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52, No. 5, pp.227-237
ISSN: 1226-7147 (Print) 2383-917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1 Oct 2017
publication date 30 Aug 2017
Received 31 Aug 2016 Revised 20 Mar 2017 Reviewed 03 Apr 2017 Accepted 03 Apr 2017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7.10.52.5.227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모형 개발

김경화* ; 반영운** ; 백종인*** ; 강상욱****
Development of Citizen Participation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Kim, Kyung-Hwa* ; Ban, Yong Un** ; Baek, Jong-In*** ; Kang, Sang-Wook****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namuhangur@naver.com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ence to: ** byubyu@chungbuk.ac.kr

Abstract

Citizen participation is a core value and a basis in community building. This study has intended to develop a citizen participation model (CPM) for community building. To reach this goal, this study employed focus group interview (FGI) to collect data related to factors and indicators of citizen participation, and developed a CPM and applied the CPM to Jangsu Vaillge in Sungbuk-Gu, Seoul City, and derived several remarks through contents analysis.

As a result, this study has developed the CPM composed of four core processes: 1) community awareness and relationship building, 2) project excavation and organizational preparation, 3) implementation of action plan, and 4) performance measurement. The model includes feedback process while 16 factors of citizen participation for community building work together organically with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administration.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to Jangsu Village has led the following results : 1) citizen participation requires continuous communication and cooperation with experts, activists, supporting organization, and government, 2) citizen participation has made positive impacts on reinforcing community awareness and relationship building in terms of feedback system as a cyclic mechanism, 3) citizen participation needs to be both a basis and a goal of community building.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sign citizen participation processes for community building in a detailed and technical manner.

Keywords:

Community Building, Citizen Participation, Citizen Participation Model, Governance

키워드: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주민참여 모형, 거버넌스

1. 서 론

1990년대 후반 민간영역에서 시작된 마을만들기운동이 최근에는 도시재생, 사회적 경제 분야의 새로운 정책적 대안으로 주목 받고 있다. 민간영역의 마을만들기가 행정의 정책수단이 되면서 민간영역에서의 한계를 극복하고 성과를 확대, 보급할 것이라는 긍정적인 기대가 있는 반면, 행정의 성과주의 지향과 행정편의적 사업추진으로 인해 마을만들기의 본질이라 할 수 있는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주민참여를 훼손시킬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서는 주민참여가 단순한 수단이나 실현전략이 아니라 마을만들기의 목적 그 자체로 설정하여야 한다. 또 마을만들기가 실질적으로 주민들의 참여의 장이 되기 위한 바람직한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마을만들기에서 주민참여 과정 및 모형과 관련된 선행연구에서는 계획가나 행정 관점에서 과정 및 모형을 제시하고 있어 실제 현장 적용에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으며 마을만들기를 확산시키기 위해 적절한 주민참여의 방향과 내용을 제안하고 있으나 주민참여 모형의 개발과 적용은 다루지 않고 있다 (진영환 외(2008); 이영아 외(2008); 초의수 외(2010) 등).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마을만들기의 주민 참여 모형을 개발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마을만들기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주민참여의 장이 되기 위하여 마을주민, 관련 전문가그룹 및 활동가, 중간지원조직 등에게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과 주민참여 과정에 관한 가이드라인과 관련 정책 개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Ⅱ 이론적 고찰

1. 마을만들기 및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이론은 기존 학문적 이론에 근거하기보다 다양한 형태의 공동체 활동을 통해 개념과 특성을 정립하고 있다. 마을만들기는 주민이 지역의 거주성을  높이기 위해 지역 자원의 공동 관리를 지향하는 운동, 또는 거주 환경을 정비하기 위하여 주민의 다양한 요구들을 받아들여 계획에 주민 참여를 도모하는 일(엔도 야스히로, 1997)이며, 개인 공간에만 집착하던 개개인들이 공유 공간에 관심을 갖고 이웃과 더불어 공동의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을 학습하고 체험함으로써 진정한 주민으로, 민주시민으로 새롭게 태어나는 과정이다(정석, 1999). 마을만들기는 일정한 지역에 살고 있는 사람들이 자신들의 생활을 지탱하며 편리하고 보다 인간답게 생활할 수 있도록 공동의 장을 만들어 가는 방법 및 과정(다무라 아키라, 1987: 정석, 1999 재인용)이며, 지역을 기반으로 커뮤니티를 구축하고 사람간의 관계를 회복하는 것으로서 주민들 간의 소통과 관계성 회복, 공통 관심사 형성 등이 선행되어야 진정한 마을만들기 사업이 성공할 수 있다 (정재희, 2012). 따라서 마을만들기는 주민들이 공동 학습하고 체험하고 서로 소통하여 관계를 회복하고 공통의 관심사를 만드는 과정이며, 이 과정은 주민참여로 실현할 수 있다. 마을만들기는 주민참여를 도모하고 조정해 나가는 방법이자 과정이며, 마을만들기의 본질적인 속성은 주민참여라 할 수 있다.

