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영향요인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기업의 수에 가중치를 두기 위해 기업의 수를 100분위 단위(%)로 추산하여 산정하였다.

The National social(authentication) enterprise distribution


Ⅱ. 선행연구 검토 및 분석의 틀 설정

1. 선행연구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 7월 「사회적기업육성법」의 도입 이후 사회적기업이 등장하였기 때문에 아직 그 분포특성에 관한 선행연구가 많이 이루어 지지 않았다. 표본수의 불충분과 6년이 채 되지 않은 짧은 시기적 이유로 인해 선행연구가 부족한 실정인 것이다. 최근에서야 사회적기업의 급증과 지속성의 논의로서 분포특성에 관한 연구와 성공요인으로서 입지, 사업환경의 분석 등의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으나 아직 대부분의 연구는 사회복지, 경영, 행정 분야에서 다루어지는 주제로 여겨지며 도시공학분야에서의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최근 이민주(2013), 최조순·강병준(2012)의 연구에서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을 밝히며 긍정적인 시도를 하였으나 다원화된 조직으로서 사회적기업의 업종에 대한 고려를 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한계를 나타낸다. 우리나라에 비해 사회적기업 연구가 안정단계에 이른 국외사례를 통해 입지특성을 살펴보면 Kerlin (2010)은 지역의 특성과 사회적기업의 입지에 관한 연구를 통해 사회·경제적 배경에 따라 다른 분포특성을 보임을 밝혔다. 이는 사회적기업이 사회적·지역적인 요인에 영향을 받는다는 점에서 실증적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을 밝히는 것이 중요함을 의미한다. 그밖에 M.Poter(1995)의 연구에서는 지역시장의 수요, 지역클러스터와의 연결, 인적자원을 강조하였으며, Moshe and Lemer(2006)의 연구에서는 시장경쟁력, 타 단체와의 협력관계를 입지요인으로 선정하였다.

2. 지역특성지표 선정

본 연구에서 밝힐 지역특성요인은 크게 ‘인적특성’과 ‘지역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사회적기업은 취약계층의 고용과 사회적 환원을 목표로 하며 영리적인 활동을 하며 비영리기업과 영리기업의 성격을 갖기 때문에 ‘사회적’ 문제해결을 위한 사회서비스의 제공측면에서 그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의 ‘인적특성’과 ‘정주환경’의 ‘지역특성’이 중요한 입지요인이 되기 때문이다. 지역특성지표의 틀은 일반(영리)기업의 입지요인과 비영리조직의 입지요인을 기반하여 구성하였다.

‘인적특성’의 세부적인 항목으로는 일반(영리)기업의 입지요인에 해당하는 경제적 특성(경제활동인구, 비경제활동 인구), 규모(인구밀도), 사회적 특성(대학이상의 교육을 받은 인구비율, 외국인 인구비율)과 함께 사회적기업의 인적특성인 취약계층의 인구비율로 구성하였다.

‘지역환경’ 지표는 산업환경과 생활여건으로 세분하였다. 사회적기업 유사업종의 기업체수를 통해 집적경제(Agglomeration Economics)12.의 효과와 함께 사회적 네트워크 활동이 지역 유인요소가 되는지 저해요소가 되는지를 알 수 있으며, 기존의 기업체수가 많은 지역과 공장용지율 등의 산업화 된 지역일수록 사업 환경의 구축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이다. 생활여건의 요인으로는 비영리기업의 입지요인인 커뮤니티의 소득수준 및 환경을 기준으로 선정하였다. 자가보유율과 주택보급률, 의료기관수13., 금융기관수 등을 통해 소득수준 정도를 예측할 수 있으며 공원용지율과 유아학교, 학교수, 문화재수를 통해 지역의 생활·문화 및 쾌적성 등의 정주환경을 예측해 볼 수 있다.

Indicator frame of the social enterprise regional characteristic factor


Ⅲ.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1. 사회적기업의 공간분석

1) 사회적기업의 LQ분석

사회적기업의 분포현황을 분석하기 위해 우선적으로 입지계수(Location Quotient: LQ)분석을 통한 공간적 분포 분석을 진행하였다. LQ값을 구하기 위한 식은 아래 식과 같이 일반기업과 사회적기업을 구분하여 산정하였다. 그러나 분모의 전체기업은 동일한 조건으로 산정하였다.

분석 결과, 총 79개의 수도권 지자체 중 63개의 지자체에 사회적기업이 분포하였으며 그림1과 같이 공간적 집적패턴이 사회적기업은 서울과 서울의 인근 지역에서 높게 나타난 반면, 일반기업은 서울이 아닌 경기도 지역에서 높게 나타나며 반대적인 성향의 분포특징을 보였다.

Social enterprise LQ =ⅰ No.  of the region social enterprise /No. of the capital-region social enterpriseⅰ No. of the whole region enterprisegeneral enterprise+social enterprise/No. of the whole capital region(general enterprise+social enterprise)General enterprise LQ =ⅰ No. of the region general enterprise/No. of the capital-region general enterpriseⅰ No. of the whole region enterprise (general enterprise+social enterprise) / No. of the whole capital-region enterprise (general-enterprise+social-enterprise)
* Total enterprise = Social enterprise+General enterprise

LQ값을 통한 비교 결과, 사회적기업 LQ값은 강화군(2.83), 파주시(2.61), 마포구(2.49), 연수구(2.34), 영등포구(2.28), 인천 중구(2.28),계양구(2.24), 종로구(2.11), 서대문구(2.02)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중 경기 파주시를 제외한 모든 지역에서 일반기업의 LQ값이 0이하로 나타남으로써 일반기업의 집중이 상대적으로 낮은 지역에 사회적기업이 집중분포하고 있음으로 이를 통해 해석할 수 있었다.

또한 일반기업의 공간적 분포가 경기도에 집중한 것은 이 연구에서 일반기업으로 분류한 기업이 사회적기업과 유사한 업종으로, 대부분이 사회서비스 제공형의 기업이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이윤을 추구하고 또 그렇게 이윤 추구를 할 수 있는 생산성이 낮은 기업이기 때문으로 해석할 수 있다(표3 참조).

Fig 1.

LQ Spatial distribution

LQ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for each local government

2)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하여 문화재 등의 문화자원과 금융기관 수, 대학이상의 인구비율, 외국인 인구비율, 인구밀도, 기업체수의 밀집 등에서 높은 정(+)의 지역특성을 공장용지율은 부(-)의 특성을 보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은 보호해야 할 문화자원이 많으며 대학이상의(교육수준이 높은) 인구비율이 높은 곳, 외국인의 인구밀집이 높아 인종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곳, 인구밀도가 높아 사회적 서비스의 수요자와 공급자가 많은 곳, 시장이 형성되어 있어 기업체수와 금융기관이 밀집된 곳에 네트워크를 이루고 집중적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것은 공간적 분포를 살펴보았을 때 도심에 사회적기업이 집적 입지한 것과도 연계해 볼 수 있는 결과이다. 또한,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과 비영리조직의 중간적 활동을 하는 기업이기 때문에 지역특성요인에서 두 기업의 특징을 보인다는 것을 파악하였다. 비영리조직과는 인적특성을 기반으로 이질성이 강한 곳 즉, 인종적 다양성이 존재하는 곳에 분포하는 점과 보호해야 할 대상이 있는 지역, 문화지역과 같은 곳에 분포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나타냈으며 일반기업에서는 금융기관수가 많고 기업체수가 많아 시장의 형성이 잘되어 있는 곳에 분포한다는 점에서 유사점을 보였다. 전체적인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요인은 위와 같으나, 이는 각 업종별, 기업의 특성이 배재된 분포특성이므로 다음 장에서 각 업종별 특성에 따라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의 입지특성을 같이 비교해 보았다.

