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49, No. 1, pp.161-169
ISSN: 1226-7147 (Print)
Final publication date 07 Feb 2014
Print publication date Feb 2014
Received 20 Jan 2014 Reviewed 05 Feb 2014 Revised 06 Feb 2014 Accepted 05 Feb 2014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4.02.49.1.161

The Influence on the Crime Rate according to Proliferation of Convenience Store

KimJi-Hyun** ; YuSang-Gyun*** ; JungChang-Mu****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도시계획전공, 박사 ***대진대학교 도시공학과 조교수
편의업종의 확산이 범죄발생률에 미치는 영향 연구

Correspondence to: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건설환경공학부 정교수 plan@snu.ac.kr

This paper aims to study on the investigation of factors arising the crime rate. Crime rates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Generally, the social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population density, proportion of foreigner, income level of local resident, education degree of local resident are regarded as main factors. But the characteristics of trading area have an effect on the crime occurrence, too. Especially stores that lead to the nighttime movement are seriously affect the increase of crime. From this aspect, this study strenuously insist on the convenience store that causing curfew. In accordance with this hypothesis, this study consider the tendency to proliferation of convenience store and analyze the influence on the crime rate. Analytical result shows that the convenience store bring out the increasing crime rate.

Keywords:

Convenience Store, Crime Rate, Environmental Criminology,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편의점, 범죄율, 환경범죄학, 음이항회귀

Ⅰ. 서 론

1. 연구 배경 및 목적

도시의 시설ㆍ환경적 특성은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인간 행태에 영향을 미친다. 일반적으로 도시의 시설ㆍ환경적 특성에 대한 연구들은 도시의 다양한 시설ㆍ환경적 요인이 지역민의 경제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연구들이 주류를 이루어 왔다. 그러나 도시의 시설ㆍ환경적 요인들은 지역민의 경제활동 외에 치안이나 재난, 범죄발생률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것이 사실이다. 특히 야간통행 비율이 많고, 인구 구성이 다양하고, 심야영업이 주로 이루어지는 지역에서 빈번히 발생하는 범죄들은 지역의 상권구조가 범죄율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시사한다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이용고객의 인구적 특성(연령ㆍ사회적 계층ㆍ성별ㆍ직업 등)이 다양하고, 야간 통행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심야영업 소매점으로 편의점을 선정하여, 편의점이 지역의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ㆍ제시하고자 한다.

현재(2013년 1월 기준) 국내의 편의점 매장 수는 2만 5천개(전국) 가량으로(한국편의점협회), 지역상권 곳곳을 침투하며 지속적으로 확장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또한 지난 4년 사이 그 수가 2배가량 증가함에 따라 무분별한 출점이 횡행하고 있다는 비판이 급증하는 추세이며, 이에 지역사회에 발생할 수 있는 다양한 문제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는 실정이다.

Trend of Expansion : Convenience Store

Figure 1.

The Proportion of Customer AccessTime : Convenience Store

편의점의 수가 급증함에 따라 도심 내에서 24시간 운영되는 상점의 비중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야간의 이동인구 역시 증가하는 추세이다. 야간의 이동인구 증가는 지역의 환경 및 지역민 행태에 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으며, 동시에 범죄발생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즉 지역의 상권구조 변화는 인구의 이동시간을 확장시켜 야간통행을 유발하게 되며, 지역의 범죄발생률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역의 범죄발생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국내의 연구들은 환경범죄학을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기존 연구들에서는 도시의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도시의 공간적 요인들로 인구학적 특질(연령, 성별, 학력ㆍ소득수준ㆍ외국인 거주비율 등)이나 치안시설(경찰서, 파출소, CCTV 등) 등을 지목하고 있으며(조중구ㆍ이성우, 2006), 그 외의 요인(지역의 상권구조 변화)들에 대해서는 간과되어온 것이 사실이다.

