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ers Association - Vol. 50, No. 4, pp.87-101
ISSN: 1226-7147 (Print) 2383-9171 (Online)
Final publication date 08 May 2015
Print publication date Jun 2015
Received 28 Feb 2015 Revised 23 Apr 2015 Reviewed 30 Apr 2015 Accepted 30 Apr 2015
DOI: https://doi.org/10.17208/jkpa.2015.06.50.4.87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방안을 위한 지표개발에 관한 연구 : 부산시 마을단위 거점시설을 중심으로

박성은* ; 이석환**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Indicators for the Activation Plan of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 Focusing on the village unit core facility in Busan
Park, Soung Eun* ; Lee, Seok Hwan**
*Department of Civil and Environment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p15559@nate.com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lshsun@ks.ac.kr

Correspondence to: ** Department of Urban Engineering, Kyungsung University lshsun@ks.ac.kr

Abstract

This study is to deduce the key factors of sustainability from the village unit core facility that is in operation through the community building program in Busan. In this process, the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Network (SVCN) was drawn through the constant sum scale questionnaire on the core facility, based on the evaluation of sustainable regional development model and the research model, which is the modified SLEN model (the development model of regional business). Through the items of indicator drawn, the analysis was performed by subject (Operator(■) Administrator(▲) Expert(●)) and by stage (’Investment‘(Preparation)➡’Process‘(Activity)➡’Result’(Settlement)). The implications deduced from the analysis result are summarized as the following. First, in the ‘Investment’ (Preparation) stage, it is necessary to develop potential human resources in the village, maintain the operation program, and establish the management system. Second, in the ‘Process’ (Activity) stage, human resource will be cultivated through the education and consulting for capacity building, and the village community will be formed and recovered through permanent programs in everyday life. Third, in the ‘Result’(Settlement) stage, the financial assistance system should be established and the management and operation of village unit core facility by the members are necessary to maintain the autonomy within the village. Based on such results,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e way that it suggested the indicator for the activation plan of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Keywords: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Network, Constant sum method, Activating Plan, Village unit

키워드: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네트워크(SVCN), 고정총합척도법, 활성화방안, 마을단위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기존 재개발·재건축 등 수익성 위주의 획일적인 정비사업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지역특성에 맞는 다양한 방식의 도시재생사업이 추진 중이다. 도시재생사업은 주민의 지속적 관심과 참여를 통한 주민주도의 사업으로써 경제, 문화, 복지 등 다양한 분야에서 각양각색의 목적과 내용, 방법으로 그 결과가 나타나고 있다. 특히 부산시는 주거지역 문제인식, 개발사업의 한계 등 마을의 활성화를 위해 2009년도부터 다양한 마을만들기 사업을 전개하고 있으며, 그 결과 현재 117개 마을공동체와 58곳의 거점시설이 운영되고 있다.

특히 마을단위 거점시설은 지역공동체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주요 목표로 하여, 주민들에게 제공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운영 중인 거점시설은 다양한 문제점과 한계점이 나타나고 있어 향후 마을단위 지역활성화를 위해서라도 다각적인 접근방법과 해결방안에 대한 모색이 필요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1)을 통해 조성된 마을단위 거점시설을 대상으로 주요지표를 투자(준비기), 과정(활동기), 결과(정착기) 3단계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또한 주요지표 항목에 대해 거점시설 운영자, 행정담당자, 전문가 설문을 분석하여 지역 활성화방안을 위한 도시재생 전략으로서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네트워크(SVCN :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Network)' 모델 지표개발을 제시하고자 한다.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본 연구는 2009년부터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조성된 58개 마을거점시설 중, 갤러리(홍보)공간 6곳을 제외한 42개를 대상으로 하였다. 시간적 범위는 2014년 8~9월(1개월)까지 전문가 “델파이2)” 설문조사를 통해 주요지표의 분류체계를 검토하였고, 2014년 9~11월(2개월)까지 주체별, 단계별 “고정총합척도법” 설문조사를 통해 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론고찰 및 선행연구 검토를 통해 마을단위 거점시설의 개념을 정립하고, 지표를 추출하였다.

둘째, 추출한 지표를 1단계 전문가 델파이 분석기법을 이용해 주요지표를 선정하고, 2단계 고정총합척도법을 이용해 지속가능한 활성화 평가지표를 분석하였다.

셋째, 설문조사를 통해 주체별, 단계별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방안을 위한 모델 지표를 제시하였다(표 1 참조).

Flow Chart of Study


Ⅱ. 이론적 고찰

1. 용어의 정의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 사업을 통해 공동체가 회복 되어야 하는 이유와 이를 실현시키기 위한 수단으로서 쇠퇴지역에서 거점시설이 필요한 근거를 제시하였다. 또한 주요연구기법으로 사용된 SLEN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이론적 내용을 정리하고, 주체별, 단계별에 따른 중요도 선정을 위하여 고정총합척도법 분석기법을 활용하였다.

1) 마을단위 거점시설

마을단위란 주민들의 생활이 이루어지는 장소기반(삶터, 일터 등)을 말한다. 마을 내 거점시설은 지역발전의 핵이 될 수 있는 기능을 가진 곳으로써 동시에 현대사회에서는 공동체를 활성화시킬 수 있는 ‘장(場)’을 뜻한다.

유럽 10개국의 사례를 조사한 결과에 의하면, 질적으로 우수하고 잘 관리된 공공장소는 쇠퇴지역 거주자들의 사회적 통합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며, 주민들의 사회적 관계 형성을 촉진시키는 원동력으로 작용할 수 있다(Ali Madanipour 2003).

본 연구에서 다루는 마을단위 거점시설은 주민들이 거주하고 생활하는 삶터와 마을공동체를 활성화 시킬 수 있는 공간으로 정의하고자 하였다.