The LQ Current status of the capital region enterprise in time-series change

한편 지역적 분포 양상은 서울경계와 경기도 남부에서 경기 북부, 경기 서측, 인천의 순으로의 나타남을 파악하였다. 또한 집중도가 높게 나타난 지역으로는 경기도에서는 파주(2.35), 안성(1.69), 고양시(1.42)에, 인천에서는 중구(2.74), 강화군(2.56), 연수구(2.11)에 서울에서는 마포구(2.25), 영등포구(2.06), 서대문구(1.82)에 사회적기업이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다(그림1). 또한 이러한 분포의 시계열적 변화양상을 살펴보았을 때 초기에 비해 전체적인 총량의 증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공간적으로도 크게 확산되고 있는 양상을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The LQ technical statistic


Ⅳ. 사회적기업의 업종별 입지특성

사회적기업의 업종별 분류는 ‘사회적기업 리스트’에 분류되어 있는 교육, 보건, 사회복지, 환경, 문화예술, 보육, 산림보전 및 관리, 간병가사지원, 기타의 9가지로 분류 될 수 있으며 업종 중 ‘산림보전 및 관리’업종 부분은 업종으로 명시되어 있지만 아직 등록 된 기업이 없어 본 연구에서는 업종으로 구분하지 않았다.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 by industrial classification

1. 교육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교육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교육업종의 LQ분석 결과, 사회적기업 LQ값은 서대문구(13.59), 연수구(9.84), 마포구(8.4), 파주시(6.28), 영등포구(5.92)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의 LQ값은 용인시 수지구(2.7), 고양시 일산 서구(2.21), 성남시 분당구(2.1), 용인시 기흥구(2.01), 수원시 영통구(1.98)의 순으로 나타났다. 상위 5순위까지의 지자체별 LQ 순위가 일치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교육업종이 밀집한 서울 강남권역(강남구, 송파구)과 성북구, 서대문구, 인천 연수구에서 사회적기업, 일반기업 LQ가 1이상을 보였다는 점에서 공간적 분포의 유사성을 보였다.

2) 교육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교육업종의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해 외국인 인구비율, 인구밀도, 대학인상 인구비율 등에서 높은 정(+)의 특성을 보여 인적특성이 교육업종에 높은 영향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파주의 출판단지 안에 있는 ‘(사)행복한 아침독서’를 제외한 다른 기업들은 모두 서울과 인천에 분포함으로써 상대적으로 교육수요가 많고 그것을 제공할 수 있는 사람들이 많은 곳, 즉, 인적자원이 많은 곳에 집적 입지함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보건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보건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보건업종의 LQ분석 결과, 사회적기업의 LQ값은 인천 중구(33.22), 수원시 팔달구(19.4), 성남시 중원구(19.01), 구로구(9.76), 서울 중구(5.4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의 LQ값은 강남구(2.04), 용인시 수지구(1.8), 성남시 분당구(1.72), 서초구(1.5), 노원구(1.45)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기업의 보건업종은 강남구, 서초구 등 상대적으로 지가가 높고 교통이 발전하여 의료서비스의 제공으로 경제적 효과가 높은 지역에 집적 분포하는 특징을보이는 반면, 사회적기업은 일반기업의 LQ값이 1이하인 지역, 보건업종의 공급이 낮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함을 보였다.

Fig 2.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education · health care companies

2) 보건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보건업종의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보건업종의 사회적기업은 금융기관수, 외국인 인구비율, 사회적기업 유사업종 기업체수(사회적 네트워크 수요), 기업체수(고용인구 수요)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이는 구로구 가리봉동에 있는 ‘(사)지구촌사랑나눔부설(외국인노동자전용의원)’이 보건업종 사회적기업의 시작으로 보았을 때 의료적 수요가 높으나 의료서비스가 취약한 지역을 중심으로 발전한 것과 연계되어 해석할 수 있다.

3. 사회복지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사회복지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사회복지업종의 LQ분석 결과, 사회복지업종 LQ값은 파주시(8.37), 용인시 기흥구(6.5), 안산시 상록구(4.57), 부천시 소사구(3.51), 안양시 동안구(3.47)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의 LQ값은 양평군(5.42), 강화군(4.91), 가평군(4.55), 연천군(3.92), 여주군(3.64)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반기업의 사회복지업종은 생산성이 높은 업종이 아니고 사회(공공)서비스의 제공의 성격을 갖는 기업이기 때문에 지가가 낮은 경기도의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는 반면, 사회적기업은 서울에서는 강남구, 서초구, 관악구에 경기도에서는 파주시, 용인시 등 지역내에서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2) 사회복지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사회복지업종의 입지특성 비교결과 사회복지업종 사회적기업은 인구밀도와 대학이상 인구비율이 높고 의료기관수(의료수요)와 공원용지율이 높은 지역에 더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이는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보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에 분포한다는 점에서 경제성(수익)보다 사람들에게 사회(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중시하였다고 할 수 있다. 또한 일반기업은 공장용지율이 많은 지역에 집적하는 반면, 사회적기업은 자연환경(공원 등)을 고려하여 분포하는 것으로 재활서비스 등 사회복지 서비스제공을 위한 배려로 해석할 수 있다.

4. 환경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환경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환경업종 LQ분석 결과, 환경업종 사회적기업 LQ값은 안성시(5.07), 구리시(5.04), 남양주시(4.57), 평택시(4.23), 수원시 장안구(4.15)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 LQ값은 화성시(4.77), 포천시(4.55), 서구(3.6), 김포시(3.47), 파주시(3.22)에서 높게 나타났다. 일반기업의 분포패턴은 서울을 제외한 경기도, 인천에서 LQ값이 1이상을 나타내며 집중 분포함을 보였으나 반대로 사회적기업은 서울시 마포구, 성동구, 성북구 등에서 LQ가 1이상 집중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으며 경기도에서도 남양주시 등 상대적으로 일반기업의 집적이 낮은 지역에 분포하는 특징이 나타난다.

2) 환경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환경업종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환경업종 사회적기업은 일반기업에 비해 보호해야 할 지역(문화재수)으로 지정된 곳이 많은 곳에 분포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일반기업의 환경업종은 공장용지율이 높은 곳에 입지함으로써 산업폐기물 등의 폐기물을 처리하는 서비스를 담당하였다면 사회적기업의 환경업체는 청소, 생활 폐기물 재활용,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 등을 담당하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낮은 곳에 분포하였던 일반기업과 대조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입지하는 분포특성을 보인다.

Fig 3.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 environment companies

5. 문화예술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문화예술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문화예술업종 LQ분석 결과, 문화예술업종 사회적기업 LQ값은 강화군(8.17), 마포구(7.19), 종로구(6.63), 영등포구(5.06), 안양시 만안구(4.79)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 LQ값은 종로구(2.92), 과천시(2.28), 동작구(2.23), 마포구(1.97), 관악구(1.86)에서 높게 나타났다. 여기서 강화군이 문화예술업종의 LQ값이 높게 나타난 것은 원래 강화군이 문화예술업종의 인프라가 취약한 지역이었던 이유와 전체적인 기업이 부족한 사업 환경적인 면에서 취약 지역이었던 까닭에 상대적 입지계수(LQ)가 높게 나타났다. 그 외에 마포구, 종로구, 영등포구, 서대문구 등 도심을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의 LQ가 높게 나타났는데 이 지역은 일반기업의 집중 분포와도 공간적으로 유사하다.

2) 문화예술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문화예술업종의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문화예술업종의 사회적기업은 일반기업과 지역특성요인의 정(+), 부(-)의 영향이 유사하게 작용하는 특징을 보였는데 이는 기존의 문화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사회적기업이 분포하였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다만,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에서 그 영향력의 정도 차이를 보이며 사회적기업의 경우 일반기업보다 문화재 등의 문화자원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그 예로는 북촌의 ‘(사)한옥문화원’과 같은 기업이 해당한다.