2. 선행연구 검토 : 주민참여 과정과 모형

Chavis and Abrahamsman(1990)은 마을만들기 과정에서 핵심적인 메커니즘은 협력하는 자발적 조직에서의 개인의 참여이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로 환경의 인식, 사회적 연대, 공동체 자체의 통찰적 조절과 조율권이며 이 요소들의 촉매는 공동체 인식이라 주장하였다. Bjaras et al.(1991)은 공동체 인식, 이웃과의 연대, 자율권에 대한 인식 등을 주요한 주민참여 평가지표로 설정하였다. 일본 국토성은 참여형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을 의식화–과제화-역할 의식–행동-보상 과정으로 설정하였다. 캔자스대학 공동체 건강과 개발 실무그룹은 주민참여 과정을 평가와 우선순위 설정-계획 세우기-계획한 행동의 실행-커뮤니티의 상황 및 체계 변화시키기-행동방식의 문제 요소를 개선함으로써 변화의 폭 넓히기로 제시하였다(진영환 외, 2008). 송미령(2004)은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의 모형을 리더십을 갖춘 지도자의 존재, 외부로부터의 관심과 지원, 적절한 보상기제의 작동이라는 조건에서 주민간 역할 분담과 사업단계의 성숙에 따른 주민참여 수준이 제고되어 스스로 역량을 갖추어가면서 전권을 행사하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진영환 외(2008)는 살고 싶은 도시·마을만들기 추진 단계를 사람들의 결집-비전의 설정-비전 달성을 위한 지역 자산과 자원 분석 및 제약요인 검토-첫 번째 이슈의 선정-다양한 조직 및 부문과 협력하여 지역사회 전반에 걸친 전략 수립-계획의 집행-사업계획의 모니터링과 수정-성과를 기초로 한 새로운 시스템 구축-성과와 성공에 대한 축하-새로운 이슈의 발굴 등 10단계로 시민참여가 장기간에 걸쳐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며, 궁극적으로 주민들이 지역사회를 통제할 수 있게 되고, 지역 사회의 모든 시스템이 공익을 위하여 움직이는 결과로 나타날 수 있음을 제시하였다. 이영아 외(2008)는 비참여자의 참여 과정을 지역사회 내에서의 긴밀한 관계를 통해 신뢰구축, 이슈 발굴, 개인과 지역현안과 일체화의 단계를 통해 지역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과 지역 외부로부터 이슈가 발생하여 신뢰구축단계를 거치지 않고도 바로 지역의 문제를 자신의 문제로 인식하고 지역 활동에 참여하게 되는 과정 등 두 가지 과정으로 설정하여 제시하였다. 초의수(2010)는 마을만들기의 모형은 파트너십 구축, 마을에 대한 분석, 마을 비전과 목표의 설정, 과제 선정, 실행전략 수립, 구체적 실행, 결과 평과와 환류 등 7단계로 제시하였다. 주민참여 과정 모형에 관한 선행연구 분석 결과, 기존 연구에서는 계획가나 행정 관점에서 과정을 제시하고 있어 실제 적용시키기에는 많은 한계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가 자발적이고 지속적인 주민참여의 장이 되기 위한 주민참여 활성화 과정을 설계하고 모형을 제시하여 마을주민, 관련 전문가그룹 및 활동가, 중간지원조직 등에게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Ⅲ. 연구 방법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모형 개발은 주민참여 모형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들의 연구방법론을 분석하여 4단계로 설정하였다<Table 1 참조>. 1단계는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을 설계하고, 2단계는 마을만들기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주민참여 요인을 설정하고, 3단계는 주민참여 과정과 요인을 결합하여 주민참여 모형을 구상하였다. 4단계에서는 주민참여 마을만들기 사례를 적용·검증하고, 구상한 모형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 모형을 도출하였다.