반면 미국에서는 1970년대 이후부터 도시범죄 예방프로젝트의 일환으로 ‘Westinghouse Project’를 추진해 왔으며, 범죄가 많이 발생하는 장소ㆍ시설물을 지적하고 해당 장소ㆍ시설에 대한 영업규제를 실시함으로써 도시 내 범죄발생률 감소를 시도한 바 있다. 특히 오리건주(Oregon State)의 포틀랜드(Portland)에서는 상업지역을 주요 대상으로 한 범죄예방 프로젝트를 실시하고, 술집, 편의점, 호텔, 모텔, 성인용품점 등에 대한 규제를 시행함으로써 범죄가 발생하는 원인 시설을 적극적으로 규제하는 정책을 실시해 왔다(JefferyㆍZahm, 1993). 미국의 사례가 시사하는 바를 살펴보면, 도시의 공간 환경적 특질이나 지역의 업종 구성이 도시 내 범죄에 미치는 영향력을 다양한 시각에서 분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으며, 이에 도시의 범죄발생률 저감을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수립ㆍ시행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국내의 경우는 미국과 사뭇 다른 양상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공간적 특징을 범죄와 연결시키려는 시도는 발견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이는 범죄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여전히 일원화된 시각의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는 데 기인한다. 즉, 국내의 경우 도시의 공간구조 및 업종 구성이 지역의 범죄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논의가 여전히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범죄의 발생이 도시의 상권구조 및 공간의 환경적 특성과 밀접한 관련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도시 내 특정업종의 비중이 높아지면 범죄발생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적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 주목하는 특정 업종은 최근 급속도로 성장ㆍ확장을 지속하고 있는 ‘편의업종(편의점)’으로, 해당 업종이 지역의 범죄발생률 증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여 제시한다. 또한 그 결과를 해석적으로 제시함으로써 도시 내에 특정 업종의 비중이 높아질 경우 범죄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그 관계를 규명토록 한다.

Trend of Research : Environmental Criminology

2. 선행연구

도시 내에서 발생하는 범죄에 대한 연구는 주로 범죄학 분야에서 수행되어 왔으며, 시대변화에 따라 지속적 변화를 거듭하고 있다. 특히 도시 환경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는 1980년대 이후 환경범죄학 분야에서 주로 다루고 있으며, 일반 범죄학 이론과 달리 환경적 특수성이 범죄발생과 예방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심을 두고 있다. 최근 환경범죄학 연구 분야의 주요 화두는 ‘어떤 요인에 의해 범죄가 발생하는가?’에서 ‘범죄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방법은 무엇인가’로 옮겨가고 있으며, ‘어떤 성격이나 계층의 사람들이 범죄를 저지르는가?’에서 ‘어떤 상황이 범죄를 유발하는가?’로 관심이 변화하고 있다. 즉 개인에게 초점을 맞추어 이미 발생한 범죄의 원인을 규명하던 연구에서 범죄를 유발하는 환경적 특성을 파악하고, 이를 예방하기 위한 도시환경을 구축하는 방향으로 학문적 관심사가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정진성ㆍ황갑, 2010).

환경범죄학 분야의 연구동향을 살펴보면, 1920년대부터 1950년대까지는 범죄자 개인의 특성에 주목하여 범죄발생의 원인을 지적하며, 실업, 빈곤, 가족유대 약화 등 지역사회 특성이 범죄발생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회해체이론’을 발전시켜왔다. 1960년대 이후에는 범죄 기회와 상황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적 특성에 주목하여 범죄를 유발하는 상황을 제거ㆍ통제하기 위한 정책을 시도하였다. 이 시기의 가장 대표적인 이론은 도시의 물리적 환경 변화를 바탕으로 범죄예방을 시도한 ‘환경설계를 통한 범죄예방(CPTED)’과 범죄기회 감소를 위한 구체적 상황변화 상황변화를 시도한 ‘상황적 범죄예방이론(Situation Crime Prevention)’이다(VencilㆍVencil, 2004). 이들 이론은 범죄행위가 발생하는 상황이 객관화된 물리적 요소에 의해 소거될 수 있다고 가정하고, 범죄유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물리적 공간구현에 집중하였다. 최근에는 범죄예방을 위한 도시차원의 대응 전략으로 ‘지역사회 경찰활동’이 강조되고 있으며, 도시의 안전유지를 위하여 관계기관 및 경찰의 참여를 독려할 수 있는 커뮤니티를 구축하는 다양한 전략연구가 수행ㆍ제시되는 실정이다(강용길, 2012; Sampson and Earls, 1997; Sampson, 2002).

