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49, No. 2, pp.131-144
ISSN: 1226-7147 (Print)
Final publication date 10 Mar 2014
Print publication date Apr 2014
Received 30 Aug 2013 Reviewed 05 Dec 2013 Revised 09 Mar 2014 Accepted 09 Mar 2014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4.04.49.2.131

A Comparative Study on Participatory Project of the Making Community Space

HueYoun Sun* ; ImSeung Bin**
**환경조경나눔연구원 원장, 서울대학교 조경학과 명예교수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사례 연구

Correspondence to: *서울대학교 협동과정 조경학과 공학박사 younsun@snu.ac.kr

As the paradigm changes from the Rational planning process to the collaborative planning process, citizens are the main subject establishing the town and city. Community design is growing with the participation of local people to improve town environment. So new social and communication problems have been caused and there have been lots of discussion on regional communication. And also community space is one of main factors of more liveable and safer community. For communities to become alternatives with realistic meanings in this changed society, considerations on social and spatial conditions are needed. Therefore, community space which works as a device of physical environment for activation of communities needs more active changes which encourages social communication.This Study analysed comprehensive case studies of participatory project of the making community space. Above all, the network of the project participants must established; residents, professionals, government, NGOs, and sponsors. From the suggestion of the site and presentation of a problem to the planning, design, construction and maintenance, residents and experts were closely linked. Also, local government and administration suggested the project priorities and guidelines. Through interviews, discussions, surveys, a variety of design games and feedback, planning and design process of making community space was progressed.

Keywords:

Public Space, Citizen Participation, Community Design, Improvement of the Urban Environment, Project Participants, Planning and Design Process, 공공공간, 주민참여, 커뮤니티 디자인, 도시환경 개선, 참여주체, 계획 및 설계 프로세스

Ⅰ. 서 론

1. 배경 및 목적

최근 지역사회의 다양한 문제를 해결하고, 의견을 표현하는 주민참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이를 통하여 주민들은 스스로 자신의 일상생활공간의 문제를 해결하고, 아름답고 살기 좋은 공간환경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이와 같이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조성을 위해 지역 구성원의 참여와 소통이 중요시되고 있다. 실제로 국내외에서는 커뮤니티 공간 조성을 위해 다양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시점에 행정과 전문가, 주민들이 상호 소통할 수 있는 프로세스와 상호 소통관계가 정립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즉, 주민 간의 다양한 의견을 조율하고 합의를 도출하며, 이러한 의견을 전문가와 행정이 이해하고 협력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참여의 효과와 가치가 극대화되고 지역 커뮤니티를 개선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는 커뮤니티의 특성을 존중해야 하고, 모든 시민에게 만족할만한 삶의 질을 제공해야 한다1). 좋은 커뮤니티란 주민들의 삶을 다각적으로 향상시키고 사회적 안정을 도모하는 데 기여하는 것이다(김규리 외, 2008). 특히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주민이 모이고, 다양한 주민 프로그램이 운영되어 커뮤니티 의식의 회복(김현진 외, 2009)을 위한 주요 거점으로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사례에 대해 참여주체와 프로세스의 관점에서 재조명하는 것은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젝트의 사례 분석을 통해 각 참여주체들이 어떠한 역할을 하고, 관계를 맺어야 하는 지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였다. 또한 소통적 계획 프로세스에 따라 커뮤니티 공간을 중심으로 커뮤니티를 개선하는 과정이 어떠한 가능성이 있는지 모색해 보고, 추후 여러 프로젝트에 대한 기본적인 방향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2. 연구 범위 및 방법

우선 구체적인 사례를 비교, 분석하기 위하여 국내외 사례를 선정하였다. ①소통적 계획 과정을 반영하는 프로젝트, ②공원, 가로 등 커뮤니티 공간의 개선을 대상으로 하는 프로젝트, ③대표성을 가지는 프로젝트, ④연구자의 참여, 인터뷰, 문헌조사 등이 가능한 프로젝트의 기준으로 캐나다 밴쿠버시의 Green Street Program2), 미국 시애틀시의 P-Patch Community Garden3), 국내의 한평공원4)과 우리동네숲5)을 대상으로 하였다.

이상의 4가지 사례에 대해 이론고찰, 사례분석, 종합 및 고찰로 구성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자는 문헌 및 자료조사, 프로젝트 담당기관의 담당자 이메일 인터뷰, 일부 프로젝트 참여의 분석방법을 사용하였다.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통해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 사례에 대하여 공간의 계획 및 설계 패러다임 변화, 특히 참여주체와 프로세스를 구체적으로 고찰하였다.