Development Process of a Citizen Participation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1단계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은 주민참여 모형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내용과 마을만들기 주민리더1)과 중간지원조직 실무총괄2) 5명 대상으로 주민참여 확대 및 주민참여 지속 과정과 변화 등에 대한 심층인터뷰 내용을 종합 분석하여 주민참여 과정을 설계하였다.

2단계 주민참여 요인은 김경화 외(2015)에서 제시한 요인을 활용하였으며 구체적인 요인 도출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론 고찰,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마을만들기 현황과 특성 관련 문헌자료 분석, 마을만들기 주민리더와 중간지원조직 실무총괄자를 대상으로 주민참여 확대 및 주민참여 지속의 주요 요인, 공동체 내부 변화 요인과 변화에 따른 효과 등에 대한 심층인터뷰 결과 등을 근거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도출하였다. 기초지방자치단체 단위에서 마을만들기 주민활동 지원과 거버넌스를 함께 경험한 전국의 도시지역 마을활동가를 대상으로 도출된 변수에 대한 중요도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주민참여 요인을 도출하였다.

3단계는 이론 고찰,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문헌자료 분석, 인터뷰 등의 내용을 기반으로 도출된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과 주민참여 요인들의 상호 연계도를 작성하여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모형 초안을 구상하였다.

4단계는 모형 초안에 2008년부터 현재까지 주민참여 노후주거지 재생과 사회적 경제를 주제로 마을만들기를 진행 중인 서울시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 사례를 적용하였다. 적용방법은 2008년 8월부터 2015년까지 매월 발행된 마을소식지 “장수마을 이야기‘와 마을 홈페이지3), 블로그(blog)4), 관련 문헌자료를 활용하여 연도별 주민활동내용을 정리하여 모형 초안을 검증하였다. 또, 장수마을 주민협의회 대표, 마을기업 대표, 주민협의회 운영위원 등 주민리더 3인5)을 대상으로 모형 초안에 기반하여 인터뷰를 실시하여 모형 초안의 적합성을 검증하였고, 모형 초안을 수정보완하여 최종모형을 결정하였다.


Ⅳ.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개발

1. 주민참여 과정 설계

주민참여 및 마을만들기 모형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심층 인터뷰 등을 통해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을 <Fig 1>과 같이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 과제 발굴과 조직적 준비(도모, 조정) - 계획한 행동의 실행 (역량, 책임감)– 성과측정 – 공동체 인식과 관계 형성으로 환류(feed-back)하는 과정으로 설계 하였다.

Fig 1

Setting Citizen Participation Process for Community Building

Chavis and Abraham(1990)은 마을만들기 과정의 핵심적인 메커니즘은 협력하는 자발적 조직에서의 개인의 참여이며 이에 영향을 주는 요소이며, 환경의 인식, 사회적 연대, 공동체 자체의 통찰적 조절과 조율권이며 이 요소들의 촉매는 공동체 인식이라 주장하였다. Bjaras et al.(1991)은 공동체 인식, 이웃과의 연대, 자율권에 대한 인식 등을 주요한 주민참여 평가지표로 설정하였다. 김찬호(2000)는 장기적인 마을만들기가 되기 위해서는 주민들 사이에 소통의 회로가 열리고 리더십 형성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이영아 외(2008)는 주민들 사이에서 상호작용의 가치에 대한 충분한 인식, 지역 활동에 참여하지 않던 사람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신뢰구축을 주민 참여의 주요 계기로 제시하였다.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에서 먼저 선행되어야할 과정으로 사람들의 결집, 공동체 인식, 이웃과의 연대, 자율권에 대한 인식, 신뢰 구축 등이 제시되었다. 이 과정을 주민참여 1번째 과정으로 설정하고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으로 명명하였다.

관련 주민리더 및 중간지원 총괄의 심층인터뷰에서 주민참여 마을만들기의 주요한 과정으로 문제 인식과 공감대 형성, 주민에 의한 사업 발굴과 주민 조직의 육성, 의사소통·의사결정 역량 배양, 공동체 내부 자원의 발굴과 활용 등이 도출되었다. 공동체가 공동행동을 하기 위해 사업 발굴, 주민조직 육성, 내부자원 발굴 등이 필요하다. 이 과정을 주민참여 2번째 과정으로 설정하고 <과제 발굴과 조직적 준비>로 명명하였다.