국내에서 역시 도시의 공간ㆍ환경적 특성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과 그 원인을 규명하기 위한 연구들은 다수 수행된 바 있다(정경석ㆍ문태헌ㆍ정재희ㆍ허선영, 2009; 정진성ㆍ이성우, 2006; 정진성ㆍ곽대훈, 2008; 정진성ㆍ박현호, 2010). 그러나 국내 연구 역시 도시의 물리적 환경 특성이나 도시설계 특성, 경관특성 등이 범죄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제시하거나(구지연ㆍ김기호, 2011; 이효창ㆍ이제화ㆍ김대진ㆍ하미경, 2011; 이상현, 2011; 김걸ㆍ장환영, 2012) 사회의 구조적 특성이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범죄발생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는 연구(정진성ㆍ강욱, 2013)들이 주류를 이루고 있다.

결과적으로 도시 내에서 수행되는 경제활동이 범죄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도시의 상업적 특성(상권구조)이 범죄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칠것인가에 대한 연구들은 여전히 미진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특정 업종이 과다 분포할 경우, 도시의 범죄발생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분석적 접근을 시도하고자 한다.


II. 분석의 틀 및 분석 결과

1. 분석 자료

도시 내 특정 업종의 분포와 범죄발생 사이의 인과관계 분석을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5대 범죄(살인, 강도, 강간, 폭력, 절도)발생률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분석의 공간적 범위는 구별 범죄발생률 자료구득이 가능한 청주시로 선정하였다. 분석의 내용적 범위는 인구사회학적 변인(여성인구 비율, 인구밀도, 면적, 청소년 비율, 외국인 가구 비율)과 범죄대응변인(최인접 경찰서까지의 거리, 고정식 무인 CCTV 수)으로 구성되며, 본 연구에서 주목한 야간 통행 유발 업종으로는 유흥주점과 편의점을 주요 변인으로 추가하였다(표3).

Analysis Variables 면적 : ㎢, 거리 : m

2. 분석 방법

범죄발생율과 같은 가산 자료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없는 자료로, 포아송 분포에서 가정하는 것처럼 평균과 같은 분산을 갖지 않고 평균보다 더 큰 분산을 갖는 과대산포(overdispersion)를 보인다. 즉 자료의 형태가 이산적이며 한쪽으로 치우친 비대칭 분포를 보인다는 특징을 지닌다. 이러한 자료를 분석할 경우에는 최소자승법(OLS)에 근거한 선형회귀모형은 적합하지 않으며, 가산자료에 적합한 분포함수를 가진 모형을 활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연구에서는 가산자료 분석의 대표적 방법인 음이항 회귀분석(Negative Binomial Regression)을 활용하여 분석을 수행한다.

음이항 회귀분석은 최대우도추정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을 활용하며, 이 경우 각 변수들의 척도의 크기 차이가 나지 않을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각 변수들의 평균 비율의 차이가 10배 이하가 될 것을 권고하므로(정진성ㆍ강욱, 2013), 분석의 안정성을 위하여 인구 비율 변인(여성인구 비율, 청소년 비율, 외국인가구 비율)에는 10을 곱하고, 인구밀도와 경찰서까지의 거리는 1000으로 나누었으며, 범죄발생율과 유흥업소 수는 10으로 나누어 대수변환을 실시한 후 음이항 회귀분석을 수행하였다.

3. 분석결과

본 연구에서는 분석수행의 적정성 검정을 위해서는 하였으며, 이를 위하여 음이항 회귀모형의 로그 우도(Log Likelihood)를 구한 후, 분포를 가진 우도 비(Likelihood Ratio : LR)를 계산하였다. 우도비(LR) 검정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위 식에서 InLR과 InLUR은 제약이 가해진(restricted) 모형과 제약이 없는(unrestricted) 모형의 로그우도함수(log-likelihood function)값으로, 각 모형을 추정한 후 로그우도 함수값을 구하여 검정을 수행할 수 있다. 검정통계는X2(X2df) 분포를 따르며 분포의 자유도는 제약이 가해진 모수의 개수가 된다. 분석 실행결과 우도비(LR)는 39.9894로 통계적으로 유의(<.0001)하게 나타났다.