6. 보육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보육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보육업종 LQ분석 결과, 사회적기업 LQ값은 수원시 영통구(18.94), 이천시(17.74), 수원시 팔달구(13.85), 고양시 일산동구(12.31), 서구(9.27)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 LQ값은 용인시 수지구(2.45), 고양시 일산서구(2.2), 동두천시(2.13), 수원시 영통구(2.1), 의정부시(2.08)에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 모두 경기도에 집중 분포하는 공간적 특징이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보육서비스의 수요가 경기도를 중심으로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2) 보육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보육업종의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보육업종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은 지역특성요인이 대학이상 인구비율과 외국인 인구비율을 제외하고는 유사하게 나타났다15..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에서 대부분 경기도에 집적분포하기 때문에 유사한 지역특성요인을 나타내는 것으로 판단되며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를 둔 신혼부부가 주거부담이 적은 경기도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보육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가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Fig 4.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culture&art · child care

7. 간병가사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간병가사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간병가사업종의 LQ분석 결과, 간병가사 사회적기업 LQ값은 은평구(7.75), 안성시(7.6), 안산시 상록구(4.95), 동작구(4.43), 성동구(3.79)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 LQ값은 동두천시(3.72), 양평군(2.38), 남구(2.26), 여주군(2.16), 연천군(2.16)의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간병가사 업종의 집중분포 패턴은 일반기업과 사회적기업에서 서울시에 집적 분포(LQ 1이상) 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한 분포특성을 보이지만 성동구, 강남구, 서대문구 등 일반기업에서 분포가 낮은 지역에도 사회적기업이 집적 분포하는 특징을 보인다. 경기도에서는 공장 등 기업체로 인해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게 나타나는 안성시와 시흥시, 안산시에 분포하고 있다.

2) 간병가사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간병가사업종의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간병가사의 업종특성상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기 때문에 간병가사를 필요로 하는 지역, 그리고 간병가사 서비스를 제공할 고용인구가 높은 지역, 즉 인구밀도와 높은 연관성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공간적 분포현황에서도 상대적으로 인구밀도가 높은 서울시와 경기도 안에서도 공장, 기업체로 인해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인 시흥시, 안성시 등에서 집중 강화되는 현상을 보인 것과 연계하여 해석할 수 있다.

8. 기타업종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

1) 기타업종 사회적기업의 LQ분석

기타업종 LQ분석 결과, 기타업종의 사회적기업 LQ값은 계양구(5.44), 인천 중구(4.61), 강화군(4.31), 광진구(3.69), 연수구(3.55)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기업 LQ값은 김포시(2.79), 부천시 오정구(2.87), 화성시(2.74), 시흥시(2.72), 포천시(2.68)에서 높게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의 기타업종은 소규모 제조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고용인구와, 시장이 형성 된 곳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이므로 서울시, 인천과 인근 경기도에서 집적 분포함이 나타났다. 일반기업의 제조업의 경우는 공장이 밀집된 지역이나 대지의 확보가 용이한 서울 외곽 지역, 경기도에서 집적 분포하는 것을 보이므로 일반기업과는 다른 공간적 분포양상을 보인다.

2) 기타업종 사회적기업의 입지특성

기타업종의 지역특성요인의 비교 결과, 기타업종 사회적기업은 문화재수, 금융기관수, 인구밀도, 대학이상 인구비율, 공원용지율이 일반기업보다 높은 정(+)의 지역특성요인으로 나타났다. 기타업종 사회적기업의 특징은 소규모 제조업으로 일반기업의 제조업이 공장용지의 경기도에 집적 분포해 있는 것에 반면, 서울의 문화자원이 분포가 높고, 인구가 집중되어 있으며 시장이 형성된 곳(금융기관 수가 밀집되었으므로) 기업체가 밀집되어 고용인구가 높으면서도 상대적으로 서울 내에서 지가가 낮은 강북권역을 중심으로 분포한 것과 연계하여 지역성을 해석 할 수 있다.

Fig 5.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nursing&home care and other

9. 업종별 사회적기업 입지특성 종합

이상 8개의 업종별 공간분포 및 지역특성요인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교육업종은 공간적 분포에서 기존의 교육업종이 밀집한 지역을 중심으로 집적분포를 보였다는 점에서 일반기업과 공간적 분포의 유사성을 보였다. 입지특성으로는 교육수요가 많고 인적자원이 많아 교육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사람과 제공받을 수 있는 사람이 많은 곳을 중심으로 발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에 비해 영리적인 성격이 낮아 저렴한 비용으로도 교육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기 때문으로 해석해 볼 수 있다.

보건업종의 경우는 일반기업의 분포와 다른 공간적 분포양상을 보이며 일반기업의 분포가 적은 곳, 의료서비스가 취약한 곳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그 증가의 속도가 다른 업종에 비해 가장 느린 것으로 나타났다. 보건업종의 경우 초기자본이 많이들며 경제적 효과가 높은 곳에 입지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사회적기업의 보건업종에서는 의료서비스의 취약지점 즉, 경제적 효과가 낮은 곳에 입지하고 무료 의료서비스의 제공 등 지속적으로 활동하기에는 어려운 환경이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사회복지업종은 공간적 분포에서 일반기업에서 제공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사회복지 업종의 특성상 생산성이 낮고 사회(공공)서비스 제공의 특성을 갖는 기업이기 때문에 일반기업은 경기도 등 외곽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지만 사회적기업에서는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였다. 사회적기업이 일반기업보다 인구밀도가 높은 도시지역에 분포하였다는 점에서 경제성(수익)보다 사람들에게 사회(공공)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고려하였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재활서비스 등의 특징으로 인해 자연환경(공원 등)을 더 고려했다는 점 역시 사회적기업이 사회(공공)서비스 제공의 환경을 고려하였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환경업종 사회적기업 역시 공간분포에서 일반기업에서 제공하지 않는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기업의 환경업종은 산업폐기물 등의 폐기물 처리의 서비스로 인해 공장용지율이 높은 곳에 집적 입지하였지만 사회적기업의 환경업체는 보호해야 할 지역(문화재)으로 지정된 곳과 생활폐기물을 활용한 재활용, 주거환경 개선 서비스 등을 담당하기 때문에 인구밀도가 높은 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보였다.

문화예술업종 사회적기업은 문화예술의 인프라가 잘 구축되어 있는 곳, 기존의 문화예술업종이 밀집된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다만,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에서 그 영향력의 정도 차이를 보이며 사회적기업의 경우 일반기업보다 문화재 등의 문화자원이 많은 지역에 분포하는 특성을 나타냈다.

보육업종은 사회적기업과 일반기업 모두 경기도에 집중 분포하는 공간적 특징이 나타났는데 일반적으로 어린아이를 둔 신혼부부가 주거부담이 적은 경기도를 중심으로 거주하는 양상을 보이기 때문에 보육서비스의 수요가 높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가 고려되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간병가사 업종의 집중분포 패턴은 일반기업과 사회적기업에서 서울시에 집적 분포한다는 점에서는 유사한 분포특성을 보이지만 일반기업에서 분포가 낮은 지역에도 사회적기업이 집적 분포하는 특징을 보였다. 간병가사의 업종특성상 사람을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기 때문에 간병가사를 필요로 하는 지역, 그리고 간병가사 서비스를 제공할 고용인구가 높은 지역, 즉 인구밀도와 높은 연관성이 있음으로 나타났다.

기타업종 사회적기업은 대부분 소규모 제조업에 해당하는 업종이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를 포괄 할 수 있는 범위이며 상대적으로 영리적인 업종이기 때문에 시계열적 증가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공간적 분포에서는 사회적기업이 소규모 제조업을 중심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고용인구와, 시장이 형성 된 곳을 중심으로 분포하는 반면 일반기업은 공장이 밀집된 지역이나 대지의 확보가 용이한 서울 외곽 지역, 경기도에서 집적 분포하는 것을 보이므로 일반기업과는 다른 공간적 분포양상을 보였다.

지역특성분석을 업종별 정(+), 부(-) 요소로 빈도분석을 한 결과, 인구밀도, 경제활동 인구비율, 대학이상 인구비율이 모두 정(+)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사회적기업 모든 업종의 분포에 인적특성이 중요한 요소로 작용하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또한 비경제활동 인구비율, 자가보유율, 주택보급률에서 모두 부(-)의 요인으로 작용하여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은 곳에 분포하는 것으로 보이는데 그 것은 사회적기업이 민간기업보다 상대적으로 영리적인 성격이 낮아 적은 비용으로도 사회(공공)서비스를 누릴 수 있기 때문인 것과 연계하여 해석할 수 있다.