일본 국토교통성에서는 마을만들기의 과정 3가지 단계 중 마지막 단계로 <행동>으로 설정하였고, 캔자스대학 공동체 건강과 개발 실무그룹은 주민참여 3번째 과정으로 <계획한 행동의 실행>을 설정하였다(진영환 외, 2008). 이 과정을 주민참여의 3번째 과정으로 설정하고 <계획한 행동의 실행>으로 명명하였다.

일본 국토교통성은 마을만들기 추진과정에서 주민참여 활동의 결과로 공동체 내 신뢰관계가 조성되고 이로 인해 충족된 만족감이 다시 새로운 제안, 새로운 의식화, 새로운 행동으로 환류됨을 제시했다(진영환 외, 2008). Oakiey and Marsden(1987)은 주민참여 과정에서 주민참여 성과로서 주체성이 발생하며 이는 다시 새로운 주민참여 단계로 피드백 된다고 제안하였다. 이 과정을 주민참여 4번째 과정으로 설정하고 <성과측정>로 명명하고, 이 과정은 다시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의 형성>으로 <환류(feed-back)>하는 과정으로 설계하였다.

2. 주민참여 요인 설정

김경화 외(2015)는 이론 고찰, 관련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심층인터뷰 내용을 근거로 마을만들기 주민 참여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를 88개로 정리하고, 설문조사, 요인분석을 통해 16개 주요인과 72개 세부요인을 도출하였다. 도출된 주요인은 정주의식,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 공동인식과 주체성, 리더와 리더십, 공동자산 보유와 민주적 조직 운영, 내부 자원, 내부동기, 학습기회, 간접적 외부 동기, 직접적 외부 동기, 외부 자원, 성과측정, 행정의 진정성, 행정의 일관성, 행정체계, 지원조직과 사업의 법적 지위 등이며 세부요인은 <Table 2>와 같다.

Effective variables by community building participation factor(Kim et al., 2015)

3. 주민참여 모형 구상

이론 고찰, 국내·외 선행연구 분석, 문헌자료 분석, 인터뷰 등의 내용분석을 토대로 도출된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4단계 과정과 16개의 주민참여 요인간의 직접적 영향 관계를 표현한 상호연계도를 <Table 3>와 같이 작성하고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초안을 구상하였다. 모형 초안은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 과제 발굴과 조직적 준비 - 계획한 행동의 실행 - 성과측정 4단계의 과정에서 공동체 내부로 내부자원과 내부동기가 작동하고, 공동체 외부로 직접적 외부동기, 간접적 외부동기, 외부자원, 학습기회, 행정의 일관성·진정성·행정 체계·사업의법적 지위·지원조직 등이 지원되고 공동체가 이를 활용하여 마을만들기를 추진하는 과정의 주민참여 성과가 다시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으로 선순환 환류 하는 모형이다.

Correlation of Main Factors and Phases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초안에 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의 2008~2016년 8년간의 주민참여 과정을 적용·분석하였다.