Subject of analysis

Method of study


Ⅱ. 선행연구 고찰

1. 공간의 계획 및 설계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지방자치제 실시 이후, 환경계획 및 설계에 있어서 주민참여의 필요성과 요구들이 제기되고 있다. 서울시는 ‘주민참여형 어린이공원’, ‘걷고 싶은 거리 만들기 시범가로 조성사업’ 등을 통해 공간환경의 조성과정에 주민참여를 의무화하거나 주민의견 청취를 강조하고 있다. 점차 전통적 계획 패러다임에서 소통적 계획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것이다. 하지만 사회·정치적 측면에서 참여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여 본래의 취지에 맞지 않는 경우가 많다(김연금 외, 2003).

역사적으로 볼 때 공공계획(public planning)은 18세기 이후 근대 산업화와 국민국가의 형성으로 대두되었다. 그 이전에는 권력의 정당성이 세습적 전통과 카리스마에 의존했기에 계획에 의한 업적이 중요하지 않았다. 이후 근대 국민국가가 성립되면서, 지배의 정당한 절차와 외형적 성과가 중요해지고 공공계획의 필요성이 부각되었다(전상인, 2007). 무계획적이고 비합리적이던 미국의 도시계획이 이성적이고 과학적인 합리적(전통적) 계획이론으로 대체된 것이다. 전통적 계획은 전문가와 행정 중심의 하향식 계획 과정에 의해 공간환경의 계획 및 설계 과정이 진행되는 것이 특징이다. 그러나 1970년대, 이러한 계획이론은 가치중립적 계획이 불가능하고 이해갈등의 조정이 우선적이며(이수장, 1989), 자료를 수집·분석하는 데에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되기 때문에 의사결정을 위한 종합적인 정보 수집이 불가능하다는 점에서 많은 비판을 받았다(김영모, 1988).

이러한 전통적 계획이 가지는 하향식 접근과 현상유지적 성향을 거부하고, 도구적 합리주의를 경계하면서 나타난 대안적 계획이론이 소통적(협력적) 계획이다(Allmendinger, 2002). 공공계획에 있어서 대화와 토론, 참여와 협력 등의 가치를 강조하게 된 것이다(전상인, 2007). 의사소통 행위는 구성원들 간의 상호이해의 과정에서 구현되는 행위이다(Harbermas, 1981).

Thompson, J.(1999)은 의사소통 행위를 장소 만들기에 적용하여 좋은 디자인에 있어서 서로 다른 입장 간의 합의와 참여를 통한 상호 이해의 과정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하였다. 특히 주민은 마을에 관심을 가지고, 적극적인 참여주체로서 자신들의 요구사항을 표현하며 의사결정을 하기 시작하였다. 소통적 계획과정에 있어 주민의 역할은 경험이나 학습에 의해 단계적으로 구분된다(Arnstein, 1969). 주민은 거버넌스 참여 및 마을만들기 참여의 단계에서, 장기적으로는 문제해결의 주체로서 계획을 주도하는 단계로 성장하게 되었다(신중진 외, 2010). 반면 전문가는 도시·조경·건축의 사회적 측면을 믿고, 자신이 중요시하는 가치들을 이해시키려는 노력을 할 뿐 아니라, 다른 사람들이 중요시하는 가치를 인정하며, 관련자들 간의 의사소통을 돕는 촉진자(facilitator)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Roe, M., 2000; 김연금 외, 2003; 이규목, 2002).

2.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

도시의 쾌적한 커뮤니티 공간은 좋은 도시공간을 조성하는 데 있어 가장 기본적인 요소이다. 커뮤니티 공간은 지역의 주민들이 모이고, 다양하게 활용되므로 공공공간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러 전문가와 행정은 공공공간의 질적 향상이 삶의 질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으므로, 행정에서는 많은 노력을 기울여 왔다는 점을 강조하였다(이상민 외, 2011).

미국 PPS(2002; 2005)6)는 공공공간의 중요한 역할과 가치를 도시정체성, 경제성, 환경, 문화로 규정하고, 공공공간이 지역의 중요한 커뮤니티 공간으로 활용되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또한 영국 CABE(2005; 2009)는 커뮤니티 공간의 주요 가치를 경제적,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교육적, 안전적, 환경적 가치 등으로 나누어 지속적인 정책을 마련하고 있다. 이와 유사하게, 이상민 외(2011)는 공공공간의 가치를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교육적 가치로 분류한 바 있다.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에 대해서, PPS(2002; 2005)는 연계성(acess, linkages), 이용성(activities, uses), 편리성(comfort, image), 사회성(sociability)을 주요 요인으로 강조하고 있다7). 유사하게 CABE(2007)는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을 지속가능성(sustainability), 경계성(definition, enclosure), 포괄성(inclusiveness), 종다양성(biodiversity), 연계성(connectivity, accessibility), 식별성(legibility), 개성(character, distinctiveness), 적응성(adaptability, robustness)으로 나누고 있다.