The ratio of change on region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Unit :%)

Industrial classification LQ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for each local government


Ⅴ. 결 론

본 연구는 수도권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이 입지한 63개의 지자체별로 사회적기업의 LQ지수를 측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지역특성요인과 실증분석, 업종별 지역특성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분포에 미치는 지역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은 인적특성과 소득수준의 영향을 받는다. 사회적기업은 인구밀도가 높으며, 대학이상의 교육수준이 높은 인구가 거주하는 지역, 외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지역에 분포하는 특성 등을 보이는데 사회적 서비스의 제공이기 때문에 서비스를 제공하는 자, 공급하는 자와 서비스를 받는 자, 수요자가 많은 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함을 나타나며 인적특성과 높은 연관성을 보이는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사회적기업은 서울시 내에서 강남권이 아닌 강북권에 집중 분포하는 특성을 보이고 자가보유율, 주택보급률에서는 모두 부(-)의 지역특성 요인으로 작용하였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소득수준이 낮지만 인구밀도가 높은 곳에 사회(공공)서비스 제공을 위해 분포하는 것으로 판단해 볼 수 있다.

둘째, 사회적기업은 업종별로 살펴보았을 때 일반기업과 유사한 공간분포를 나타내는 업종(교육, 문화예술, 보육, 간병업종)이 있고 상이한 공간분포를 나타내는 업종(보건, 사회복지, 환경, 기타(제조업) 업종)이 존재한다. 즉, 일반기업의 인프라를 기반으로 분포하는 업종은 영리기업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비용으로도 사회서비스를 제공하기 때문으로 판단해 볼 수 있고 일반기업의 제공이 적은 지역에 분포한다는 업종은 사회적기업의 사회(공공)서비스의 제공을 목표로 한다는 것에 기반하여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해석되었다.

셋째, 사회적기업의 분포특성을 통해 공공복리 증진 차원의 도시계획이 수립될 수 있을 것이다. 사회적기업의 업종별 분포특성을 살펴봄으로써 사회적기업의 분포가 낮은 지역은 필요한 사회적서비스의 업종별 사회적기업을 공급할 수 있으며 분포가 높은 지역은 전략적으로 육성화 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지역차원의 공공윤리 의식과 사회적 가치창출의 목적을 갖고 시작한 사회적기업이 집단 안에서 이기적으로 변질 될 수 있으므로(니부어의 사회윤리사상에 근거하여16.) 그 특성을 잘 파악하여 제도로서 보호하고 도시계획적 수단을 마련한다는 것에 의의를 갖는다. 이러한 제도적 변화는 기업윤리를 변화시켜 더 많은 기업을 사회적기업화 할 수 있는 제도와 규제를 마련할 수 있을 것이며 이것은 사회적기업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지역적 업종별 LQ지수의 분석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분포 및 지원현황을 파악함으로써 앞으로의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사회적기업의 지역적, 업종별 차별화 된 전략을 위한 기초데이터 마련이라는 것에 의의가 있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 밝히는 사회적기업의 지역특성요인은 절대적인 조건은 아니며, 향후 사회적기업이 향상될 수 있는 지표로 활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의 분포에 대한 지원을 달리해 내실을 키우며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자료로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거시적인 지표로서의 분포특성을 파악한 연구이므로 향후 미시적인 측면에서의 사회적기업에 대한 입지적 특성요인에 대한 계속적인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실증적 분석을 바탕으로 한 이러한 사회적기업의 지속성과 발전방향에 연구들은 사회적 목적의 실현이라는 점에서 가치 있는 연구가 될 것이며 다양한 측면에서 계속적인 발전을 하여야 할 과제로 생각된다.

Notes

주1. 사회적 책임(CSR)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으로써 기업의 존속을 위한 이윤 추구 활동 이외에 법령과 윤리를 준수하고 사회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여러 사회적 공헌 활동을 뜻한다(사회적기업매뉴얼, 2012, p17).
주2. 사회적 경제는 상호부조 조직, 협동조합, 결사체, 재단을 포함하는 개념으로 유럽을 중심으로 발전 하였고, ‘이윤보다 구성원이나 지역사회 이익을 위한 활동’, ‘자본보다는 인간과 노동을 먼저 고려한 소득배분’을 원리로 한다(사회적기업매뉴얼, 2012, p17).
주3. 사회적 투자는 지역 공동체와 더 넓은 범위의 사회를 위한 우선적인 발전 과제를 지원할 수 있는 명확하며, 자발적인 재정 및 비재정적 공헌 활동을 말한다(이로운 닷넷, 2013. 2월 검색)
주4. ‘사회적기업(社會的企業, Social Enterprise)’이란 비영리조직과 영리기업의 중간 형태로,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영업활동을 수행하는 기업이다. 즉, 사회 취약계층1.에게 사회(공공)서비스 또는 일자리를 제공하며 취약계층과 지역주민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한 사회적 목적을 추구하면서 생산, 판매, 서비스 등 영리활동을 하는 기업조직을 뜻한다(사회적기업 매뉴얼, 2012, p11).
주5. 사회적기업의 인증제도는 2007년 ‘사회적기업 육성법’을 통해 도입되었다. ‘사회적기업 육성법’의 제8조의 인증 요건을 갖추어야 하며, 고용노동부장관은 고용정책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사회적기업의 인증을 결정한다. 인증을 통과한 기업은 3년간 경영지원 및 시설비 지원, 공공기관 우선구매, 조세감면 및 사회보험료 지원, 재정지원 및 조세감면 등을 받게 되고 이윤의 2/3이상 사회적 목적을 위해 재투자 하여야 한다.
주6. 일반기업은 사회적기업의 업종과 유사업종으로 분류하였으며(대조군으로 맞추기 위해) 2010년 전국사업체 산업분류표에 따라 교육 서비스업,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하수 ․ 폐기물 처리, 원료재생 및 환경복원업, 예술, 스포츠 및 여가관련 서비스업, 자가소비 생산활동, 수리 및 기타 개인 서비스업, 제조업 등을 선정하였다.
주7. 이 연구에서의 사회적기업 자료로써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제공한 ‘2012년 사회적기업 리스트’를 활용하였고 일반기업에 대한 자료는 통계청 MDSS 읍면동 단위 사업체 및 종사자 자료 (2000-2010)를, 지역요인에 대한 자료로는 국가통계포털(KOSIS)·서울통계·BIZ-GIS 2010년 자료를 활용하였다. 사용된 모든 데이터는 거시적 관점에서 특성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시·군·구 단위로 집계하였다.
주8. 대학이상인구=전문대학+대학교+대학원 졸업인구
주9. 사회적기업에서 취약계층으로 분류한 사항은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령’의 제 2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그 범위를 저소득자, 고령자, 장애인, 청년, 경력단절여성, 장기실업자, 북한이탈주민, 성매매피해자, 가정폭력 피해자, 한부모자녀, 결혼이민자, 갱생보호대상자, 범죄구조피해자로 분류하였으나 본 본 연구에서는 자료구득의 문제로 취약게층을 기초생활수급자, 고령자(사회적기업 매뉴얼에서 고령자를 55세 이상으로 분류 함), 장애인 인구, 저소득 한가구 가구원수으로 한정하였다.
주10. 유아학교=어린이집+유치원
주11. 학교(수)=초등학교+중학교+고등학교
주12. 집적경제(economies of agglomeration)는 다수의 경제주체의 경제활동이 동일한 지역에 집적함으로써 발생하는 외부경제 및 외부불경제를 일컫는 개념이다(민경휘・김영수, 2003, 지역별 산업집적의 구조와 집적경제 분석, p.155).
주13. 일반적으로 의료기관은 교통이 편리하고 소득수준이 높은 지역에 입지하는 특성을 보인다(김현정 · 이금숙, 1998).
주14. 기타로 분류된 기업으로는 음식물제조, 물류택배, 일반제조, PC소모품, 지역개발․컨설팅, 출판․인쇄․복사․용지, 기타서비스로 나눌 수 있으며(곽선화, 2010) 각종 소규모의 제조업 업종이 포함되어 있다.
주15. 보육업종 사회적기업에서 대학이상 인구와 외국인 인구비율이 높게 나타난 것은 사회적기업이 수원시에 많이 분포하는 것 때문으로 판단된다. 수원시에는 대학이 많이 분포하고 외국인 노동자가 많이 거주하기 때문에 비율이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어린아이를 중심으로 활동하는 보육업종에 미치는 지역특성요인으로는 유의미하지 않기에 이를 제외한 다른 지역특성요인을 중심으로 해석하였다.
주16. 니부어(Reinhold Niebuhr)의 사회윤리 사상은 개인적으로는 도덕적인 사람도 자기가 소속된 단체의 이익을 위해서는 이기적이 되기 쉽다고 경고하면서, 개인 윤리와 사회 윤리를 분별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였다. (도덕적개인과 비도덕적사회, 1932)