4.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모형 개발

분석 결과, 장수마을은 2008~2010년, 2011~2013년, 2014~2016년 3번의 주민참여 과정이 선순환 환류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08~2010년의 장수마을 주민참여 과정은 소통과 관계성이 활발하지 않던 노후주거지역 주택재개발 대상지 거주자들에게 대안개발연구모임이 다양한 주민워크숍과 주민참여 프로그램을 제안하면서 ‘외부자원’과 ‘외부동기’, ‘학습기회’가 제공되면서 다양한 마을과제를 도출하는 <과제 발굴 및 조직적 준비>과정에서 ‘내부 자원을 발굴’하고 ‘외부자원’을 연계하여 텃밭상자 가꾸기, 벽화그리기 등의 <계획한 행동의 실행> 과정이 진행되었고, 전 과정 참여한 주민이 성취한 주민들 간의 소통, 재미, 보람 등이 ‘정주의식’ 향상,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 향상으로 선순환하는 <성과측정과 환류> 과정이 나타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1~2013년의 장수마을 주민참여 과정은 강화된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을 기반으로 ‘리더와 리더십이 형성’, ‘주체성’, 주민협의회를 결성하면서 ‘조직의 민주적 운영’ 등으로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과정을 거치고, 주거환경 개선 등 ‘내적 동기’와 성북구와 서울시 등에 지원사업에 의해 ‘외적 동기’와 ‘외적 자원’이 결합하여 골목길 환경정비, 도시가스 설치, 노후주택 집수리 등의 세부사업계획을 수립하는 <과제 발굴과 조직적 준비> 과정을 거치면서 ‘내적 자원 발굴’, ‘외적 자원’, ‘학습 기회’ 등이 결합하여 집수리사업단 마을기업, 마을까페 등이 설립·운영하게 되었다. 골목길 환경정비, 도시가스 설치, 노후주택 집수리, 집수리사업단 마을기업, 마을까페 등의 <계획한 행동의 실행> 과정에서 발생한 주민들이 노후주택 개선, 생활환경 개선, 주민 일자리 창출, 이웃 간 소통, 재미, 보람 등의 성과가 다시 주민모임, 주민회의 등의 ‘공동체 소통 및 관계성’, ‘공동인식 및 주체성’ 향상, 마을사랑방 조성, 마을기금 형성, 주민협의회의 참여 주민수 증가·의사결정 시스템의 중요성 인식 증가 등의 ‘공동자산 및 조직의 민주적 운영’으로 선순환 하는 <성과측정과 환류> 과정이 발생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 마을-행정 간의 관계는 ‘상호이해도 향상’, ‘새로운 사업발굴’ 등으로 선순환 환류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2014년~2016년의 장수마을 주민참여 과정은 강화된 ‘공동체 소통 및 관계성’, ‘공동인식 및 주체성’ 향상, ‘리더와 리더십’, ‘공동인식 및 주체성’, ‘공동자산 및 조직의 민주적 운영’ 등을 기반으로 장수마을이 주택재개발사업 대상지에서 주거환경정비사업 대상지으로 전환되면서 ‘외부자원’을 활용하여 60채의 노후 주택 집수리사업 진행하였다. 이와 병행하여 주민 일자리 창출이라는 ‘내부 동기’를 기반으로 <과제 발굴 및 조직적 준비> 과정을 거쳐 마을 곳곳의 거점공간과 인력 등의 ‘내부 자원’을 활용하여 생태공예품과 농가공품 생산하고 판매하는 <계획한 행동 실행> 과정을 가지면서 이 성과가 다시 <성과측정과 환류>하여 ‘참여 증가’, 골목길 통신원·마을사랑방·밥상모임·반상회 등 다양한 주민모임 활성화 등 ‘공동체 소통 및 관계성’ 향상, ‘공동인식 및 주체성’ 향상, ‘리더와 리더십’ 향상, 주민협의회 ‘의사결정 시스템의 안정화’ 등으로 ‘공동자산 및 조직의 민주적 운영’이 정착되어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초안에 성북구 삼선동 장수마을의 2008~2016년 8년간의 주민참여 과정을 적용·분석하여 모형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16개의 주민참여 요인이 4단계 과정 내에 고루 분포하여 작동한다, 2)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과정에 연계된 요인은 ‘정주의식’,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 ‘리더와 리더십’, ‘공동인식과 주체성’, ‘공동자산 보유와 민주적 조직 운영’이다, 3)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 <과제 발굴 및 조직적 준비> 과정 사이에 연계된 요인은 ‘내부 동기’, 외부로부터의 ‘학습 기회’, ‘직접적 외부 동기’, ‘간접적 외부 동기’이며, <과제 발굴 및 조직적 준비> - <계획된 행동 실행> 과정에 연계된 요인은 ‘학습 기회’, ‘내부적 자원’, ‘외부적 자원’이다, 4) <계획된 행동의 실행> 과정과 연계된 요인은 ‘행정의 진정성’, ‘행정체계’, ‘행정의 일관성’, ‘지원조직과 사업의 법적 지위’이다, 5)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에서 주민들이 체감한 성과가 다시 <공동체 인식 및 관계 형성>과정으로 선순환되어 참여 주민 수 향상, 공동체 소통 및 관계성 향상, 공동체 내 민주적 의사결정 시스템화 및 안정화 등으로 나타나며 또다른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활동으로 지속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6) <계획한 행동의 실행> 과정에서 연계된 요인은 ‘행정의 진정성’, ‘행정체계’, ‘행정의 일관성’ 등이며 이로인한 성과는 마을-행정 간의 상호이해도 향상, 상호신뢰도 향상, 새로운 사업 발굴 등으로 선순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최종 모형은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 <과제 발굴과 조직적 준비> -<계획한 행동의 실행> - <성과측정> -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으로 선순환 환류하는 과정에서 공동체 내부에서 ‘정주의식’,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 ‘리더와 리더십’, ‘공동인식과 주체성’, ‘공동자산 보유와 민주적 조직 운영’, 내부 동기’, ‘내부 자원’ 등의 요인이 작동하고, 공동체 외부에서 내부로 ‘학습기회’, ‘직접적 외부 동기’, ‘간접적 외부 동기’, ‘외부 자원’, ‘행정의 진정성’, ‘행정의 일관성’, ‘행정체계’, ‘지원조직과 사업의 법적 지위’ 등의 요인들이 제공되는 모형이다. 그리고,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과정에 연계된 요인은 ‘정주의식’,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 ‘리더와 리더십’, ‘공동인식과 주체성’, ‘공동자산 보유와 민주적 조직 운영’,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 - <과제 발굴 및 조직적 준비> 과정 사이에 연계된 요인은 ‘내부 동기’, 외부로부터의 ‘학습 기회’, ‘직접적 외부 동기’, ‘간접적 외부 동기’, <과제 발굴 및 조직적 준비> - <계획된 행동 실행> 과정에 연계된 요인은 ‘학습 기회’, ‘내부적 자원’, ‘외부적 자원’, <계획된 행동의 실행> 과정과 연계된 요인은 ‘행정의 진정성’, ‘행정체계’, ‘행정의 일관성’, ‘지원조직과 사업의 법적 지위’이다. 또 주민참여의 성과는 공동체 내부로는 ‘참여 향상’, ‘공동체 소통 및 관계성 향상’, ‘민주적 의사결정 시스템화 및 안정화’ 등으로 나타나 <공동체 인식 및 관계 형성>과정으로 선순환 환류하며, 공동체 외부로는 ‘마을-행정 간의 상호이해도’ 향상, ‘상호신뢰도’ 향상, ‘새로운 사업 발굴’ 등으로 선순환 환류하는 모형이다(Fig 2 참조).