마지막으로 커뮤니티 공간의 개선 및 활용 방안에 대해서 고재웅(2010), 백승경(2009), 이상민 외(2011)는 도시 공공공간의 중요성을 강조하며, 그 한계와 개선방안을 제시한 바 있다. 공공공간의 연계성, 안정성, 특성, 활용성 등에 대해 활용·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여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기존의 커뮤니티 공간에 관한 연구는 크게 커뮤니티 공간의 가치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에 관한 연구, 커뮤니티 공간의 개선 및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로 분류된다.

본 연구는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 사례를 대상으로 참여주체와 조성 프로세스를 비교·분석함으로서 구체적인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기존 연구에서는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참여주체와 조성 프로세스에 대해서 분석한 경우는 거의 없었다. 공간의 계획 및 설계 패러다임이 소통적 패러다임으로 변화하고 있는 시대적 흐름과 경향을 고려할 때, 본 연구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Discussion of community space


Ⅲ.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 사례 분석

4가지 사례에 대해 프로젝트의 추진현황, 참여주체와 추진체계, 그리고 조성 프로세스를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1. 밴쿠버시 Green Street Program

1) 프로젝트의 추진현황

밴쿠버시의 Green Street Program은 주민이 집 근처의 작은 광장과 도로변 화단의 이용 및 유지관리로 지역사회를 더욱 아름답게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거리경관과 주거환경을 개선하고 커뮤니티를 재생하여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를 통하여 이웃 간에 재배식물을 교환하며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주민들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생물종 다양성을 증진하여 소생태계를 조성하고, 기후변화에 대응하며 환경보존 및 유지에 기여하고 있다.

이 프로젝트는 1994년 Mount Pleasant Neighbourhood를 시범사업으로 시작되었으며, 2006년부터 100명의 주민으로 구성된 자원 정원사(volunteer street gardeners)가 참여하고 있다. 밴쿠버시는 참여자를 양성하며, 이로 인하여 벤쿠버시 주변에 대략 400여개의 녹색거리가 조성되었다.

Fig 1.

Examples of Green Street (http://vancouver.ca/)

2) 참여주체와 추진체계

밴쿠버시는 Green Street Party와 멘토링 프로그램을 진행하여 참여자를 양성하고, 주민과 자원봉사자의 더 많은 참여를 유도한다. 동시에 지역의 권장식물 목록을 제공하고 식재·유지·관리·안전 가이드라인, 가시성과 관련한 기준 등을 제시하며, 1년에 2번 퇴비를 무상으로 제공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벤쿠버시는 이러한 다양한 정보를 뉴스레터와 페이스북 등을 활용하여 공유하며, 주체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데에 핵심적인 역할을 하고 있다.

주민8)은 직접 지역의 버려진 공간을 활용하고 자원봉사 정원사(volunteer street gardeners)로서 녹색거리 조성과정에 참여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 조경가는 전문가로서 지역주민과 정원사를 도와주는 지원자의 역할을 수행한다.

Fig 2.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3) 조성 프로세스

Green Street는 주민이 버려진 공간의 활용을 제안하고, 시에서 검토하여 지역의 공공공간을 만드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이러한 과정에 참여자를 양성하고 네트워크를 구축하여 전문가를 지원하는 과정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지역환경을 개선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여, 커뮤니티를 재생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ig 3.

The composition Process

2. 시애틀시 P-Patch Community Garden

1) 프로젝트의 추진현황

시애틀시의 P-patch 커뮤니티가든 프로젝트는 개인이 소규모의 도시농업(gardening allotments)을 할 수 있는 도시 공동 공개 부지(urban communal public site)에 이웃들이 함께 커뮤니티를 만들어 식물과 채소를 재배함으로써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프로젝트이다. 1974년을 시작으로 매년 40여 가구가 참여하고 있으며, 현재 75개의 P-Patch가 존재한다. 참여자는 1년에 최소 8시간의 유지·관리, 구조·관수, 대지 회전 등에 관해 정해진 역할과 규율(Rules for P-Patch Participants)을 지켜야 한다. 특히 어린이와 이민자를 중시하여 그에 맞는 참여 프로그램이 존재한다.

특징적으로 시애틀 공원녹지 정책(Seattle's Park Policy)인 Levy는 주민들의 동의로 모금되는 공원녹지 특별세로서, 지속적으로 이러한 커뮤니티 공간의 조성·관리·리모델링에 투자되고 있다.

Fig 4.

Examples of P-Patch (http://westseattleblog.com)

2) 참여주체와 추진체계

P-patch 커뮤니티가든은 Levy정책(주민자치과 the Seattle Department of Neighborhoods)과 같은 행정의 강력한 기반을 바탕으로, 주민들이 참여하여 조성 및 관리과정을 보완하고 있다.

주민, 특히 저소득층과 이민자, 어린이 등 모든 주민이 참여자로서 지역의 커뮤니티가든 만들기 과정에 참여한다. 시애틀의 40여 가구가 참여하며, 주민은 참여자로서의 역할과 규율(Rules for P-Patch Participants)을 지켜야한다. 구체적으로 참여자(P-Patch plot holders)는 1년에 최소 8시간정도 커뮤니티가든의 조성·유지·관리에 참여하고 있다.