2) 지속가능한 지역사업의 네트워크 모델

지속가능한 지역사업의 네트워크 모델 (SLEN: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은 초기 지역이 보유한 자산을 기반으로 출발하여, 후에 외부 투자에 의해 성장이 촉진된다. 또한 지역단체 등 다양한 커뮤니티 네트워크를 통해 재투자가 순환되어 사업을 진행하는 모델이다. 원활히 순환하는 구조를 갖추고 이익을 내야 지역 사업이 자생력을 갖는다는 주장이며, 이 과정에서 지역 주민과 커뮤니티의 자립능력도 중요한 사업 결과들 중 하나이다(그림 1 참조).

SLEN 모델을 한국 상황에 맞도록 수정된 연구로는 (김영수·박종안, 2009)과 (박종안, 2010) 연구가 있으며, 본 연구에서도 SLEN 모델을 수정하여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네트워크(SVCN :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Network)모델’을 만들고자 한다.

Fig. 1.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자료 :Wheeler 외 3인(2005)

3) 고정총합척도법

고정총합척도법은 응답자들에게 일정한 수(보통100점 내지는 100%)를 부여하고, 이 수치 내에서 주어진 각각의 응답범주마다 주관적 지수 비율을 배정하게 하는 방법이다. 일반적으로 각 응답범주마다 부여된 응답자들의 지수를 평균하여 비교하는 식으로 활용된다. 또한 예비지식이 있을 경우 분석이 가능하며, 응답의 오류를 최소화 시킬 수 있고 명확한 자료 수집을 위해 적합한 분석방법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문항별 정확한 데이터 값을 도출하기 위하여 고정총합척도법을 사용하였다.

2. 선행연구 고찰

본 연구와 관련된 선행 연구로는,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에 대한 연구와 지속가능한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로 구분된다. 마을공동체 활성화방안에 관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다.서울시복지재단(2013)은 지역사회기반 지역주민 참여와 협력으로 마을단위 사회복지관 거점시설을 활용하여 마을공동체 형성과 지역특성별ㆍ발전단계별 활성화 방안을 검토하였다.이유빈(2012)은 쇠퇴지역에 산재한 유휴공간을 주민이 필요한 곳으로 리모델링하여 제공함으로서, 공동체 회복과 지역활성화를 도모하였다. 또한 ‘정보력 강화’, ‘주민의 주체화’. ‘점조직 사회의 유기적 재편성’ 3가지로 파악하였다.김길곤(2012)은 지속적인 마을만들기 추진을 위하여 국내ㆍ외 마을만들기에 대한 사례를 분석하고, 성공요인을 알아보기 위해서 행정적 요소, 재정적 요소, 주민참여 요소를 중심으로 추진과정을 분석하였다.이명희 외 2인(2008)은 문화공간이 지역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을 운영체계, 운영내용, 공간 활용, 지속가능성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지속가능한 평가지표에 관한 연구로는 다음과 같다.장석정(2012)은 국내ㆍ외 성공사례를 통해 성공적인 마을만들기 사업에 반드시 필요한 요소들을 추출하였다. 그리고 실행주체(주민, 행정, 전문가)에 따른 주요 역할과 추진항목들을 도출하여 전략적 추진방안의 주요지표를 제안하였다.심상진(2012)은 국내의 모범 지역으로 선정된 도심지의 마을공동체를 대상으로 지역의 현황과 창업의 배경, 사업 진행상황, 투자 상황 등에 대한 인터뷰 조사를 통해 성공요인을 도출하였다.박종안(2010)은 농촌마을 경제활성화를 위한 성공요소로써, 투자와 구성원들의 역량으로 구분하여 6가지 항목(리더, 인재양성, 팀워크, 차별화, 네트워킹, 컴퓨터)을 도출하였다.

이상 살펴본 바와 같이 선행연구는 사례분석, 설문조사, 심층인터뷰 등을 통해 다양하게 분석하였다. 하지만 대부분의 연구들이 마을공동체 활성화와 사회적경제 평가지표에 치중하거나 또는 요인들의 관계구조 분석에 치중하여 사업 과정을 통한 구체적인 단계별 분석이 부족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운영을 위한 주요요소를 분석하고, 주체별, 단계별로 요인들 간의 종합적인 영향관계를 살펴보고자 하였다는 점에서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있다.

3. 분석의 틀

1) 조사방법

본 연구의 조사방법은 1단계 전문가 델파이조사와 2단계 운영자, 행정담당자, 전문가를 대상으로 고정총합척도법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1단계 지표개발을 위해 2014년 8~9월 전문가3) 30명을 대상으로 델파이 설문조사를 2회에 걸쳐 재평가하였다. 중요도는 리커트(Kikert) 5점 척도를 사용하였으며, 통계분석을 통해 평가항목을 산출하였다. 2단계 평가지표분석을 위해 2014년 9~11월에 걸쳐 운영자(52명), 행정담당자(16명), 전문가4)(40명)를 대상으로 고정총합척도법 설문조사를 하여 주체별, 단계별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지표를 도출하였다.

2) 선행 연구 검토 및 평가항목 설정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지표에 대한 요소를 파악하기 위해 관련 선행연구와 마을활동가 인터뷰를 통해 활성화 지표를 추출하였다. 분석항목과 관련한 연구를 살펴보면,장석정(2012)은 마을만들기 평가항목들을 주민, 행정, 전문가부분으로 나누어, 3부분과 12개의 항목으로 성공요소 지표항목을 설정하였다.

김영수, 박종안(2009)이홍택(2011)은 도시지역을 대상으로 공동체에 맞게 재구성하여 4부분 39개의 평가항목을 설정하였다.박종안(2010)은 농촌마을 경제 활성화의 성공요소를 위해, 4부분과 45개의 항목으로 성공중요도를 평가하였다. 또한 마을활동가 인터뷰를 통해 사업단계별 운영지표 10개의 항목을 추출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1단계 델파이 설문조사 결과, 3부분 72개의 평가항목에서 24개의 평가항목이 삭제되고 12개의 평가항목이 추가되어, 총 4부분 60개의 평가항목을 선정하였다. 2단계 고정총합척도법 설문조사를 통해 주체별(운영자, 행정담당자, 전문가), 단계별(투자(준비기)➡과정(활동기)➡결과(정착기))로 평가지표를 설정하였다(표3. 참조).