Fig 2

A Citizen Participation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Ⅴ. 결론

본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은 마을만들기 의 주민참여 4단계 과정에서 16개의 요인들이 유기적으로 작동하며 선순환 환류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모형이다. 본 연구의 특징은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는 공동체 내부적으로 ‘정주의식’, ‘공동체 소통과 관계성’, ‘리더와 리더십’, ‘공동인식과 주체성’, ‘공동자산 보유와 민주적 조직 운영’, ‘내부동기’, ‘내부자원’ 등의 요인들의 유기적인 작동이 필요하며, 공동체 외부적으로 ‘간접적 외부 동기’, ‘직접적 외부 동기’, ‘외부 자원’, ‘학습 기회’, ‘행정의 일관성’, ‘행정의 진정성’, ‘사업의 법적 지위·지원조직’ 등이 요인이 제공되어야 함을 보여주고 있다. 이 결과는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는 공동체 자체의 여건 조성 노력 뿐만 아니라 공동체 외부 즉 관련 전문가, 활동가, 중간지원조직, 행정 등과의 지속적인 교류, 협력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또다른 연구 특징은 마을 만들기의 주민참여 과정에서 선행되어야 할 과정은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이며,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의 성과는 다시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형성>을 강화하는 선순환 환류 구조를 가진다는 결과가 도출된 것이다. 이는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는 단일 사업의 특정 시기에 동원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주민들 간의 일상적인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에 기반하여야 하며, 마을만들기 주민참여의 궁극적인 목표는 <공동체 인식과 관계성> 강화임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마을주민(리더), 관련 전문가, 활동가, 중간지원조직, 행정 등은 마을만들기 주민참여 과정을 보다 세밀하고 기술적으로 접근하고 설계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의 한계는 모형 검증을 사례지 1곳만 적용하고, 객관적 분석기준을 제시하지 않아 검증 결과에 한계를 가지고 있다. 이후 본 모형이 마을만들기의 지속적인 주민참여 활성화의 유용한 가이드라인이 되기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지를 대상에 적용하여 모형 검증과 모형 적용 방법론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Acknowledgments

본 논문은 제1저자의 석사논문의 일부를 수정·보완한 것임. 또한 2014년 (사)대한국토·도시계획학회 추계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구축”과 2015년 한국도시행정학회 하반기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과정 모형 개발 및 적용”을 수정·보완한 것임.