Results of Analysis

도시의 인구사회학적 변인과 범죄대응변인, 야간통행 유발변인이 5대 범죄 발생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여성인구비율과 행정구역 면적, 최인접 경찰서까지의 거리, 무인 CCTV의 수, 편의점 수 등의 변수가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상세히 살펴보면, 전체 인구 중 여성인구의 비율이 높을수록 범죄 발생률에는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행정구역 면적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범죄대응변인은 모든 값이 유의미하게 제시되었는데, 이때 최인접 경찰서까지의 거리가 멀어질수록 범죄 발생률이 높아진다고 제시되어 기존의 상식과 부합하는 결과가 도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무인 CCTV의 수가 많을수록 범죄발생률은 증가한다는, 기존의 상식과 부합하지 않는 결론이 제시되었는데, 이는 본 연구 분석에 활용된 자료가 교통단속에 활용되는 무인단속 CCTV의 개수를 파악한 것으로 해당 개체가 5대 범죄 발생과 큰 연관이 없으며 수집된 자료의 수가 현저히 작기 때문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향후 도시 내 CCTV 자료의 구득을 통해, 보다 현실설명력 높은 결과를 도출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다음으로 야간통행 유발 변인에 대한 분석 결과 유흥주점의 수는 유의미하지 않은 반면 편의점의 수가 증가할수록 범죄발생률은 증가하는 것으로 제시되었다. 이는 본 연구에서 초기 설정한 연구가설, 즉 ‘야간통행을 유발하는 업소(편의점)가 과다 분포할수록 범죄발생률은 증가할 것이다.’라는 가설이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의 결과를 고찰해 볼 때, 야간통행을 유발하는 업소(편의점 등)가 과다 분포할 경우 도시 환경의 안정성은 저해될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해당 결과를 바탕으로 특정 업종의 과다분포를 지양할 수 있는 도시계획‧설계의 필요성을 시사할 수 있으리라 판단한다. 이밖에 인구밀도나 청소년 인구 비율, 외국인 가구의 비율 등은 범죄발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물론 상기의 분석 결과는 한정된 자료와 연구범위를 바탕으로 하고 있다는 한계를 지닌다. 그러나 기존에 고려되지 않았던 도시의 업종구성이 범죄발생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하고 유의미한 결과를 이끌어 냈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III. 결론