Evaluation Index


Ⅲ.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설문조사

1.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의 개요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은 단순한 주거환경정비가 아닌 ‘공간 및 생활복지차원’의 재생사업으로써2009년부터 시행되었다(그림 2 참조).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은 마을단위의 주민 스스로가 지역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마을 커뮤니티 형성을 통하여 공간재생, 사회ㆍ문화재생, 경제재생을 추진하는 ‘종합적 재생방식’으로 사업을 진행하고 있다. 첫째, 공간재생은 ‘공간 기반 조성 사업’으로 생활환경을 개선하고 공동체의 공간기반을 확보하고자 하였다. 둘째, 사회ㆍ문화적 재생은 ‘주민역량 강화 사업’으로 공동체 복원 및 형성을 기반으로, 지역 정체성 회복을 하고자 하였다. 셋째, 경제적 재생은 ‘마을경제력 증대 사업’으로 주민 스스로 경제적 자활을 이룰 수 있도록 사업을 전개하고자 하였다(부산시 마을만들기 기본계획, 2013).

2014년 8월 기준 마을단위 거점시설로는 산복도로 르네상스 27개소, 행복마을만들기 21개소가 운영 중이며 활용용도에 따라 공동체 활동공간5) 42개소와 갤러리(홍보)공간 6개소 총 48개소가 운영 중이다(표4. 참조). 본 연구에서는 공동체 활동공간 42개소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활성화 지표를 찾고자 하였다.

Fig. 2.

The status of building a village by the City of Busan

The construction status of base facility (August, 2014)(’14년 8월 기준)

2. 설문조사 개요

설문조사는 1단계 전문가를 대상으로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주요지표를 선정하였으며, 2단계 주체별, 단계별로 활성화 평가지표를 도출하였다. 조사된 데이터들은 Editing, Coding, Data Cleaning과정을 거친 다음 IBM SPSS 22.0을 이용하여 분석화 하였다(표5 참조).

Survey summary

3. 조사결과 분석

설문조사에 대한 주체별 성과 지표의 중요도를 ■운영자 ▲행정담당자 ●전문가의 순서로 단계별로 살펴보면 표6과 같다.

1) 주체별 분석결과

운영자(■) 중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투자(준비기)’는 ‘재정지원’이 30.0%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시설비 지원’ 7.36%▸‘인적자원 조사’(인재발굴) 5.95%▸‘경영 및 재정지원’5.89%로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사전시장조사’ 지표가 2.63%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정(준비기)’은 ‘조직운영’이 29.5%로 가장 높았으며, 과정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운영협의회 활성화’ 7.38%▸‘협의에 의한 의사결정’ 6.72%▸ ‘주민참여도’ 6.11%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기관운영규정마련 및 시행’ 지표가 2.6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과(활동기)’는 ‘사업성과’가 29.6%로 가장 높았으며, 결과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회계의 투명성’ 8.21%▸‘국가사업발굴(마을기업·사회적기업 등) 선정’ 7.54%▸‘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와 ‘지속적인 컨설팅 지원’ 각각 6.60%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우선구매지원’ 지표가 2.34%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중요도를 살펴보면, ‘회계의투명성’ 2.55%▸‘시설비지원’과 ‘운영협의회 활성화’ 항목이 2.54%▸‘국가사업발굴(마을기업ㆍ사회적기업등)선정’ 2.34% 순으로 나왔다.

운영자 분석을 종합하면, 준비기에는 재정지원을 통해 주민참여 기회를 마련하고 마을리더와 사업추진 구성원 발굴이 필요하다. 활동기 및 정착기에는구성원의 지속적인 역량강화교육과 거점시설 운영 및 회계에 대한 컨설팅 지원이 중요하다.

■Operator ▲Administrator ●Survey result by experts(%, (order))

행정담당자(▲) 중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투자(준비기)’는 ‘인적자원’ 30.3%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시설비 지원’ 7.34%▸ ‘사업의 적극성’ 6.38%▸‘사업추진 주체들의 경력, 기술과 경험의 보유’와 ‘사업장, 작업장 지원’ 각각 6.15%로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사전시장조사’ 지표가 3.20%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정(준비기)’은 ‘조직운영’ 35.1%로 가장 높았으며, 과정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운영협의회 활성화’ 7.90%▸‘주민들의 자발적 협력’ 7.20%▸‘주민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6.89%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프로그램 차별성 및 참신성’지표가 3.01%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과(활동기)’는 ‘사업성과’ 33.8%로 가장 높았으며, 결과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회계의 투명성’ 8.77%▸‘이익의 공익사업에 대한 투자’ 7.92%▸‘국가사업발굴(마을기업·사회적기업 등) 선정’ 7.29%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우선구매 지원’지표가 2.5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중요도를 살펴보면, ‘회계의투명성’ 2.99%▸운형협의회 활성화2.90%▸‘이익의 공익사업에 대한 투자’ 2.70% 순으로 나왔으며, ‘우선구매 지원’지표가 0.88%로 가장 낮게 나왔다.

행정담당자 분석을 종합하면, 사업운영 주체로써 역할수행이 가능한 마을리더와 인재를 발굴하는 것이 필요하다. 활동기와 정착기에는 다양한 주민참여를 위한 기회의 장(場)이 중요하며, 민관협력 네트워크 구축과 법인설립 추진이 필요하다.