Notes

주4. 사회적기업에서 취약계층으로 분류한 사항은 ‘사회적기업 육성법 시행령’의 제 2조에 명시되어 있으며 그 범위를 저소득자, 고령자, 장애인, 청년, 경력단절여성, 장기실업자, 북한이탈주민, 성매매피해자, 가정폭력 피해자, 한부모자녀, 결혼이민자, 갱생보호대상자, 범죄구조피해자로 분류하였다.

References

  • 고용부, (2012), 「제2차 사회적기업 육성 기본계획(2013~2017)」, 서울.
    The Ministry of Employment, (2012), The second basic social enterprise development plan (2013-2017), Seoul.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2), 「사회적기업 매뉴얼」, 서울.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2), Social enterprise manual, Seoul.
  • 한국산업단지공단 산업입지연구소, (2010), 「기업의 입지동향 및 변화추이 분석과 정책과제」, 서울.
    Korea Institute of Industrial Complex for Industrial Location, (2010), Trends and Changes in location analysis and policy challenges in the enterprise, Seoul.
  • 고용노동부, (2007), (2012년 일부개정) 「사회적기업 육성법」, 서울.
    The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07), (2012 revision)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ct, Seoul.
  • 안영수, (2013), “토지이용-교통모델 기반의 수도권 기업입지모델 개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An, Youngsu, (2013), "Landuse-transport models based firm location model of metropolitan research and development", Ph.D.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 이민주, (2013), “사회적기업의 공간적 분포와 입지요인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Minju, (2013), "Study on the Social Enterprise spatial distribution and location factor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 강수연, 이희정, (2011),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ang, Sooyeon, Lee, Heechung, (2011), " Study on urban creativity on local factors affect the characteristic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 김재인, 정건섭, (2010), “선진국 사례를 통한 한국형 사회적 기업의 과제와 방향”, 「공공행정연구」, 23(3), p27-34.
    Kim, Jaein, Jeong, Geonseop, (2010), "Challenges of Korean social enterprises through advanced practices and orientation", Public administration research, 23(3), p27-34.
  • 고용노동부, (2010), 「사회적기업 3주년 성과분석」, 서울.
    Ministry of Employment and Labor, (2010), Social enterprises 3 years Performance Analysis, Seoul.
  • 이광우, (2008),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숭실대학교.
    Lee, gwangwoo, (2008), "A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sustainable social enterprises", Ph.D. Dissertation, Soongsil University.
  • 민경휘, 김영수, (2003), “지역별 산업집적의 구조와 집적경제 분석”, 서울산업연구원, 서울.
    Min, gyeonghwi, Kim, Youngsoo, (2003), "Structure and Integrated Economic Analysis of Regional Industrial Cluster", Korea Institute for Industrial Economics, Seoul.
  • 김현정, 이금숙, (1998), “서울시 병원 분포와 사회․경제지표의 관계”, 「응용지리」, 1998(21), p17-37.
    Kim, Hyunjeong, Lee, geumsuk, (1998), "Seoul hospital distribution and social relations of economic indicators", Applied Geography", 1998(21), p17-37.
  • Janelle, A.Kerlin, (2010), “사회적기업 모델과 배경의 비교”, 「사회적기업연구」, 3(2), p5-19.
    Janelle, A.Kerlin, (2010), "Social enterprise models and compare the background,", Social Research, 3(2), p5-19.
  • Defourny, Jacques, Marthe Nyssens, (2009), “Conceptions of social enterprise and social entrepreneurship in Europe and the United States: Convergence and divergence”, Paper presented at the 2nd EMES International Conference on Social Enterprise, University of Trento: Italy.
  • Moshe Sharir, & Miri Lerner, (2006), "Gauging the Success of Social Ventures Initiated by Individual Social Entrepreneurs", Journal of World Business, 21(3), p15-23. [https://doi.org/10.1016/j.jwb.2005.09.004]
  • Michael E, Porter, (1995), "Competitive Advantage : Creating and Sustaining Superior Performance", The Free Press, New York.
  • Reinhold Niebuhr, (1932), "Moral Man and Immoral Society", New York, Charles Scribner’s Sons.
  •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 2012년 사회적 기업 리스트 자료.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2 year Social enterprise list data. (http://www.socialenterprise.or.kr, )
    Korea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2012 year Social enterprise list data, http://www.socialenterprise.or.kr.
  • 국가통계포털(KOSIS) 2010년 통계자료 The national statistics portal (KOSIS) 2010 years data (http://kosis.kr/, )
    The national statistics portal (KOSIS) 2010 years data, http://kosis.kr/.
  • 서울통계 2010년 통계자료 Seoul Statistics 2010 data (http://stat.seoul.go.kr/, )
    서울통계 2010년 통계자료, http://stat.seoul.go.kr/.
  • BIZ-GIS 2010년 통계자료 BIZ-GIS 2010 years Resources (http://www.biz-gis.com, )
    BIZ-GIS 2010 years Resources, http://www.biz-gis.com.
  • http://www.law.go.kr
  • http://eroun.net/

Fig 1.

Fig 1.
LQ Spatial distribution

Fig 2.

Fig 2.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education · health care companies

Fig 3.

Fig 3.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social welfare · environment companies

Fig 4.

Fig 4.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culture&art · child care

Fig 5.

Fig 5.
LQ Spatial Distribution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related to the nursing&home care and other

Table 1.

The National social(authentication) enterprise distribution

Section Gyeong gi-do Seoul Incheon Gangwon do Gyeong sang nam do Gyeong sang buk do Gwang ju
2007~2012년
Social Enterprise
131 174 37 38 31 45 37
17% 22% 5% 5% 4% 6% 5%
Dae gu Dae jeon Bu san Ul san Jeollanam do Jeolla buk do Jeju Chungcheong nam do Chungcheong buk do Total
33 21 52 21 30 47 17 26 34 774
4% 3% 7% 3% 4% 6% 2% 3% 4% 100%

Table 2.

Indicator frame of the social enterprise regional characteristic factor

Section Characteristics Item Computational method Unit
Human resour-ce charac-teristics Size Population density Population/Area Person/㎢
Economic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ratio of the non-economic activity Total population-
(15-64 years old populations) population/population
%
The Population ratio of the economic activity The population under 15-64 years old/population %
Social characteristics The Population ratio over the university8. The Population over the university/Population %
The Population ratio of foreigner Foreigner population/Population %
The Population ratio of vulnerable group9. Vulnerable group population/Population %
Local environ-ment Indust-rial
environment
The number of enterprise similar to socialenterprise
(Million/person)
The number of enterprise similar to social enterprise/Population Number/Person
The number of enterprise (Million/person) The number of enterprise/Population Number/Person
The ratio of factory site per person The size of factory site/Population ㎡/Person
Condition of life The ratio of park site per person The size of park site/Population ㎡/Person
The ratio of homeownership Homeowner/Household %
The ratio of housing distribution The number of residence/Household %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
(Million/ person)
The number of medical institution/Population Number/Person
The number of infant school10
(Million/person)
The number of infant school/Population Number/Person
The number of school
11(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Million/person)
The number of scho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Population
Number/Person
The number of financial agency
(Million/person)
The number of financial agency/Population Number/Person
The number of cultural asset The number of cultural asset/Population Number/Person

Table 3.