본 연구에서는 도시 내 야간통행을 유발하는 특정 업종이 과다 분포할 경우 범죄발생률 증가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는 전제 하에 실증분석을 수행하였다. 실제로 국내의 편의점 업종 수는 최근 들어 급속히 확산되고 있으며, 편의점 빅뱅시대라 불리울만큼 그 규모가 증가한 것이 사실이다. 이에 편의점의 급속 확산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ㆍ경제적 부작용들에 대한 논의가 활발히 진행 중에 있으며, 특히 경제적 부작용에 대한 연구들은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도시 내 업종구성의 변화나 상권특성의 변화가 범죄발생율의 증감에 미치는 영향을 미시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찾기 힘든 실정이며, 범죄발생 예방을 위해 도시차원에서 고려하는 정책들 역시 물리적 환경 개선이나 인구ㆍ사회학적 통제 정책들로 점철되어 있는 것이 사실이다. 최근의 편의점 확산 추이는 비정상적이라 평가받을 정도로 그 규모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도시는 경제적 차원 뿐 아니라 사회적 차원으로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때문에 편의점의 확산이 지역경제 및 상권구조에 미치는 영향은 물론, 사회의 기타 영역이 받는 영향에 대한 추가적 논의는 필수적으로 수행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과거와 달리 그 규모가 급증한 편의점을 야간통행을 유발하는 주요 속성으로 인지하고, 편의점이 5대 범죄율 증가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를 분석적으로 고찰하였으며, 분석 결과를 통해 편의점의 개소수가 많을수록 5대범죄율은 증가한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도시 내 특정업종의 비중이 여타의 업종에 비해 현저히 높은 것은 도시의 상권구조가 비정상적임을 의미한다. 또한 특정 업종의 과대 성장은 도시차원에서 부작용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 최근 급속도로 확산되고 있는 편의점 업종은 이용하는 사람들에게 편의를 제공한다는 측면에서 긍정적으로 평가받을 수 있다. 또한 편의점 확산이 도시의 상권구조에 영향을 미치게 되어 긍정 혹은 부정의 결과를 도출할 것이라는 다양한 연구의 수행은 도시경제를 분석하는 차원에서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할 연구 주제일 것이다. 그러나 야간통행을 유발하는 업종이 다수 확산될 경우 도시가 받게 될 영향이 무엇인지, 특정업종의 확산이 도시의 치안 차원에 부정적 영향을 발휘하게 된다면 그 예방책은 어떻게 수립해야 할 것인지에 대한 논의 역시 동반되어야 할 필수 과제라 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연구들에서는 도시경제 분석과 도시치안 분석을 별도로 구분하고 있으며, 도시의 상권구조 변화에 따라 도시전체가 받는 영향력의 크기를 가늠하거나 구체적으로 분석ㆍ한 연구는 미진한 실정이다. 도시 안에서 수행되는 상업 활동은 도시민의 경제활동 뿐 아니라 다양한 분야에 영향을 미친다. 그 중 치안과 범죄의 영역은 경제활동의 영향을 받는 주요 분야라 할 수 있다. 특정 업종의 확산이 도시차원에 혜택을 줄 것인지, 예상치 못한 부작용이 발생하여 도시 전체의 효용을 앗아갈 것인지를 명확히 판단하고,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은 정책결정자들이 향후 필수적으로 고민해야 할 과제일 것이다. 또한 다양한 인구ㆍ사회학적 변인과 도시의 시설ㆍ경제적 특성이 고려된 학술연구 수행을 통해, 지역의 범죄발생을 예방하고 치안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꾸준히 모색해야 할 것으로 판단한다.

이 연구가 가진 한계 중 하나는 편의업종의 확산이 구체적으로 어떤 행태적 과정을 거쳐 범죄발생을 촉발시키는가에 대한 미시적 설명이 부족하다는 점이다. 24시간 편의점의 경우 야간활동인구를 위한 안전도우미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좋은 지역거점임과 동시에 범죄자를 유인하는 시설일 수 있으므로, 범죄발생의 행태적 과정을 보다 정밀하게 파악할 수 있다면 도시범죄 발생률 억제를 위한 24시간 편의점의 긍정적인 역할을 보다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한다.

Acknowledgments

* 본 논문은 한국연구재단(과제번호 0583-20130017)과 서울대학교 건설환경종합연구소에 의해 지원되었습니다.