전문가(●) 중심의 분석결과를 살펴보면, ‘투자(준비기)’는 ‘인적자원’이 34.4%로 가장 높았으며, 투자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사업의 적극성’ 7.19%▸‘사업추진 주체들의 경력, 기술과 경험의 보유’ 6.96%▸‘공신력 있는 리더쉽’ 6.88% 로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사전시장조사’ 지표가 3.06%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과정(준비기)’은 ‘조직운영’ 28.7%로 가장 높았으며, 과정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민관협의체 구성(주민+행정이 운영)’ 6.73%▸‘주민참여도’ 6.62%▸‘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력’ 6.59%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기관운영규정마련 및 시행’ 지표가 2.7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결과(활동기)’는 ‘역량강화’가 30.3%로 가장 높았으며, 결과의 지표 중요도를 살펴보면, 20개의 항목 중에서 ‘회계의 투명성’ 7.97%▸‘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7.47%▸‘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모니터링)’ 6.76% 순으로 높게 나타나는 반면, ‘참여자들간의 사업목표 공유’ 지표가 2.65%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전체 중요도를 살펴보면, ‘주민참여도2.59%▸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력 2.58%▸전문가 자문단 구성 1.63% 순으로 나왔으며, ‘참여자들간의 사업목표 공유’ 지표가 0.84%로 가장 낮게 나왔다.

전문가 분석을 종합하면, 준비기에는 사업추진 구성원 발굴과 자원조사가 선행되어야 한다. 활동기와 정착기에는 구성원들의 역량강화와 지속적인 참여를 위한 교육이 중요하며, 또한 모니터링을 통한 사업영역의 다양화가 필요하다.

2)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SVCN 모델

활성화방안을 위한 SVCN 모델을 단계별(투자(준비기)➡과정(활동기)➡결과(정착기))로 특성에 따라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그림 3 참조). 고정총합척도법을 이용해 분류별 중요도에서 모든 운영 주체들이(■운영자 ▲행정담당자 ●전문가) 2개 이상 선택한 지표를 ‘필수’(반드시 필요) 항목으로, 1개 이상 선택한 지표를 ‘선택’(현장상황에 맞게 선정) 항목으로 설정하였다. 활동단계(투자>과정>결과)로 이동 할 때에는 SVCN 모델 평가를 통해 ‘필수’와 ‘선택’ 지표의 이용특성을 분석한다. ‘필수’ 지표는 유지・강화하도록 하고, ‘선택’ 지표는 현장상황에 맞게 수시로 평가한다. 또한 사업의 방향이 변경되거나 추가상황이 발생했을 시, ‘선택’ 지표를 수시로 변경하여 활성화 방안을 찾는다.

Fig. 3.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Network Activation SVCN Model


Ⅳ. 결론 및 시사점

본 연구는 지역공동체 회복과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새로운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는, 마을단위 거점시설을 대상으로 단계별 활성화 방안을 찾기 위해 이론적 틀인 ‘지속가능한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 모델(SVCN)’을 구축하고자 한다.

연구결과 주체별로 지역주민의 이용성향, 기존 인프라 여건, 지역내외여건, 사업운영방식에 따라 일부 차이점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주체별로 거점시설을 바라보는 관점이 다르기 때문이라 할 수 있으며,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투자’(준비기)에 대한 주체별 분석 결과, ‘필수(분류별 중요도에서 모든 운영주체들이 2개 이상 선택한 지표)’ 체크사항으로 사업추진 주체들의 경력ㆍ기술, 경험의 보유, 사업의 적극성 그리고 시설비 지원으로 나왔으며, ‘선택(분류별 중요도에서 모든 운영주체들이 1개 이상 선택한 지표)’ 체크사항으로는 공신력 있는 리더쉽, 사업장ㆍ작업장 지원, 경영 및 재정지원 그리고 인적자원 조사(인재발굴)가 필요하다고 나왔다.

따라서 리더의 자질을 갖춘 주민을 발굴하고, 마을공동체 회복을 위한 소통의 장(場)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지역경제활성화를 위한 성장동력 발굴과 관리시스템 구축 방안이 필요하다. 또한 자원확보와 행정적 지원을 통해 마을의 하드웨어(물리적 사업) 및 소프트웨어(사회・경제적 사업) 운영 프로그램 구축이 필요하다.

둘째, ‘과정’(활동기)에 대한 주체별 분석 결과, ‘필수’ 체크사항으로 운영협의회 활성화, 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력, 주민참여도가 나왔으며, ‘선택’ 체크사항으로는 협의에 의한 의사결정, 주민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민관협의체 구성(주민+행정이 운영)이 필요하다고 나왔다. 따라서 사업운영이 ‘활동기’에 접어들면서 사업에 참여한 구성원들이 사업과 경영의 개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기반으로 주민교육과 리더발굴을 통한 인재를 양성하고, 운영협의회(추진협의체)를 육성ㆍ지원하여 구성원들이 사업추진 주체로서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한다. 또한 공동체 확산을 위한 소모임 발굴 및 확대가 필요하다.

셋째, ‘결과’(정착기)에 대한 주체별 분석 결과, ‘필수’ 체크사항으로 국가사업발굴 선정(마을기업ㆍ사회적기업 등), 회계의 투명성 그리고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으로 나왔으며, ‘선택’ 체크사항으로는 이익의 공익사업에 대한 투자, 지속적인 컨설팅 지원, 연구(모니터링)가 필요하다고 나왔다. 따라서 마을의 자생력을 위해 마을 특성별 맞춤형 사업을 발굴하고, 운영의 연속성을 위하여 재정지원 시스템 혹은 재정자립 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 및 컨설팅 지원 등 구성원들의 역량강화와 마을단위 거점시설의 조직적인 관리 및 운영 방안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로 나온 단계별, 주체별 시사점은 마을단위 거점시설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해서 필요한 내용으로, 현재는 물론 향후 지속적인 운영을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해볼 가치가 있다고 판단된다.