비영리조직인 P-Patch Trust는 도시 전역에 분산된 75개의 P-Patch를 총괄하며, 약 4,400명의 정원사를 제공하고 있다. 2010년의 경우, 정원사들이 17,000시간을 시를 통해 기부한 바 있다.

전문가는 주민을 교육시키고 기술을 실천하는 등 이러한 과정을 지원하는 역할을 한다.

Fig 5.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3) 조성 프로세스

P-Patch Community Garden은 주민이 커뮤니티 공간의 활용을 제안하고, 시애틀시의 적극적인 재정적, 전문적 지원을 바탕으로 지역의 공공공간을 조성하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여기에는 전문가 지원 뿐 아니라 주민의 가드닝, 시민단체의 정원사 제공 등이 포함된다.

이러한 과정을 토대로 녹색의 오픈스페이스를 조성하여 건강한 커뮤니티를 만들고, 지역공동체를 활성화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ig 6.

The composition process

3. 한평공원

1) 프로젝트의 추진현황

한평공원(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도시연대)은 도시의 자투리땅을 찾아내어 주민들의 참여로 마을의 문화적 장소를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즉, 사람들 간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공유와 교류를 통한 공동체를 형성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창출하는 프로젝트이다. 2002년 서울녹색시민위원회가 시민단체에 지원해주는 시정사업에 신청하면서 시작되었으며, 2005년까지 서울시 지원으로 이루어졌다. 2006년부터는 신한은행의 재정적 지원으로 진행되고 있으며, 현재 40여개의 한평공원이 조성되었다.

Fig 7.

Examples of Han Pyeong Park (http://vancouver.ca/)

2) 참여주체와 추진체계

주민은 자투리땅을 발견하여 한평공원 대상지로 제안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새로운 커뮤니티공간을 조성하는 데 있어서 의견을 내며, 여러 과정에 참여한다.

이러한 과정에 비영리 조직인 도시연대에서 전문가를 지원하고, 참여주체 간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도시연대는 행정과 후원기업의 재정적 지원을 토대로 한평공원 만들기가 구체적이고 지속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이다.

Fig 8.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3) 조성 프로세스

한평공원 만들기는 버려진 땅, 옥상, 통학로, 계단, 골목 등의 자투리땅을 대상으로 주민들과 전문가가 버려진 공간의 활용을 제안하고 대상지를 분석하여 의사소통 및 합의 과정을 진행한다. 우선 각 주체들 간의 의사소통 환경을 조성하고 주민과 전문가, 시민단체가 긴밀하게 소통하며 면담조사, 설문조사, 디자인 워크숍 및 디자인 게임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한다.

이러한 과정은 지역주민 간의 새로운 관계와 공동체를 형성하고, 커뮤니티 공간을 창출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Fig 9.

The composition process

4. 우리동네숲

1) 프로젝트의 추진현황

우리동네숲(Urban Community Forest)은 지역주민이 짜투리땅에 직접 참여하여 만드는 도시공동체의 숲과 공원을 만드는 프로젝트이다. 녹지확보와 도시생태환경 복원을 통해 마을과 지역 공동체를 재생하는 프로젝트이다.

이 프로젝트는 2007년 6개소를 시작으로 2020년까지 1,000개소를 목표로 하고 있다.

Fig 10.

Examples of Community Forest (http://www.sgt.or.kr)

2) 참여주체와 추진체계

이 프로젝트에서는 지역주민이 스스로 버려진 공간을 발견하여 구청의 공원녹지과나 서울그린트러스트에 제안을 하면, 조성 필요성과 지역주민의 참여의지에 따라 지원이 결정된다.

주민들은 동네숲 조성을 위해 숲기부(10만원/1㎡의 기금 후원), 토지와 유산 기증, 시민단체 활동 등을 통하여 자원봉사활동에 참여하고 있다.

그린트러스트는 주민 참여를 지원하고 전문가풀을 구성하여 네트워크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후원기업, 행정과의 1:1 민관매칭펀드를 구성하여 지속적으로 커뮤니티 공간이 조성될 수 있도록 한다.

Fig 11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3) 조성 프로세스

우리동네숲은 주민이 버려진 공간의 활용을 제안하고, 이를 주민, 시민단체, 행정, 전문가, 후원기업의 단단한 네트워크가 지원하여 지역의 커뮤니티 공간으로 만드는 과정으로 진행된다.

Fig 12.