이 논문은 2016년 대한민국 교육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NRF-2016S1A5B6914198).

각주
주1. 주형로(홍성군 홍동면 문당리 마을대표)/이경란(마포두레생협이사장)
주2. 이근호(수원시마을르네상스센터장)·권상동(강릉시마을만들기지원센터장)·남철관(성북구마을만들기지원 센터장)
주3. 장수마을 홈페이지 www.jangsumaeul.com
주4. 장수마을 블로그 samsun4.tistory.com
주5. 박학룡 장수마을 마을기업 동네목수 대표· 배정학 장수마을 주민협의회 대표·우순자 장수마을 주민협 의회 운영위원

References

  • 김경화, (2013),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모형 개발 및 적용”, 충북대학교 대학원 도시공학과, 석사논문.
    Kim, K. H.,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Based on Citizen Participation”, Master’s Degree Disser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 김경화, 백종인, 손철희, 반영운, (2015), “마을만들기의 주민참여 활성화 요인 도출”, 「도시행적학보」, 28(2), p280-282.
    Kim, K. H., and Baek, J. I., and Son, C. H., and Ban, Y. U., (2015), “A Study on The Diffusion Factor of Citizen Participation Vitalization for Community Building”, Journal of the Korean Urban Management Association, 28(2), p280-282.
  • 송미령, (2004), 「주민참여형 마을개발사업의 평가와 모형 정립」, 서울, 한국농촌경제연구원.
    Song, M. R., (2004), Evaluation of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grams and Suggestions for Participatory Village Development Model, Seoul,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엔도야스히로, (1997), 「이런 마을에서 살고 싶다」, 김찬호 역, 서울, 황금가지.
    Ando, Y. H., (1997), I hope to live in this village, Translated by C. H. Kim, Seoul, Hwanggeumgaji.
  • 이영아·, 변필성·, 류승한·, 최병남, (2008), 「시민참여형 도시정비를 위한 시민역량 강화방안」, 경기, 국토연구원.
    Lee, Y. A., and Byeon, P. S., and Ryu, S. H., and Choi, B. N., (2008), Capacity Building for Community Development in Korea, Gyeongg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정석, (1999), 「마을 단위 도시계획 실현 기본 계획(1)-주민참여형 마을만들기 사례 연구」, 서울, 서울시정개발연구원.
    Jeong, S., (1999), Master plan for realization Urban Panning of village level(1) - A Case Study on Residents- Participation Maeulmandeulgi, Seoul, Seoul Development Institute.
  • 정재희, (2012), “커뮤니티의 관점에서 본 마을만들기”, 「대한건축학회지」, 56(6), p57-60.
    Jeong, J. H., (2012), “Maeul Mandeulgie from the Perspective of Community”, Architectural Institute of Korea, 56(6), p57-60.
  • 진영환, 류승한, 정윤희, 김은란, (2008), 「시민이 참여하는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 : 전략편」, 경기, 국토연구원.
    Jin, Y. H., and Ryu, S. H., and Jeong, Y. H., and Kim, E. R., (2008), Livable City Making in Partnership with Citizens : Principles and Strategies, Gyeonggi,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 초의수·, 김해몽·, 홍재봉·, 박미경, (2010), 「부산의 마을만들기 모형분석과 좋은 마을만들기 매뉴얼 작성」, 부산, 부산발전연구원.
    Choi, E. S., and Kim, H. M., and Hong, J. B, and Park, M. K., (2010), The Model and Manual of Livable Community Building In Busan, Busan, Busan Development Institute.
  • David M. Chavis, Abraham Wandersman, (1990), “Sense of Community in the Urban Environment : A Catalyst for Participation and Community Development”,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18(1), 60-61, 68. [https://doi.org/10.1007/bf00922689]
  • Gunilla Bjaras, Bo J. Haglud, Susan B. Rifkin, (1991), “A New Approach to Community Participation”, Health Promotion International, 6(3), p200-202.
  • Golam M. Mathbor, (2008), 「Effective Comminity Participation in Coastal Development」, Lyceum Book.