본 연구의 한계로서는 지역 사업 모델(SLEN)이론을 마을단위에 적용하는 것이 얼마나 적절한가에 대한 좀 더 심층적인 검토가 필요하며, 특히 도출된 마을단위 거점시설 네트워크 모델(SVCN)의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와 타당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Notes

주1. 부산시 마을만들기 사업은 산복도로 르네상스(2010~현재)-33건, 행복마을만들기(2010~현재)-38건, 커뮤니티뉴딜(2012~현재)-20건, 희망마을만들기(2009~12년)-10건, 좋은마을만들기(2010~14년)-24건, 건강한 생활터 만들기(2007~13년)-15건 등
주2. 미래를 예측하는 질적 예측 방법의 하나로, 여러 전문가의 의견을 되풀이해 모으고, 교환하고, 발전시켜 미래를 예측하는 방법
주3. 델파이분석 전문가는 대학교수(4명), 관련업종 종사자(17명), 마을활동가(9명) 총 30명
주4. 고정총합척도법 전문가는 대학교수(5명), 관련업종 종사자(22명), 마을활동가(13명) 총 40명
주5. 사람들이 모여 유기체적 조직을 이루고 공동의 이해관계와 깊은 관계를 형성하는 조직이 어떠한 목표를 공유하고 이룰 수 있게 주로 활동하는 공간

References

  • 김길곤, (2012), “마을만들기 활성화 전략에 관한 연구”, 원광대학교 행정학과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im, Gil-Gon, (2012), “A Study of Activation Strategies on Community Development Project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Wongwang University.
  • 김영수, 박종안, (2009), “한국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공요소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농촌사회학회지」, 19(2), p167-206.
    Kim, Young Soo, Park, Jong Ahn, (2009), “Case study about success factors for community business”, Journal of the Korean Rural Sociological Society, 19(2), p167-206.
  • 박종안, (2010), “지속가능한 커뮤니티 비즈니스 성공모델에 관한 사례연구”, 숭실대학교 일반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ark, Jong-Ahn, (2010), “Case Study on Success Model of Sustainable Community Business”, Ph.D. Dissertation, Sungsil University.
  • 심상진, (2012), “도시형 마을기업 사례조사를 통한 성공요인 분석에 관한 연구”, 호서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석사논문.
    Sim, Sang-Jin, (2012), “A Case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Urban Community Busines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Hoseo University.
  • 심주혜, (2010), “마을만들기 형성 과정에 관한 연구”, 강남대학교 사회복지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Sim, Joo-Hye, (2010), “A Study on the process of community building”, Master's Degree Dissertation, Kangnam University.
  • 이광우, (2008), “지속가능한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숭실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Lee, Gwang-Woo, (2008), “An Empirical Study on the Success Factors of Sustainable Social Enterprise”, Master's Degree Dissertation, Sungsil University.
  • 이유빈, (2012), “쇠퇴지역 거점공간의 조성 및 사후효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논문.
    Lee, Yoo-Bin, (2012), “An analysis on formation and post-effect of community-based center in decaying area”, Master's Degree Dissertation, Yonsei University.
  • 이명희, 정송이, 안주영, (2008), “지역 활성화를 위한 문화서비스 이노베이션 디자인 연구”, 「한국기초조형학회지」, 9(6), p383-395.
    Lee, Myung-Hee, Jung, Song-E, Ahn, Joo-Young, (2008), “A Study on the Cultural Service Innovation Design for Regional Revitalization", Journal of Korea Society of Basic Design & Art, 9(6), p383-395.
  • 이홍택, (2012), “커뮤니티 비즈니스의 성장과정에 대한 분석 ”, 강원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Hong-Taek, (2012), “An Analysis on Growth Process of Community Busines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Kangwon University.
  • 장석정, (2012), “지속가능한 마을만들기의 평가지표 분석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Jang, Suk-Jung, (2012), “Evaluation of sustainable Community Development research on surface analysis”, Master's Degree Dissertation, ChungNam University.
  • 함유근, 김영수, 이국희, 이석준, (2008), “지역 사업의 지속 가능성 결정 요인”, 「한국중소기업학회지」, 30(2), p125-149.
    Hahm, Yu-Kun, Kim, Young-Soo, Lee, Kuk-Hee, Lee, Suk-Jun, “Key Determinants of Local Development Sustainability: A Case Study Based on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 Theory”, Journal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Small Business Studies, 30(2), p125-149.
  • 부산광역시, (2013), 「마을만들기 기본계획」, 부산.
    Busan, (2013), The General Plan of Busan Community Building Program, Busan.
  • 서울시복지재단, (2013), 「서울시 마을공동체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Seoul Welfare Foundation, (2013), A study Measures for Promoting Seoul Village Community Projects, Seoul.
  • Ali, Madanipour, (2003), Public and private spaces of the city, London, Routledge.
  • Wheeler, D., McKague, K., and Thomson, J., Davies, R., Medalye, J., and Prada, M., (2005), “Creating 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 MIT Sloan Management Review, 47(1), p33-40.

Fig. 1.

Fig. 1.
SLEN(Sustainable Local Enterprise Network)자료 :Wheeler 외 3인(2005)

Fig. 2.

Fig. 2.
The status of building a village by the City of Busan

Fig. 3.

Fig. 3.
Sustainable Village Unit Core facility Network Activation SVCN Model

Table 1.

Flow Chart of Study

마을단위 거점시설 개념 및 지속가능한 거점시설 운영지표 추출
The concept of village unit core facility usage and sustainable base facility operational indices
A survey on sustainable core facility
지속가능한 거점시설 주체별, 단계별 설문조사
구분
Sort
1단계
1st step
2단계
2nd step
분석
Analysis
지표개발
index development
평가지표분석
Evaluation index analysis
분석방법
Method of analysis
델파이
Delphi
고정총합척도법
Constant sum scale
마을단위 거점시설 활성화방안을 위한 지표 도출
Index derivation for vitalizing village unit core facility

Table 3.