The composition process

후원기업, 지자체, 주민은 협약을 맺고 실시설계와 시공을 진행하며, 주민참여 운영관리 방안을 마련하고 모니터링을 하는 등 차후의 유지·관리가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녹지를 확보하고 도시생태환경을 복원하여 일상생활공간의 환경을 개선한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Ⅳ. 참여형 프로젝트의 특징 종합

1. 추진 현황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는 대부분 주변의 거리, 공터, 자투리땅에 주민이 참여하여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녹지를 확보하고, 주거환경을 개선하는 것 뿐 아니라, 커뮤니티를 재생하고 지역 공동체를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대부분 작은 시범사업을 시작으로 지역 전체로 확산되는 경향을 보이며, 행정의 다양한 지원을 토대로, 주민 참여자와 자원봉사자가 중심이 되어 지속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2. 참여주체와 추진체계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는 주민, 행정, 전문가, 시민단체 등 참여주체의 긴밀한 네트워크를 토대로 진행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여기에는 주민의 자발적 참여의 가능성(서울특별시, 2011)이 전제되어야 할 것이다. 그러므로 주민은 조성과정에 자발적으로 참여하고, 유지 및 관리에 대한 역할을 준수한다. 전문가는 조경, 도시, 원예, 디자인 등의 전문적 지원을 하며, 시민단체는 주민, 행정, 전문가의 가교 역할을 한다.

국외의 Green Street와 P-patch의 경우, 행정의 강력한 지원 정책에 의해 재정적, 전문적 지원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는 가이드라인과 가드닝 팁을 제시하는 것 뿐 아니라, 퇴비를 제공하고 전문가와 주민, 행정의 단단한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조성, 관리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시의 재정적 지원 정책이 기반이 되어 가능한 것이다. 반면 국내의 한평공원과 우리동네숲의 경우, 지자체의 지원뿐 아니라, 후원기업의 재정적 지원으로 프로젝트가 진행되고 있다. 이와 같이 4가지 사례는 각 지자체의 현실에 맞추어 각 참여주체가 네트워크를 형성하여, 지속적으로 추진되고 있다.

The role of the subject

Fig 13.

Subjects involved in communicative planning

3. 조성 프로세스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는 대부분 소통적 계획 과정을 따르고 있다. 도시설계 과정의 기초 조사분석에 해당하는 대상지 제안과 문제제기 단계에서부터 기본구상, 기본계획, 기본설계, 실시설계에 이르기까지 주민, 행정, 전문가, 시민단체의 각 참여주체가 긴밀히 협력하고 소통하며 커뮤니티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Fig 14.

Communicative planning process

이와 같이 대상지 제안 및 문제제기에서부터 주민과 전문가가 긴밀히 연계되고, 행정이 프로젝트에 대한 우선순위와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여 주민, 전문가, 행정, 시민단체의 의사소통 환경을 조성하는 과정이 선행되어야 한다. 면담, 토론, 설문, 다양한 디자인 게임을 통해 목표와 프로그램, 개략안과 방향을 설정하고, 설계안을 도출한다. 도출된 설계안에 대해 여러 차례 의견 수렴 및 피드백 과정을 거친 후 최종 설계안을 도출하는 것이다.

이 설계안에 대하여 여러 주체가 함께 참여하여 조성 공사를 진행하고, 마을 잔치 등의 행사를 통해 지속적인 운영과 관리 방안을 모색하는 과정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특히 커뮤니티 공간의 이용 및 활용 뿐 아니라, 유지 및 관리 방안에 대해 참여주체가 함께 고민해야 할 것이다.


Ⅴ. 결 론

이와 같이 소통적 패러다임의 시대에 주민들은 삶의 질에 관심을 가지고, 공간환경의 계획 및 설계 과정에 직접 참여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대되고 있다. 이로 인하여 커뮤니티 디자인, 참여디자인, 마을만들기 등 참여형 도시 및 주거환경개선 프로젝트를 통해 주민이 주체가 되어 자신의 생활공간을 개선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많은 시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국내외 사례를 분석하여 추진현황, 참여주체와 추진 체계, 조성 프로세스를 고찰하였다.

실제로 각 참여주체들이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의사소통환경을 조성하여 의사소통 및 합의과정을 진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대부분 대상지 발견 및 제안 단계부터 주민들이 참여하고 전문가, 행정, 주민, 시민단체의 네트워크를 통해 지속적이고 협력적인 관계를 유지하며, 계획, 설계, 시공, 운영 및 관리, 모니터링을 수행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하여 참여주체 간에 새로운 관계와 지역공동체를 형성하고 커뮤니티 공간을 창출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여기에는 주민, 전문가, 행정, 시민단체, 후원기업 등 다양한 참여주체들이 참여 및 소통 역량을 갖추고 있으며, 참여 프로세스와 자신의 역할을 잘 이해하고 있다는 것이 전제되어 있다(허윤선, 2013). 추후 다양한 프로젝트와 관련 연구를 통해 이러한 소통적 계획 프로세스가 잘 운영되는지, 각 주체들이 각자의 역할을 잘 수행하고 다른 주체들과 긴밀한 네트워크를 형성하며 잘 소통하고 있는지 분석해보아야 할 것이다. 또한 주민들은 커뮤니티에 대해 잘 이해하고 자신의 의견을 표현하는지, 이를 전문가와 행정이 제대로 이해하여 반영하는지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본 연구는 참여형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의 4가지 사례 외의 다양한 사례를 분석하지 못하였다는 한계를 지닌다. 추후 다양한 프로젝트 사례에 대한 피드백 과정을 통해 커뮤니티 공간 조성 프로젝트를 분류하고, 조성과정에 필요한 체크리스트, 유지 및 관리 매뉴얼, 운영 지침 등에 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tes