LQ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for each local government

Section 1* 2** Section 1* 2**
* Social enterprise,
** General enterprise
Capital region 1.00 1.00 Hwaseng(Gyeonggi) 1.03 1.95
Ganghwa-gun
(Incheon)
2.83 0.64 Suwon-si Jangan-gu(Gyeonggi) 1.02 0.82
Paju
(Gyeonggi)
2.61 1.35 Sungnam-si Bundang
(Gyeonggi)
1.00 0.88
Mapo-gu(Seoul) 2.49 0.65 Pocheon(Gyeonggi) 1.00 1.77
Yeonsu-gu
(Incheon)
2.34 0.71 Dong-gu(Incheon) 0.97 1.17
Yeongdeungpo-gu (Seoul) 2.28 0.84 Bucheon-si
Wonmi-gu(Gyeonggi)
0.97 1.22
Jung-gu(Incheon) 2.28 0.43 Gangseo-gu(Seoul) 0.94 0.67
Gyeyang-gu
(Incheon)
2.24 0.99 Suwon-si
Gwonseon(Gyeonggi)
0.93 0.85
Jongro-gu(Seoul) 2.11 0.80 Namdong-gu
(Incheon)
0.92 1.36
Seodaemun(Seoul) 2.02 0.65 Siheung(Gyeonggi) 0.91 1.88
Anseong-si
(Gyeonggi)
1.87 1.21 Geumcheon-gu
(Seoul)
0.88 1.20
Gwangjin-gu
(Seoul)
1.82 0.85 Nowon-gu(Seoul) 0.88 0.82
Sungnam-si Jungwon-gu
(Gyeonggi)
1.74 1.10 Gwangmyeong
(Gyeonggi)
0.88 1.00
Namyangju
(Gyeonggi)
1.69 1.30 Anyang-si Manan-gu(Gyeonggi) 0.83 0.95
Gwanak-gu(Seoul) 1.68 0.73 Pyeongtaek
(Gyeonggi)
0.78 0.92
Goyang-si Deokyang-gu
(Gyeonggi)
1.57 0.95 Eunpyeong-gu(Seoul) 0.64 0.72
Goyang-si Ilsandong-gu
(Gyeonggi)
1.57 1.11 Seongdong-gu(Seoul) 0.62 1.27
Seongbuk-gu
(Seoul)
1.53 0.98 Bucheon Sosa-gu(Gyeonggi) 0.62 1.00
Suwon-si Paldal-gu
(Gyeonggi)
1.33 0.68 Anyang-si Dongan-gu(Gyeonggi) 0.62 0.98
Guri(Gyeonggi) 1.24 0.79 Seocho-gu(Seoul) 0.60 0.60
Ansan-si Sangnok-gu
(Gyeonggi)
1.22 0.86 Gangnam-gu(Seoul) 0.54 0.64
Suwon-si Yeongtong-gu
(Gyeonggi)
1.21 1.15 Jungnang-gu(Seoul) 0.54 0.94
Seo-gu(Incheon) 1.19 1.62 Ansan-si Danwon(Gyeonggi) 0.52 1.46
Bupyeong-gu
(Incheon)
1.17 1.00 Gangdong-gu(Seoul) 0.51 0.72
Yongin-si Giheung-gu
(Gyeonggi)
1.16 0.96 Yongin-si Cheoin-gu(Gyeonggi) 0.51 1.10
Nam-gu(Incheon) 1.15 0.76 Gunpo(Gyeonggi) 0.50 1.48
Goyang-si Ilsanseo
(Gyeonggi)
1.13 1.16 Dongdaemun-gu
(Seoul)
0.49 0.82
Icheon-si(Gyeonggi) 1.13 1.01 Dobong-gu(Seoul) 0.41 0.80
Gangbuk-gu(Seoul) 1.12 0.79 Yongsan-gu(Seoul) 0.38 0.53
Jung-gu(Seoul) 1.12 0.91 Dongjak-gu(Seoul) 0.36 0.71
Guro-gu(Seoul) 1.11 0.86 Yangcheon-gu(Seoul) 0.29 0.90
Yangju-si(Gyeonggi) 1.08 1.65 Songpa-gu(Seoul) 0.18 0.64

Table 4.

The LQ Current status of the capital region enterprise in time-series change

Section 2007Y 2008Y 2009Y 2010Y Section 2007Y 2008Y 2009Y 2010Y
* The shaded area is over LQ1, it is distributed over the total 63 local government among local government of the capital region
Capital region 1.00 1.00 1.00 1.00 Suwon-si, Jangan-gu(Gyeonggi) 4.69 2.76 1.77 0.92
Songpa-gu(Seoul)   0.43 0.28 0.16 Hwaseong-si(Gyeonggi) 1.85 1.07 0.69 0.93
Yangcheon-gu(Seoul)     0.48 0.27 Yangju-si(Gyeonggi)   1.32 0.88 0.97
Dongjak-gu(Seoul)   0.86 0.58 0.33 Gangbuk-gu(Seoul) 3.26 0.97 1.89 1.01
Yongsan-gu(Seoul)       0.34 Guro-gu(Seoul) 1.7 1.05 1.41 1.01
Dobong-gu(Seoul)       0.37 Goyang-si, Ilsanseo-gu(Gyeonggi)   1.48 0.96 1.02
Dongdaemun-gu(Seoul)     0.75 0.44 Icheon-si(Gyeonggi)     0.91 1.02
Gunpo-si(Gyeonggi)     0.81 0.45 Nam-gu(Incheon) 4.85 2.17 1.42 1.03
Gangdong-gu(Seoul)   1.26 0.84 0.46 Yongin-si, Giheung-gu(Gyeonggi)       1.04
Yongin-si, Cheoin-gu(Gyeonggi)     0.81 0.46 Bupyeong-gu(Incheon) 1.96 1.17 0.76 1.06
Ansan-si Danwon-gu(Gyeonggi)       0.47 Seo-gu(Incheon)   0.73 0.97 1.07
Jungnang-gu(Seoul) 2.27 0.68 0.45 0.49 Suwon-si, Yungtong-gu(Gyeonggi)     1.04 1.09
Gangnam-gu(Seoul)     0.22 0.49 Ansan-si, Sangnok-gu (Gyeonggi)   2.22 1.4 1.10
Seocho-gu(Seoul)     0.32 0.54 Guri-si(Gyeonggi)     2.05 1.12
Anyang-si, Dongan-gu(Gyeonggi) 2.61 0.78 0.51 0.56 Suwon-si, Paldal-gu(Gyeonggi) 3.73 1.12 1.46 1.20
Seongdong-gu(Seoul) 2.40 0.73 0.99 0.56 Sungbuk-gu(Seoul)   0.76 0.5 1.38
Bucheon-si, Sosa-gu(Gyeonggi)       0.56 Goyang-si, Deogyang-gu(Gyeonggi) 6.78 4.03 2.59 1.41
Eunpyeong-gu(Seoul)   1.55 1.04 0.57 Goyang-si, Ilsandong-gu(Gyeonggi)   2.15 1.36 1.42
Pyeongtaek-si
(Gyeonggi)
    0.43 0.70 Gwanak-gu(Seoul) 4.59 2.77 1.82 1.51
Anyang-si, Manan-gu(Gyeonggi)       0.75 Namyangju-si(Gyeonggi) 2.66 2.32 1.97 1.53
Gwangmyeong(Gyeonggi) 3.63 1.09 0.72 0.79 Sungnam-si Jungwon-gu(Gyeonggi)     0.71 1.57
Nowon-gu(Seoul) 2.31 2.1 1.41 0.80 Gwangjin-gu(Seoul)   0.75 1.46 1.64
Geumcheon-gu(Seoul) 2.28 0.70 0.47 0.80 Ansung-si(Gyeonggi) 5.19 4.62 3.06 1.69
Siheung-si(Gyeonggi)   1.13 0.74 0.82 Seodaemun-gu(Seoul)   1.91 1.29 1.82
Namdong-gu(Incheon)     0.77 0.83 Jongro-gu(Seoul)   1.73 1.79 1.90
Suwon, Gwonseon-gu
(Gyeonggi)
    0.79 0.84 Gyeyang-gu(Incheon)   2.37 2.27 2.02
Gangseo-gu(Seoul)   1.23 0.81 0.85 Yeongdeungpo-gu(Seoul) 1.36 1.24 2.25 2.06
Bucheon-si, Wonmi-gu(Gyeonggi) 2.15 1.27 1.23 0.88 Yeonsu-gu(Incheon)       2.11
Dong-gu(Incheon)   2.16 1.5 0.88 Mapo-gu(Seoul) 4.12 3.08 2.44 2.25
Jung-gu(Seoul)   0.56 0.38 0.90 Paju-si(Gyeonggi)   0.94 2.47 2.35
Sungnam-si, Bundang-gu(Gyeonggi)   0.92 0.58 0.90 Ganghwa-gun(Incheon)   3.16 4.36 2.56
Pocheon-si(Gyeonggi)   1.14 0.78 0.90 Jung-gu(Incheon)   1.74 2.37 2.74