References

  • Jeffery, C. R., Zahm, D. L., (1993), “Crime prevention through environmental design, opportunity theory, and rational choice models. In Routine Activity and Rational Choice”, Advances in Criminological Theory, 5, edited by R. V. Clarke, and M Felson., New Brunswick, NJ: Transaction Publishers, p332-333.
  • Sampson, R. J., Raudenbush, S., Earls, F., (1997), “Neighborhoods and Violent Crime: A Multilevel Study of Collective Efficacy", Science, 277. [https://doi.org/10.1126/science.277.5328.918]
  • Sampson, R. J., (2002), “Transcending Tradition: New Direction in Community Research”, Chicago Style Criminology, 40(2), p213-230.
  • Vencil, C. D., M. P. Vencil, (2004), “Spatial and Economic Aspects of Crime : The Mapping of Homocides in Oakland, CA. 2002-2003. What Are the Locational and Other Correlates of Crime? And What is the Appropriate Police Response?”, Paper Presented at the 43rd, February 21-29, Annual Meeting of the Wester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 Wailea Marriott, Maui, Hawaii, USA.
  • 강용길, (2012), “미국의 도시 범죄예방 프로그램 사례와 시사점”, 「국토연구」, 368, p31-37.
    Kang, Yong-Gil, (2012), “U.S. Cities Crime Prevention Project Case and Implications“, The Korea Spatial Planning Review, 368, p31-37.
  • 구지연, 김기호, (2011), “도시의 물리적 환경특성이 범죄두려움에 미치는 영향”, 「도시설계」, 12(5), p59-77.
    Ku, Ji-Yeon, Kim, Ki-Ho, (2011), “The Effects of the Physical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of City on the Fear of Crime“, Urban Design, 12(5), p59-77.
  • 김걸, 장환영, (2012), “범죄로부터 안전한 도시 만들기의 전략과 정책방향”, 국토연구원 국토정책 Brief, 402, p1-8.
    Kim, Kirl, Jang, Hwan-Young, (2012), “Making the city safe from crime strategy and policy direction“, f, KRIHS Policy Brief, 402, p1-8.
  • 이상현, (2011),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도시공간구조의 범죄예방성능 평가”, 대한건축학회 논문집-계획계, 27(8), p243-250.
    Lee, Sang-Hyun, (2011), “Evaluation of Crime Prevention Performance of Urban Spatial Structure through Network Analysis“, Journal of the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Planning and Design), 27(8), p243-250.
  • 이효창, 이제화, 김대진, 하미경, (2011), “상업지역 보행 로의 범죄안전 환경을 위한 조명계획 방향에 관한연구”, 「서울도시연구」, 12(1), p73-89.
    Lee, Hyo-Chang, Lee, Jae-Hwa, Kim, Dae-Jin, Ha, Mi-Kyoung, (2011), “A Study on the Direction of the Lighting Plan for Crime-Free in Street of Commercial District“, Seoul Studies, 12(1), p73-89.
  • 정경석, 문태헌, 정재희, 허선영, (2009), “GIS와 공간 통계기법을 이용한 시공간적 도시범죄 패턴 및 범죄발생 영향요인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지」, 12(1), p12-25.
    Jeong, Kyeong-Seok, Moon, Tae-Heon, Jeong, Jae-Hee, Heo, Sun-Young, (2009), “Analysis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Crime and Its Influencing Factors“,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Geographic Information Studies, 12(1), p12-25.
  • 조중구, 이성우, (2006), “공간적ㆍ환경적 요인이 범죄피해에 미치는 영향”, 「서울도시연구」, 7(2), p57-76.
    Cho, Joong-Koo, Lee, Seong-Woo, (2006), “The Effects of Spatial and Environmental Factors on Crime Victimization“, Seoul Studies, 7(2), p57-76.
  • 정진성, 곽대훈, (2008), “지역사회의 생태학적 변인이 범죄율에 미치는 영향: 성장곡선모형을 이용한 종단적 분석”, 「형사정책연구」, 19(3), p251-290.
    Cheong, Jin-Seong, Kwak, Dae-Hoon, (2008), “A Study on the Effects of Community Conditions on Crime Rates : Longitudinal Analyses Using the Growth Curve Model“,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19(3), p251-290.
  • 정진성, 박현호, (2010), “지역사회의 구조적 특성이 살인범죄에 미치는 영향 : 전국 시군구를 대상으로 한 음이항 회귀분석”, 「형사정책연구」, 21(1), p91-119.
    Cheong, Jin-Seong, Park, Hyun-Ho, (2010), “A Study on the Effects of Structural Covariates on Homicide : Nationwide Analysis Using Negative Binomial Regression Model“,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1(1), p91-119.
  • 정진성, 황의갑, (2010), “살인범죄의 원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 GIS를 활용한 공간회귀모델링”, 「형사정책」, 22(1), p157-184.
    Cheong, Jin-Seong, Hwang, Eui-Gab, (2010), “A Macro-Level Study on the Cause of Homicide Rate: Nationwide Analysis Using Spatial Regression Model“, Korean Criminological Review, 22(1), p157-184.
  • 정진성, 강욱, (2013), 도시지역의 사회구조적 특성과 살인범죄와의 인과관계: 서울시 행정동을 중 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3(3), p152-162.
    Cheong, Jin-Seong, Kang, Wook, (2013), “Causal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Metropolitan Neighborhoods and Homicide“, Journal of Korea Contents Association, 13(3), p152-162. [https://doi.org/10.5392/JKCA.2013.13.03.152]

Figure 1.