Evaluation Index

분류 Division 요소 Elements 평가지표(Value Index)
※=현장조사지표 Site Investigation Index
‘준비기’
투자

(내부와 외부)

'Preparation period'
Investment

(Internal and external)
인적자원
(개인적인 숙련, 능력, 지식, 적응 전략)
Human resources
(Individual skill, ability, knowledge, adaptation strategy)
사업주체역량
Business entity ability
사업추진 주체들의 경력, 기술과 경험의 보유
Work experiences of business promotion members and skill
공신력 있는 리더쉽
Leadership with public confidence
새로운 시도나 시장에 대한 관심
Interests in new attempt and market
지역문제해결관심도
Concern in solving regional problems
참여
Participation
사업의 적극성 Business initiative
재정지원
(사업을 위한 자기자본과 공동투자본(정부 지원금 등))
Financial aid
(Equity and joint investmenst capital for business(government grants and etc.)
정부지원
Government support
시설비 지원 Occupancy expense aid
사업장, 작업장 지원 Business site and workspace support
경영 및 재정지원 Management support and financial aid
교육지원 Education support
자기자본금 Equity 자본금 Capital
사업전략
(지속가능한 경쟁력을 갖출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수립)
Business strategy
(Establishment of constant competitiveness)
사업전반
Business in general
사업계획 구체성 Concreteness of business plan
업무프로세스 체계성 Systemicity of business process
경제사업 (상품판매)
Economic business
(Product sales)
가능성 있는 수요와 판로의 확보 Securing possible demand and market
상품의 우수한 경쟁력Great competitiveness of products
업종선정의 현명한 선택 Wise selection of type of business
장소자원
(필요한 자본으로 환경자원, 유・무형의 자원)
Space source
(Environmental resources,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마을자원조사
Village resources investigation
인적자원 조사(인재발굴)
Investigating human resources (talent discovery)
주변 사전조사(역사・문화・환경조사)
Pre-investigation (History・Culture・Environment)
Agreement of business collaboration(Land, building and etc.)
사업협조동의서(토지,건물 등)
사전시장조사 Pre-market research
외부활동지원 External activity support 활동가(코디네이터) 지원 Supporting activist (Coordinator)
‘활동기’ 과정

(핵심역량)

‘Active period’
Process

(Core competency)
조직구조
(커뮤니케이션을 통한 구조적 특성 유지, 역량 발휘를 위한 분위기 형성)
Organization structure
(Maintaining structural characteristics through communication, forming atmosphere for ability display)
조직 내 소통
Communication whithin organization
협의에 의한 의사결정 Decision making by consultation
대표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Good communication with directors
조직체계
Organizational system
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
Willingness to contribute to local community
기관운영규정마련 및 시행
Regulation preparation of institution operation and
implementation
참여주체(채용)의 공정성
Fairness of participation(employment)
조직운영 (조직 구성원 간의 협력과 원할한 의사소통) Operation of organization (Cooperation between members and good communication) 관리주체대상 Target of managing entity 운영협의회 활성화 A council of management invigoration
역할분담의 효율성 Efficiency of role allocation
참여자들간의 신뢰성 Reliabilities between participants
주민대상
Target of residents
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력
Voluntary cooperation of residents
주민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Good communication between residents
네트워크
(사업 추진에 협력적 관계 인적, 사회적관계)
Network
(Cooperative relation, human and social relation on business promotion)
협의체
Consultative group
전문가 자문단 구성
Organizing an advisory panel of experts
민간협의체 구성(주민들이 운영)
Organizing a private consultative group (operated by residents)
민관협의체 구성(주민+행정이 운영)
Organizing a private and public consultative group
(Operated by residents + administration)
공통 전산망 구축
Common computer network construction
기자재
Equipment
네트워크 통합 관리체계 마련(연계사업체)
Building integrated network management system(linked business)
프로그램
(사업추진을 위한 교육)
Program
(Education for business promotion)
주민대상
Target of residents
프로그램 내용의 유익성 Benefits of program
지역사회특성 반영한 교육 Education with application of local community characteristics
주민참여도 Residents' participation
프로그램 차별성 및 참신성
Differentiation and freshness of program
관리주체대상
Target of managing entity
조직주체(시설관리조직)의 교육활동
Education activity of operators(Facility administrators)
‘정착지’ 결과

(지속가능성)

‘Setting period’ Result

(Sustainability)
사업성과
(거점시설을 유지)
Business result
(Maintaining base facilities)
사업평가
Business evaluation
브랜드(마케팅) 및 홍보 강화
Branding(Marketing) and PR reinforcement
국가사업발굴(마을기업・사회적기업 등) 선정
National enterprise discovery selection
(Village enterprise·Social enterprise and etc.)
주민의 수익과 인센티브
Profits and incentives of residents
회계의 투명성 Transparency in accounting
취약계층 고용증가
Employment growth of vulnerable social group
자립도
(발전시키기 위한 자립)
Independency
(Independence for development)
재정관련
Finance related
마을펀드모금 Village fund raise
조직의 지속성을 위한 법인화
Incorporation for organization's sustainability
구성원 회비납부 Membership fee
우선구매 지원 Preferential purchasing support
후원금(품) Donation
지역발전
(마을발전의 영역과 자부심)
Regional development
(Domain of village development and self-esteem)
주민참여
Community involvement
구성원 회원수 The number of members
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정도 Participation degree of residents
참여자들간의 사업목표 공유 Sharing business goal between members
지역사회 환원
Community return
이익의 공익적 사업에 대한 투자
Investment on public services
일자리창출 Job creation
역량강화
(지속적인 역량강화)
Capacity building
(Constant strengthening of ability)
주민교육
Education for residents
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Constant educational program development and support
지속적인 컨설팅 지원 Constant consulting aid
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모니터링)
Constant investigation and study(Monitoring)
마을만들기 전담지원기구 설치
Creating a support organization for building a village
리더(공동체구성원) 각종 교육 이수
Completion of various education by leader(community member)

Table 4.

The construction status of base facility (August, 2014)(’14년 8월 기준)

주요사업
Main Business
거점시설
Core Facility
활용용도
Utilization Usage
※ 갤러리(홍보)공간은 구・군 직영(기초단체)에서 운영하는 시설이라 6곳 제외
계 Total 58
산복도로 르네상스
A hillside road Renaissance
27개소
27
공동체 활동공간 : 21
Activity space for community: : 21
갤러리(홍보)공간 : 6
Gallery space : 6
행복마을만들기 사업
Building Happy Village
21개소
21
공동체 활동공간 : 21
Activity space for community : 21

Table 5.