주1. 메가리드 헌장 제2항의 내용을 참고하였다. 메가리드 헌장(1944)은 21세기 도시계획의 기본원칙을 담은 헌장이다(최병선, 2001). 자연과 인간 간의 균형관계 확립이 인류의 존속과 진보의 전제가 된다고 하였다. 또한 도시는 지역공동체(community)의 이익을 위해 존재해야 하며, 문화적 요소와 환경생태계 사이의 균형이 존중되어야 함을 강조하였다. 즉, 메가리드 헌장은 도시 내 커뮤니티와 인간의 관계를 강조한다.

주2.http://vancouver.ca/engsvcs/streets/greenstreets, http://www.waterbucket.ca/gi/, http://sustainablecitiescollective.com/, http://canadablog.tistory.com, http://dirt.asla.org/2009/09/19/vancouvers-green-streets/를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주3. http://www.seattle.gov/neighborhoods/ppatch/, http://vancouver.ca/, http://www.ppatchtrust.org/, http://mcgoodwin.net/pages/ppatch.html 의 홈페이지 내용과 P-Patch P-Patch 평가보고서, 국토연구원(2006)를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주4. 국토해양부(2007),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도시연대, 2007; 2010; 2012)의 내용과, 한평공원 만들기에 직접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정리하였다.

주5.http://www.sgt.or.kr/cyber/ucf2008hu.pdf를 참고하여 정리하였다.

주6. 미국 PPS(Project for Public Space)는 살기좋은 커뮤니티를 성공적으로 조성하는 데에 교육 및 기술을 지원하는 비영리 기관이다. 1975년 설립된 이래, ㅇ미국 50개 주를 비롯한 40여개 국가에서 25,00개 이상의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프로젝트를 수행하여 공공공간(public space)을 계획·디자인·관리해왔다. PPS는 커뮤니티와 함께 지역 역량을 개발하고, 시스템 변화를 추구하였으며, 지역 자원과 전문성을 활용하고 있다.

주7. PPS는 무엇이 성공한 장소를 만드는가(What makes a successful place?)에서 좋은 장소만들기의 요소를 정리한 바 있다. (http://www.pps.org/reference/grplacefeat)

주8. 실제로 벤쿠버시는 2020년 녹색수도 밴쿠버 만들기(Greenest City 2020 Draft Action Plan)를 위해 친환경도시 조성에 공동체를 구성하는 시민 구성원 모두가 참여하는 것을 슬로건으로 하고 있다(A Bold New Ambition : to be The Greenest City in the World by 2020. And You can be part of it).