Table 5.

The LQ technical statistic

Section 2007Y 2008Y 2009Y 2010Y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 24 80 121 219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 20 43 56 63
Area over LQ1 20 30 26 29
Area under LQ1 0 13 30 34
Maximum value of LQ 6.78 4.62 4.36 2.74
Minimum value of LQ 1.36 0.43 0.22 0.16
Average of LQ 3.22 1.59 1.23 1.06
Standard deviation 1.43 0.94 0.80 0.59

Table 6.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 by industrial classification

Section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Environment Culture&art Child care Nursing & Home Care Other14
The number of social enterprise 13 5 39 27 38 7 18 72
The number of local government 10 5 28 23 23 7 17 41

Table 7.

The ratio of change on regional characteristic analysis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Unit :%)

Section Populat ion density The Populat ion ratio of the non-ec onomic activity The Populat ion ratio of the econo mic activity The Populat ion ratio over the universi ty he Populat ion ratio of foreign er The Populat ion ratio of vulnera ble group The numbe r of enterpr ise similar to social enterpr ise(Milli on per person) The numbe r of enterpr ise (Million per person) The ratio of factory site per person The ratio of park site per person The ratio of homeo wnershi p The ratio of housin g distribu tion The numbe r of medical instituti on(Milli on per person) The numbe r of infant school(Million per person) The numbe r of schoo(Elemen tary ,middle and high school) (Million per person) The numbe r of financi al agency (Million per person) The numbe r of cultural asset(Million per person)
* Social enterprise,
** General enterprise, The shaded area is (+)
Total 1* 20.5 -4.4 1.1 21.5 22.0 -4.5 21.8 25.3 -19.7 9.1 -6.0 -5.2 11.8 -7.4 -17.3 30.5 48.4
2** 8.4 -2.8 0.5 1.5 21.2 -6.6 28.7 14.5 25.1 7.9 -3.1 -2.0 6.8 0.6 -16.4 7.8 -8.6
Educatio n 1* 55.5 -7.7 1.8 41.1 45.0 -5.7 -10.6 -0.4 -54.3 0.5 -11.8 -8.6 10.8 -19.5 -33.2 26.0 -51.8
2** 21.7 -3.8 1.5 8.9 -5.4 -8.6 -8.6 -8.7 -28.2 8.6 -3.4 -2.4 6.9 -3.1 -22.6 -4.6 -38.4
Health care 1* 33.4 -8.2 1.6 22.2 62.4 2.9 87.3 118.8 -38.0 48.1 -16.6 -10.7 41.8 -11.9 2.9 137.9 75.0
2** 32.0 -5.6 2.0 20.2 -0.2 -6.8 -2.5 3.0 -39.7 -4.1 -6.5 -4.5 19.6 -9.9 -23.8 19.9 -19.6
Social welfare 1* 7.6 -3.3 1.3 12.5 -5.1 -9.7 5.1 0.4 5.4 38.7 -3.6 -1.9 10.4 5.0 -18.1 3.3 -42.2
2** -11.8 1.9 -0.7 -9.5 2.4 0.1 1.3 -7.6 36.9 4.4 3.0 2.4 -6.4 7.6 -0.6 -30.3 -15.0
Environ ment 1* 3.7 -2.8 0.9 10.3 6.6 -5.9 25.5 15.7 2.7 13.5 -3.3 -2.5 2.3 -1.0 -18.1 4.9 13.9
2** -34.2 2.5 -1.3 -16.6 20.2 -6.5 24.1 -5.5 132.3 36.4 3.2 5.6 -11.4 15.5 -2.1 -32.6 -45.8
Cultrue &Art 1* 40.8 -6.8 1.6 42.2 40.4 -0.7 25.2 46.0 -82.9 -34.6 -9.6 -10.7 29.1 -23.3 -21.6 71.3 194.6
2** 28.4 -5.6 2.0 28.4 2.5 -5.7 4.0 13.3 -45.8 -8.5 -6.9 -5.3 22.8 -11.7 -21.3 32.4 55.6
Child care 1* 10.0 -3.7 0.6 17.7 33.9 -13.6 -4.6 -7.0 -9.7 13.4 -0.4 -3.9 -12.9 -2.0 -17.4 -15.2 -79.0
2** 6.9 -1.8 0.6 -2.4 -0.4 -7.2 -4.8 -11.4 -2.8 5.5 -1.6 -1.2 -3.9 6.0 -19.1 -24.3 -43.5
Nursing &Home care 1* 75.3 -7.4 2.4 30.7 13.8 -3.9 -12.5 -9.6 -56.5 -35.7 -8.8 -10.1 4.8 -15.1 -31.9 -6.8 -59.3
2** 25.4 -3.9 1.2 11.2 11.5 -4.7 1.7 2.7 -21.0 -4.9 -4.1 -4.2 6.1 -6.0 -19.3 1.4 -21.2
Ohter 1* 3.2 -2.7 0.4 14.1 26.8 -2.7 40.1 41.5 7.3 24.0 -4.4 -3.1 9.2 -4.1 -9.0 40.3 88.8
2** -1.4 -1.9 -0.2 -5.2 39.5 -5.8 55.0 29.7 63.5 10.4 -2.5 -1.6 5.5 3.5 -12.3 14.6 8.5

Table 8.

Industrial classification LQ of Social enterprise and general enterprise for each local government