Survey summary

구분
Division
1단계 설문조사
1st Survey
2단계 설문조사
2nd Survey
분석
Analysis
지표개발
index development
평가지표분석
Evaluation index analysis
대상
Target
전문가 (30명)
experts (30)
운영자(52명)
operators (52)
행정담당자 (16명)
administrators (16)
전문가(40명)
experts(40)
분석방법
Method of analysis
델파이
Delphi
고정총합척도법
Constant sum scale
조사기간
Period
2014. 8~9
Aug. ~ Sept. 2014.
2014. 9~11
Sept. ~ Nov. 2014
조사내용
Content
단계별 지표분석
Phased index analysis
지속가능한 활성화 방안 도출
Deduction of sustainable activation plan

Table 6.

■Operator ▲Administrator ●Survey result by experts(%, (order))

분류
Division
중요도
status
요소
Elements
중요도
status
지표 중요도
status
분류별 중요도
categorical status
전체 중요도
total status
※분류 중요도 100%=투자(전체 응답자수/총합계)+과정(전체 응답자수/총합계)+결과(전체 응답자수/총합계)
※Importance of classification 100%=Investment(No. of total respondents/sum)+Process(No. of total respondents/sum)+Result(No. of total respondents/sum)
※요소 중요도 ‘투자’ 100%=인적자원(전체 응답자수/총합계)+재정지원(전체 응답자수/총합계)+사업전략(전체 응답자수/총합계)+장소자원(전체 응답자수/총합계)
※Importance of elements 'Investment' 100%=Human resources(No. of total respondents/sum)+Financial aid(No. of total respondents/sum)+Business strategy(No. of total respondents/sum)+Business site support(No. of total respondents/sum)
※지표 중요도 Ⓐ=투자(■)x인적자원(■)x100
※ Importance of index Ⓐ=Investment(■) x Human resources(■) x 100
※전체 중요도 Ⓑ=투자(■)x인적자원(■)xⒶx100
※ Total importance Ⓑ=Investment(■) x Human resources(■) x Ⓐ x 100
투자
Investment
■34.4
▲29.2
●29.0
인적자원
Human resources
■27.1
▲30.3
(1)
●34.4
(1)
①사업추진 주체들의 경력, 기술과 경험의 보유Ⓐ 20.47
(1)
20.30 20.20 5.55 6.15
(3)
6.96
(2)
Ⓑ1.91 1.80 2.02
②공신력 있는 리더쉽 19.53 19.30 20.00 5.29 5.83 6.88
(3)
1.83 1.70 2.00
③새로운 시도나 시장에 대한 관심 20.26 19.10 18.90 5.49 5.79 6.51 1.89 1.69 1.89
④지역문제해결관심도 19.89 19.60 19.60 5.39 5.95 6.75 1.86 1.74 1.96
⑤사업의 적극성 19.84 21.10
(1)
20.90
(1)
5.38 6.38
(2)
7.19
(1)
1.86 1.86 2.09
재정지원
Financial aid
■30.0
(1)
▲29.8
●25.6
⑥시설비 지원 24.53
(1)
24.60
(1)
22.00
(1)
7.36
(1)
7.34
(1)
5.64 2.54
(2)
2.14 1.64
⑦사업장, 작업장 지원 17.68 20.60 19.30 5.31 6.15
(3)
4.94 1.83 1.79 1.43
⑧경영 및 재정지원 19.63 19.60 18.60 5.89
(3)
5.83 4.75 2.03 1.70 1.38
⑨교육지원 18.66 17.70 21.20 5.60 5.27 5.42 1.93 1.54 1.57
⑩자본금 19.24 17.80 19.00 5.77 5.31 4.86 1.99 1.55 1.41
사업전략
Business strategy
■22.8
▲21.1
●20.2
⑪사업계획 구체성 20.92 22.20 23.80
(1)
4.77 4.68 4.82 1.65 1.37 1.40
⑫업무프로세스 체계성 18.34 15.90 18.20 4.18 3.36 3.67 1.44 0.98 1.06
⑬가능성 있는 수요와 판로의 확보 20.68 23.10
(1)
19.20 4.72 4.88 3.88 1.63 1.42 1.13
⑭상품의 우수한 경쟁력 21.47
(1)
19.10 20.60 4.90 4.02 4.15 1.69 1.17 1.20
⑮업종선정의 현명한 선택 18.58 19.70 17.90 4.24 4.15 3.62 1.46 1.21 1.05
장소자원
Space source
■20.4
▲18.8
●20.1
⑯인적자원 조사(인재발굴) 29.18
(1)
24.10
(1)
24.00
(1)
5.95
(2)
4.52 4.82 2.05 1.32 1.40
⑰주변 사전조사(역사・문화・환경조사) 22.32 22.20 23.40 4.55 4.17 4.70 1.57 1.22 1.36
⑱사업협조동의서(토지,건물 등) 13.29 19.10 15.90 2.71 3.58 3.20 0.94 1.05 0.93
⑲사전시장조사 12.89 17.00 15.20 2.63 3.20 3.06 0.91 0.93 0.89
⑳활동가(코디네이터) 지원 22.32 18.30 21.40 4.55 3.44 4.31 1.57 1.00 1.25
과정
Process
■34.6(1)
▲36.7(1)
●39.1(1)
조직구조
Organization structure
■22.9
▲22.8
●21.3
①협의에 의한 의사결정 29.34
(1)
22.80
(1)
25.50
(1)
6.72
(2)
5.20 5.44 2.32 1.91 2.13