References

  •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2007), 2006년 주민참여 한평공원 만들기 사례를 통해 살펴본 살기 좋은 우리 동네 만들기, 서울.
    Dosi NGO, (2007), Example of Han Pyeong Park in 2006, Seou.
  •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2010), 2009년 한평공원 이야기, 서울.
    Dosi NGO, (2010), Example of Han Pyeong Park in 2009, Seoul.
  • 걷고싶은 도시만들기 시민연대, (2012), 2011, 한평공원 만들기_part 1, 2, 3, 서울.
    Dosi NGO, (2012), Example of Han Pyeong Park on 2011, Seoul.
  • 김규리, 이연숙, 김주석, (2008), "주거환경개선지역 주민의 인지 및 애착 장소에 관한 연구", 「한국생태환경건축학회 논문집」, 8(6), p71-78.
    Kim, Kyu-Lee, Lee, Yeun-Sook, Kim, Ju-Suck, (2008), "Awared and emotionally attached places of residents living in a housing improvement district", Journal of Ecological Architecture and Environment, 8(6), p71-78.
  • 김연금, 이규목, (2003), "의사소통 행위로서의 조경계획 및 설계에 대한 연구", 「한국조경학회지」, 31(5), p73-85.
    Kim, Yun-Geum, Lee, Kyu-Mok, (2003), "A Study on Landscape Architecture Planning and Design as Communicative Action",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31(5), p73-85.
  • 김영모, (1988), “점증적 계획이론의 과제”, 「대한부동산학회지」, 6, p55-63.
    Kim, Young-Mo, (1988), “A Critical Review of Incremental Planning Theory”, Korea Real Estate Society Journal, 6, p55-63.
  • 김현진, 구자훈, 원제무, (2009), “커뮤니티를 고려한 주거환경개선요소 설정 및 중요도 분석”, 「한국주거학회논문집」, 20(6), p127-134.
    Kim, Hyun-Jin, Koo, Ja-Hoon, Won, Jai-Mu, (2009), “Importance Analysis and Establishment of Community-Based Residential Environment Improvement Items”, Journal of the Korean Housing Association, 20(6), p127-134.
  • 고재웅, (2010), “디자인서울 공공공간 가이드라인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o, Jae-Woong, (2010), “A study on the Limitations and Improvements of the Design Seoul Guideline on Public Space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University of Seoul.
  • 국토연구원, (2006), 살고 싶은 도시 만들기와 도시계획의 역할에 관한 연구, 해외 사례 조사보고, 경기.
    Korea Research Institute for Human Settlements, (2006), A Study on Creating Livable Cities and the role of urban planning, Gyeonggi.
  • 국토해양부, (2007), 「주민참여를 통한 한평공원 만들기」, 경기.
    Minister of Land, Infrastructure and Transport, (2007), Making Han Pyeong Park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Gyeonggi.
  • 백승경, (2009), "생태적으로 지속가능한 공공공간 디자인 체크리스트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Baek, Seung-Gyeong, (2009), "Ecologically sustainable design Checklist of public spaces", Ph.D. Dissertation, Hongik University.
  • 서울특별시, (2011), 「살기좋은 마을만들기 주민과 함께하는 도시설계 길라잡이」, 서울.
    The City of Seoul, (2011), A Handbook for Livable Maul-mandulgi through Citizen Participation, Seoul: koress Engineering.
  • 신중진, 신효진, (2005), “청소년 참여에 의한 마을만들기 프로그램과 진행과정”, 「도시와 빈곤」, 73, p48-65.
    Shin, Joong-Jin, Shin, Hyo-Jin, (2005), "Town development by participating in youth programs and progress", Journal of Korea Center for City and Environment Research, 73, p48-65.
  • 이규목, (2002), , 한국의 도시경관, 서울: 열화당.
    Lee, Kyu-Mok, (2002), , Urban Landscape of South Korea, Seoul: Youlhwa-dang.
  • 이상민, 엄운진, (2011), , 도시 생활밀착형 공공공간 조성방안 및 매뉴얼 개발 연구, 경기:건축도시공간연구소..
    Lee, Sang-Min, Um, Woon-Jin, (2011), , A Handbook for Urban Public Spaces in Daily Life, Gyeonggi:AURI..
  • 이수장, (1989), “계획이론에 있어 새로운 패러다임의 모색”, 「지방행정연구」, 4(4), p51-65.
    Lee, Soo-Jang, (1989), "Critical Planning Theories : An Introduction", Journal of Local Administration, 4(4), p51-65.
  • 전상인, (2007), “계획이론의 탈근대적 전환에 대한 비판적 성찰”, 「국토계획」, 42(6), p7-23.
    Jun, Sang-In, (2007), “A Critical Study of Paradigm Shift in Planning Theory”,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42(6), p7-23.
  • 최병선, (2001), “도시계획헌장을 통해 본 계획사조의 변화”, 「국토계획」, 36(5), p7-24.
    Choe, Byung-Sun, (2001), “A Study on the Transition of Planning Paradigm in the Urban Planning Charters”,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36(5), p7-24.
  • 허윤선, (2013), "어린이 공간환경설계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Hue, Youn-Sun, (201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Built Environment Design Education Program for Children", Ph.D. Dissertation, Seoul National University.
  • Allmendinger, P., (2002), Planning Theory,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 , Arnstein, (1969), "A ladder of citizen participation", Journal of American Institute of Planners, 1969, July, p216-224. [https://doi.org/10.1080/01944366908977225]
  • CABE, (2005), Start with the Park: Creating sustainable urban green spaces in areas of housing growth and renewal, London: CABE Space.
  • CABE, (2007), It's Our Space: a guide for Community groups working to improve public space, London: CABE Space.
  • CABE, (2009), Open Space Strategies: Best Practice Guidance, London: CABE Space.
  • Harbermas, J., (1981),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장춘익 역, 2006., 의사소통행위이론 ①, ②, 서울: 나남출판.
    Harbermas, J., (1981), Theorie des Kommunikativen Handelns, Jang, Choon-Ik, 2006., Theory of Communicative Action ①, ②, Paju: Nanam Publishing House.
  • PPS, (2002), Public Parks, Private Partners, New York.
  • PPS, (2005), How to Turn a Place Around: A handbook for Creating Successful Public Spaces, New York.
  • Roe, Maggie, (2006), "Making a wish: Children and the local landscape", Local Environment, 11(2), p163-181. [https://doi.org/10.1080/13549830600558465]
  • Thompson, Ian H., (1999), Ecology, Community and Delight Sources of Values in Landscape Architecture, London: E&FN Spon.
  • http://www.pps.org/reference/grplacefeat.
  • http://vancouver.ca/engsvcs/streets/greenstreets.
  • http://www.waterbucket.ca/gi/.
  • http://sustainablecitiescollective.com/.
  • http://canadablog.tistory.com.
  • http://dirt.asla.org/2009/09/19/vancouvers-green-streets/.
  • http://www.seattle.gov/neighborhoods/ppatch/.
  • http://vancouver.ca/.
  • http://www.ppatchtrust.org/.
  • http://mcgoodwin.net/pages/ppatch.html.
  • http://www.sgt.or.kr/cyber/ucf2008hu.pdf.