Local government Education Health care Social welfare Environment Culture&art Child care Nursing&home care Other
1* 2** 1* 2** 1* 2** 1* 2** 1* 2** 1* 2** 1* 2** 1* 2**
* Social enterprise,
** General enterprise
Capital region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1.00
Gangnam-gu(Seoul) 2.27 1.1   2.04 1.52 0.23   0.41   1.56   0.29 1.64 0.72   0.22
Gangdong-gu(Seoul)   1.11   1.29   1   0.3 1.48 1.08   0.7   0.9 0.79 0.45
Gangbuk-gu(Seoul)   0.79   1.14   0.42   0.11 2.16 0.65   0.95   1.5 2.28 0.71
Gangseo-gu(Seoul)   1.09   1.11 1.32 1.21 1.91 0.72   0.99   1.1   0.94 1.43 0.35
Gwanak-gu(Seoul)   1.01   1.34 3.14 0.62 2.27 0.29 1.61 1.86   0.92   1.39 1.7 0.44
Gwangjin-gu(Seoul)   1.01   1.13   0.61   0.22 1.75 1.19   0.83 3.69 1.07 3.69 0.72
Guro-gu(Seoul)   0.66 9.76 0.8 2.5 0.45   0.39   0.69   0.68 2.71 0.59 0.68 0.99
Geumcheon-gu (Seoul) 4.96 0.5   0.61 1.65 1.28 2.39 0.6   0.59   0.71   1.36   1.67
Nowon-gu(Seoul)   1.52   1.45 1.65 0.92   0.39   1.28   1.9 3.59 1.29 0.9 0.27
Dobong-gu(Seoul)   1.21   0.99   1.24 3.35 0.48   1.12   1.48   1.05   0.5
Dongdaemun-gu (Seoul)   0.62   1.08   0.33 1.97 0.32   0.52   0.67 2.96 0.77   0.88
Dongjak-gu(Seoul)   1.2   1.41   0.65   0.59   2.23   0.83 4.43 1.19   0.32
Mapo-gu(Seoul) 8.4 0.97   1.08   0.53 2.02 0.51 7.19 1.97   0.6 3.03 0.57 0.76 0.41
Seodaemun-gu (Seoul) 13.59 1.1   1.16   0.99   0.24 2.32 1.11   0.82   1.52 2.45 0.33
Seocho-gu(Seoul)   1.04   1.5 2.23 0.27   0.35 1.15 1.7   0.35   0.87   0.25
Sungdong-gu(Seoul)   0.67   0.8   0.21 2.53 0.46   0.63   0.64 3.79 0.87   1.72
Sungbuk-gu(Seoul) 5.15 1.07   1.22   0.55 2.48 0.31 1.76 0.93   1.05 3.72 1.08 0.93 0.9
Songpa-gu(Seoul) 2.97 1.13   1.24   0.37   0.46   1.09   0.66   1.01   0.31
Yangcheon-gu (Seoul)   1.84   1.31   0.85   0.56 1.69 1.27   0.96   0.82   0.42
Yeongdeungpo-gu (Seoul) 5.92 0.62   0.83   0.31   0.41 5.06 0.83 5.49 0.54 2.14 1.47 2.14 0.97
Yongsan-gu(Seoul)   0.5   0.8   0.51   0.06   0.77   0.54   0.83 1.16 0.5
Eunpyeong-gu (Seoul)   1.25   1.23   1.03   0.28   1.04   1.11 7.75 1.2   0.36
Jongro-gu(Seoul)   0.47   0.67   0.3 1.56 0.06 6.63 2.92   0.29   0.6 2.33 0.97
Jung-gu(Seoul)   0.15 5.46 0.46 0.7 0.1 1.01 0.07 0.72 0.37   0.13   0.45 1.89 1.43
Jungnang-gu(Seoul)   0.74   0.92 1.53 0.61   0.36   0.62   0.83   0.86 0.83 1.07
Ganghwa-gun (Incheon)   0.61   0.79   4.91   0.62 8.17 1   0.47   0.52 4.31 0.58
Gyeyang-gu (Incheon)   1.08   1.02   1.2 3.63 1.31   0.94   1.09   1.36 5.44 0.92
Nam-gu(Incheon)   0.82   0.9 1.61 0.86   0.63 1.65 0.68 8.97 0.97 3.49 2.26   0.68
Namdong-gu(Incheon)   0.78   0.88 2.58 0.74 3.73 1.89   0.65   0.79   0.75   1.77
Dong-gu(Incheon)   0.39   0.56   0.76   1.57   0.41   0.8   0.47 2.96 1.67
Bupyeong-gu (Incheon)   1.01   1   1.15 1.9 0.62 2.71 0.81   1.09 2.86 1 0.71 0.98
Seo-gu(Incheon) 4.99 0.86   0.71   1.03   3.6   0.67 9.27 0.94   0.4 1.8 2.2
Yeonsu-gu(Incheon) 9.84 1.58   1.02 3.28 1.11   1.37   0.98   1.09   0.99 3.55 0.23
Jung-gu(Incheon)   0.43 33.22 0.51   1.27   2   0.53   0.67   1.2 4.61 0.34
Goyang-si Deogyang-gu (Gyeonggi)   1.5   1.03 2.2 2.8   1.38 2.26 1.43   1.99   0.76 2.38 0.56
Goyang-si Ilsandong-gu(Gyeonggi)   1.36   0.91 2.21 1.49   1.15   1.36 12.31 1.01   1.05 2.39 1.05
Goyang-si Ilsanseo-gu (Gyeonggi)   2.21   1.36   1.38   0.33 3.24 1.63   2.2   1.78 1.71 0.55
Gwangmyeong-si (Gyeonggi)   1.29   1.13   0.54 3.56 0.9 2.53 1.05   1.53   1.23   0.79
Guri-si(Gyeonggi)   1.31   1.14   0.76 5.04 0.91   0.99   1.04   1.43 1.89 0.48
Gunpo-si(Gyeonggi)   1.45   0.97 2.78 1.66   1.96   0.77   1.59   0.84   1.59
Namyangju-si (Gyeonggi)   1.19   0.96 1.58 1.67 4.57 1.32   0.74   1.71   0.65 2.57 1.38
Bucheon-si Sosa-gu(Gyeonggi)   1.1   1.04 3.51 1.25   0.46   0.97   1.27   0.98   0.92
Bucheon-si Wonmi-gu (Gyeonggi)   1.16   1.09 1.37 1.22   0.57 1.4 1.54   0.78 2.96 1.33 0.74 1.31
Sungnam-si Bundang-gu (Gyeonggi)   2.1   1.72   0.48 2.69 0.39 1.91 1.14   0.83   1.29 1.01 0.22
Sungnam-si Jungwon-gu (Gyeonggi)   0.71 19.01 0.97 2.44 0.58 3.52 1.46   0.49   1.21   0.32 1.32 1.31
Suwon-si Gwonseon-gu (Gyeonggi)   1.2   0.84 2.61 1.14   1.43 2.68 0.96   1.6   0.85   0.61
Suwon-si Yungtong-gu (Gyeonggi)   1.98   1.35 3.4 0.14   0.53   1.11 18.94 2.1   1.4   0.69
Suwon-si Jangan-gu (Gyeonggi)   1.62   1.14   1.77 4.15 0.15   1.37   1.65   1.12 1.55 0.31
Suwon-si Paldal-gu(Gyeonggi)   0.96 19.4 1.21   0.84   0.13   0.64 13.85 0.82   1.61 1.35 0.45
Siheung-si (Gyeonggi)   0.79   0.55   1.12 3.68 1.23   0.44   1.15 2.76 1.16 0.69 2.72
Ansan-si Danwon-gu (Gyeonggi)   0.83   0.8   1.2   1.38 1.51 0.54   1.11   0.99 0.8 1.91
Ansan-si Sangnok-gu (Gyeonggi)   1.26   0.82 4.57 1.73   1.19   0.95   1.9 4.95 0.99   0.57
Ansung-si(Gyeonggi)   0.86   0.78   3 5.07 2.38   0.88   1.64 7.6 1.44 1.9 1.35
Anyang-si Dongan-gu (Gyeonggi)   1.46   1.04 3.47 0.45   0.81   1.1   1.02   1.24   0.77
Anyang-si Manan-gu(Gyeonggi)   0.94   0.83   0.74   0.85 4.79 1.01   1.15   0.71   0.97
Yangju-si(Gyeonggi)   0.76   0.48   2.41   3.08   0.81   1.82   0.33 3.29 2.23
Yongin-si Giheung-gu (Gyeonggi)   2.01   1.39 6.5 1.23   0.76   0.95   2.05   0.7   0.33
Yongin-si Cheoin-gu (Gyeonggi)   0.81   0.69   2.66   2.3   0.66   0.91   1.91 1.54 1.3
Icheon-si(Gyeonggi)   1.2   0.82 3.18 1.52   2.24   0.74 17.74 1.1   1.79   0.94
Paju-si(Gyeonggi) 6.28 0.92   0.76 8.37 2.2   3.22   0.94   1.56   0.72 2.27 1.6
Pyeongtaek-si (Gyeonggi)   1.02   0.8   0.7 4.23 2.14   0.52   1   0.82 0.79 0.89
Pocheon-si (Gyeonggi)   0.47   0.48 2.81 2.41   4.55   0.52   0.82   0.43 1.52 2.68
Hwaseong-si (Gyeonggi)   0.88   0.64 1.16 1.31 1.67 4.77   0.43   1.31   0.78 1.88 2.7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