Figure 1.
The Proportion of Customer AccessTime : Convenience Store

Table 1.

Trend of Expansion : Convenience Store

Type Existing Store Present Store
CU 7938 (2013.11) 7,940
GS25 7100 (2013.11) 7,700
세븐일레븐 7200 (2013.11) 7,230

Table 2.

Trend of Research : Environmental Criminology

구분 내용 주요 전략
사회해체이론
Social Disorganization Theory
ㆍ1920년대부터 1950년대 환경범죄학 주류이론
Main Theory of Environmental Criminology : 1920-1950
ㆍ이후 문화갈등이론, 긴장이론, 하위문화이론 등으로 발전
Development : Culture Conflict Theory, Strain Theory, Subculture Theory
ㆍ사회 구조적 원인 및 사회학습, 사회통제이론 연구 진행
Progression : Sociostructural Cause, Society Learning Theory, Society Regulation Theory
ㆍ지역사회 구조적특성 개선
Improve the structural characteristics of the community
CEPTED와 상황적 범죄예방이론&
Situational Crime Prevention Theory
ㆍ1960년대 이후 : Since the 1960`s
ㆍ물리적 환경변화로 범죄기회 감소 추구
Decrease of Crime Opportunity through Physical Environment Transition
ㆍ범죄기회 감소를 위한 상황변화의 중요성 강조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hanging Circumstances
ㆍ집합효율성이론으로 발전
Progress in the Collective Efficacy Theory
ㆍ범죄 기회와 상황 최소화
Minimize the Crime Opportunity
ㆍ환경과 사회구성원 관계 중시
Emphasis on Member of Society and Environment
지역사회 경찰활동
Police Operation in Community
ㆍ지역사회와의 협력 강화를 통한 범죄예방
Prevention of Crime through Community Cooperation
ㆍ범죄대응능력 강화를 위해 지역사회 유대감 조성
Making the Connectedness within the Community
ㆍ경찰 대응능력 강화
Reinforcement the Police Response Ability
ㆍ민관 협조
Help of the People and the Government

Table 3.

Analysis Variables 면적 : ㎢, 거리 : m

구분 Classification 변수Variable MEAN S.D
종속변수Dependent Variables 5대범죄율 5 Major Crime Rate 155.45 120.49
독립 변수 Independent Variables
인구 사회학 특성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여성인구 비율 Female Ratio 0.50 0.008
인구밀도 Population Density 11004.2 8162.3
행정구역 면적 Administration Area 4.98 6.86
청소년 인구 비율 Teenager Ratio 0.15 0.015
외국인 가구 비율 Foreigner Household Ratio 0.84 1.668
범죄 대응특성 Characteristics of Crime Response 최인접 경찰서 거리 Distance of Nearest Police Station 1648.95 1139.9
무인 CCTV 수 No. Manless CCTV 0.80 1.186
야간통행 유발 특성 Characteristics of Curfew Induction 유흥주점 수 No. General Bars 54.30 51.68
편의점 수 No. Convenience Store 7.30 6.374

Table 4.

Results of Analysis

구분 Classification 독립변수 Variable 계수 Coefficient p
Intercept -219.438 0.0104
인구 사회학 특성
Characteristics of Demographic Sociology
여성인구 비율
Female Ratio
41.0144** 0.0208
인구밀도
Population Density
0.2595 0.1980
행정구역 면적
Administration Area
-0.6737* 0.0813
청소년 인구 비율
Teenager Ratio
8.3474 0.3853
외국인 가구 비율
Foreigner Household Ratio
0.0106 0.8983
범죄 대응특성
Characteristics of Crime Response
최인접 경찰서 거리
Distance of Nearest Police Station
3.3895** 0.0275
무인 CCTV 수
No. Manless CCTV
5.2223*** 0.0027
야간통행 유발 특성
Characteristics of Curfew Induction
유흥주점 수
No. General Bars
-0.6364 0.1083
편의점 수
No. Convenience Store
1.6497*** <.0001
Log Likelihood
LR Chi-square
-97.6279
106.9108
Likelihood Ratio Test of a=0 39.9894 (<.00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