Fig 1.

Fig 1.
Examples of Green Street (http://vancouver.ca/)

Fig 2.

Fig 2.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ig 3.

Fig 3.
The composition Process

Fig 4.

Fig 4.
Examples of P-Patch (http://westseattleblog.com)

Fig 5.

Fig 5.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ig 6.

Fig 6.
The composition process

Fig 7.

Fig 7.
Examples of Han Pyeong Park (http://vancouver.ca/)

Fig 8.

Fig 8.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ig 9.

Fig 9.
The composition process

Fig 10.

Fig 10.
Examples of Community Forest (http://www.sgt.or.kr)

Fig 11

Fig 11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Fig 12.

Fig 12.
The composition process

Fig 13.

Fig 13.
Subjects involved in communicative planning

Fig 14.

Fig 14.
Communicative planning process

Table 1.

Subject of analysis

사례Examples 관련기관Relative organization
Green Street Program 캐나다 밴쿠버시
Vancouver, Canada
P-Patch 미국 시애틀시
Seattle, USA
한평공원
Han Pyeong Park
도시연대 커뮤니티디자인센터
Dosi NGOs, Community Design Center
우리동네숲
Community Forest
서울그린트러스트
Seoul Green Trust

Table 2.

Method of study

방법
Method
구체적 내용
Concrete contents
이론 고찰
Theoretical discussion
공간의 계획 및 설계 패러다임 변화
Paradigm shift in the planning and design of space
커뮤니티 공간의 가치,특성,개선 및 활용방안
The value of community space, character, and improvement methods
사례 분석
Case Study
문헌 및 자료 조사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담당자 심층 인터뷰(이메일)
Interviews with staff
일부 프로젝트 참여
Direct participation in the program
종합 및 고찰
Summary and Discussion
주체들의 관계,조성 프로세스 종합
The relationship of the subject, the composition process

Table 3.

Discussion of community space

구분
Category
연구자
Researchers
내용
Contents
커뮤니티 공간의 가치
The value of community space
PPS(2002; 2005) 정체성,경제성,환경,문화
Identity, economical, environmental, and cultural value
CABE(2005; 2009) 경제,신체,정신,사회,교육,안전,환경
Economic, physical, mental, social, educational, safety, and environmental value
이상민 외(2011)
Lee, Sang-Min, etc.(2011)
경제,사회,문화,환경,교육
Economical, social, cultural, environmental and educational value
커뮤니티 공간의 특성
The characteristic of community space
PPS(2002; 2005) 연계성,이용성,편리성,사회성
Connectivity, availability, convenience, and social
CABE(2007) 지속가능성,경계성,포괄성,종다양성,연계성,식별성,개성,적응성
Sustainability, borderline, comprehensiveness, species diversity, connectivity, identity, personality, adaptability
커뮤니티 공간의 개선 및 활용 방안
Improvement and utilization of community space
고재웅(2010),백승경(2009),이상민 외(2011)
Ko, Jae-Woong(2010), Baek, Seung-Gyeong(2009), Lee, Sang-Min, etc.(2011)
연계성,안정성,특성,활용성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체크리스트 제시
Connectivity, stability, characteristics, utilization guidelines and checklists

Table 5.

The role of the subject

참여주체
Involved Subjects
역할
Role
주민
Resident
∙조성과정의 자발적 참여
Voluntary participation of composition process
∙유지,관리에 대한 역할과 규율 준수
Observance of the role of Maintenance, management and regulations
행정Administration ∙참여자 양성,참여 유도
Participants training, induction of participation
∙네트워크 구축Networking
∙가이드라인 제시Providing guidelines
∙프로그램 제공Providing programs
∙재정적 지원 정책 마련
Providing financial assistance policy
전문가
Expert
∙전문적 지원Professional support
시민단체
NGOs
∙비영리조직A non-profit organization
∙주민참여 지원Support Resident Participation
∙전문가풀 구성Configuration of professional pool
∙네트워크 구축Networking
∙주민-행정-전문가-후원기업의 가교 역할
The bridge between residents - Administration - professionals - corporate sponsors
후원기업Corporate sponsors ∙일부 재정적 지원
Financial support
∙일부 시공 참여(사회 공헌)
Involved in some construction (CS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