②대표와의 원활한 의사소통 22.97 18.30 22.70 5.26 4.18 4.83 1.82 1.53 1.89
③지역사회에 기여하고자 하는 의지 14.63 21.20 17.10 3.35 4.83 3.64 1.16 1.78 1.42
④기관운영규정마련 및 시행 11.34 18.30 13.10 2.60 4.18 2.78 0.90 1.53 1.09
⑤참여주체(채용)의 공정성 22.63 19.40 21.60 5.18 4.42 4.61 1.79 1.62 1.80
조직운영
Operation of organization
■29.5
(1)
▲35.1
(1)
●28.7
(1)
⑥운영협의회 활성화 25.00
(1)
22.50
(1)
20.70 7.38
(1)
7.90
(1)
5.94 2.54
(2)
2.90
(2)
2.32
⑦역할분담의 효율성 18.63 18.60 18.20 5.50 6.54 5.22 1.90 2.40 2.04
⑧참여자들간의 신뢰성 19.32 18.80 19.10 5.70 6.58 5.49 1.97 2.42 2.15
⑨주민들의 자발적인 협력 20.42 20.50 23.00
(1)
6.02 7.20
(2)
6.59
(3)
2.08 2.64 2.58
(3)
⑩주민들의 원활한 의사소통 16.63 19.60 18.40 4.91 6.89(3) 5.28 1.69 2.53 2.07
네트워크
Network
■20.8
▲20.1
●23.5
⑪전문가 자문단 구성 17.18 18.90 17.70 3.57 3.81 4.16 1.23 1.40 1.63
⑫민간협의체 구성(주민들이 운영) 22.74 23.60
(1)
22.60 4.73 4.75 5.31 1.63 1.75 2.08
⑬민관협의체 구성
(주민+행정이 운영)
28.68
(1)
23.40 28.60
(1)
5.97 4.71 6.73
(1)
2.06 1.73 2.63
(1)
⑭공통 전산망 구축 13.82 15.10 14.00 2.87 3.04 3.29 0.99 1.12 1.29
⑮네트워크 통합 관리체계 마련 (연계사업체) 17.58 18.30 17.10 3.66 3.67 4.02 1.26 1.35 1.57
프로그램
Program
■26.6
▲22.0
●26.3
⑯프로그램 내용의 유익성 22.26 21.60 19.10 5.92 4.74 5.03 2.04 1.74 1.97
⑰지역사회특성 반영한 교육 21.00 17.80 23.40 5.59 3.91 6.16 1.93 1.44 2.41
⑱주민참여도 22.97
(1)
25.40
(1)
25.20
(1)
6.11
(3)
5.60 6.62
(2)
2.11 2.06 2.59
(2)
⑲프로그램 차별성 및 참신성 17.18 13.70 16.90 4.57 3.01 4.44 1.58 1.11 1.74
⑳조직주체(시설관리조직)의 교육활동 16.58 21.60 15.40 4.41 4.74 4.06 1.52 1.74 1.59
결과
Result
■31.0
▲34.1
●31.9
사업성과
Business result
■29.6
(1)
▲33.8
(1)
●30.2
①브랜드(마케팅) 및 홍보 강화 14.47 19.10 18.80 4.28 6.44 5.67 1.33 2.19 1.81
②국가사업발굴(마을기업・사회적기업 등) 선정 25.47 21.60 18.50 7.54
(2)
7.29
(3)
5.58 2.34
(3)
2.48 1.78
③이익의 공익사업에 대한 투자 21.79 23.40 20.90 6.45 7.92(2) 6.30 2.00 2.70
(3)
2.01
④회계의 투명성 27.74
(1)
25.90
(1)
26.40
(1)
8.21
(1)
8.77
(1)
7.97
(1)
2.55
(1)
2.99
(1)
2.54
⑤취약계층 고용증가 10.53 8.75 15.20 3.12 2.96 4.58 0.97 1.01 1.46
자립도
Independency
■19.0
▲15.9
●20.7
⑥마을펀드모금 21.18 19.70 21.10 4.03 3.13 4.37 1.25 1.07 1.39
⑦조직의 지속성을 위한 법인화 24.03 22.60
(1)
25.20
(1)
4.57 3.59 5.21 1.42 1.22 1.66
⑧구성원 회비납부 29.61
(1)
21.30 19.70 5.63 3.38 4.08 1.74 1.15 1.30
⑨우선구매 지원 12.32 16.20 15.70 2.34 2.57 3.25 0.73 0.88 1.04
⑩후원금(품) 12.87 20.30 18.30 2.45 3.23 3.80 0.76 1.10 1.21
지역발전
Regional development
■22.8
▲19.1
●18.9
⑪구성원 회원수 21.79 20.30 22.40 4.97 3.88 4.23 1.54 1.32 1.35
⑫지역주민의 적극적인 참여정도 23.82
(1)
24.80
(1)
25.50
(1)
5.43 4.74 4.82 1.68 1.61 1.54
⑬참여자들간의 사업목표 공유 15.76 14.30 14.00 3.59 2.72 2.65 1.11 0.93 0.84
⑭이익의 공익적 사업에 대한 투자 18.21 18.10 19.70 4.15 3.46 3.73 1.29 1.18 1.19
⑮일자리창출 20.42 23.10 18.70 4.66 4.42 3.53 1.44 1.50 1.13
역량강화
Capacity building
■28.6
▲31.3
●30.3
(1)
⑯지속적인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 23.08
(1)
17.90 24.70
(1)
6.60
(3)
5.61 7.47
(2)
2.05 1.91 2.38
⑰지속적인 컨설팅 지원 23.08
(1)
23.00
(1)
21.20 6.60
(3)
7.20 6.42 2.05 2.45 2.05
⑱지속적인 조사와 연구(모니터링) 22.74 21.60 22.30 6.50 6.75 6.76
(3)
2.02 2.30 2.16
⑲마을만들기 전담지원기구 설치 15.53 19.70 15.90 4.44 6.16 4.82 1.38 2.10 1.54
⑳리더(공동체구성원) 각종 교육 이수 15.58 17.80 15.90 4.46 5.58 4.83 1.38 1.90 1.5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