Fig 1

Fig 1
Setting Citizen Participation Process for Community Building

Fig 2

Fig 2
A Citizen Participation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Table 1

Development Process of a Citizen Participation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Setting Community participation process of Community Design
Deriving 16 factors of Citizen Participation
Development a Citizen Participation Model for community building
Developing a final model

Table 2

Effective variables by community building participation factor(Kim et al., 2015)

Factor Effective variables
Settlement consciousness ㆍResidence period ㆍRate of owner-occupation
Communication and Community Relationship ㆍDaily meeting and communication space
ㆍAdjustment⦁compromise, conflict adjustment capability between various stakeholders
ㆍReliance among residents
ㆍRelationship between residents
ㆍMigration rate
Leader and leadership ㆍPresence of a leader
ㆍGood relationship between leader and residents
ㆍPresence of Leadership
ㆍLocal Human Resources Network
Common realization and independence ㆍFormation of consensus among many participants
ㆍNecessity of joint reaction and action
ㆍRecognition of common issues and joint tasks
ㆍIntrinsic autonomy
ㆍSubjectivity / activeness
ㆍHousing types
Possession of the commons and democratic Operation of organization ㆍExisting assets
ㆍExisting joint funds
ㆍResource self-sufficiency
ㆍMany participate in decision making
ㆍThe percentage of community members who participate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ㆍNew decision making organization for community building
ㆍDecision making by majority vote
Internal resources ㆍAppropriate role allocation among residents
ㆍLong-term village development plan and step-by-step action project by resident agreement
ㆍProvision of community resources within a village
ㆍStrengthening resident capacity
Internal motivation ㆍParticipation of various groups and generations
ㆍNew tasks proposed in project evaluation
ㆍFun of communication
ㆍAchievement and confidence
ㆍThe Value of Sharing and Service
Direct external motivation ㆍDeveloped connection with existing administrative business, urban planning, urban development project
ㆍBusiness proposal by administration / expert / private organization
ㆍNon-community recognition (official award, award etc.)
Indirect external motivation ㆍLinking economic activities such as village enterprises and creating social jobs
ㆍCommunity threat factors (development projects, development plans, etc.)
ㆍRegularization and continuation of support projects
ㆍEnough period for information communication and preparation
ㆍComprehensiveness of business contents that can reflect characteristic of village
External resources ㆍSupport communication and participation methodology
ㆍVillage activist (workforce) support
ㆍContinuous exchange with the outside
ㆍSupport organization for living area (Dong unit)
ㆍSupport business of next stage (budget scale)
ㆍFull-time workforce support
Performance measurement ㆍSelection and measur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s by administration ㆍSelection and measurement of performance indicator by village itself-
Learning opportunity ㆍConsulting and consulting to match the characteristics of the village
ㆍCustomized education for each village (stage, theme learning)
ㆍCustomized professional support
ㆍSupport for learning costs
ㆍExpert groups that can be supported on a regular basis
ㆍVarious NGO networks in the region
ㆍSupport organization for wide area
ㆍContinuous exchange with the outside
Authenticity of administration ㆍBudget sustainability · Administrative flexibility
ㆍThe minds and competencies of public officials and departments
ㆍMind about Governance · Role-sharing of basic unit support organization
Consistence of administration ㆍConsistent window, dedicated department · Recognition and mind set of local governors
ㆍGovernance coordination and negotiation of intermediary support organizations
Administrative system ㆍIndependent system and identity of each municipality
ㆍOvercoming administrative divisions between departments and cooperating in administration
ㆍGreater contribution from local to inter-local municipalities
Support organizations and legal status of project ㆍIndependence and sustainability of support organizations
ㆍBudget independence
ㆍIntermediate support Various network catalysts within the organization area
ㆍSecuring legal and institutional status of business

Table 3

Correlation of Main Factors and Phases

Phases Interconnectivity Factors
Community awareness and relationship building Settlement consciousness
Communication and relationships of community
Leader and leadership
Common realization and independence
Project Excavation and organizational preparation Possession of commons and democratic Operation of organization
Internal resources
Internal motivation
Performance measurement
Implementation of action plan Direct external motivation
Indirect external motivation
Learning opportunity
External resources
Performance measurement
Authenticity of administration
Consistence of administration
Administrative system
Support organizations and legal status of projec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