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rea Planning Association
[ Article ]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 Vol. 55, No. 2, pp.44-57
ISSN: 1226-7147 (Print) 2383-9171 (Online)
Print publication date 30 Apr 2020
Final publication date 18 Mar 2020
Received 28 Oct 2019 Revised 17 Feb 2020 Reviewed 11 Mar 2020 Accepted 11 Mar 2020
DOI: https://doi.org/10.17208/jkpa.2020.04.55.2.44

도서지역 물리적 연결이 관광개발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관계에 미치는 영향 : 완도군 보길도 명품어촌테마마을 조성 사업을 사례로

김주진** ; 신우진***
The Impact of the Physical Connectivity among Island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cognition of the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and Residents’ Support : The Case of Bogil Island Luxury Fishing Village in Wando-gun
Kim, Ju-Jin** ; Shin, Woo-Jin***
**Ph.D. Student, Department of Regional Development, Chonnam National University jujin45@naver.com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sayurban@jnu.ac.kr

Correspondence to: ***Associate Professor, Department of Economics, Chonnam National University (Corresponding Author: sayurban@jnu.ac.kr)

Abstract

The geological features of the Korean peninsula, such as its marine and coastal areas, make it a remarkable tourism resource. In 2017, the Ministry of Maritime Affairs and Fisheries selected ten luxury fishing villages across the country to support national expenses and promote the vitalization of fishing village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how the luxury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affects the residents' support and suggests how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can be smoothly implemented. This study set Nohwa-island and Soan-island as research areas, which were the neighboring areas around Bogil-island and were selected as demonstration districts for the luxury fishing village development project.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379 residents. The data collected are analyzed using a structural equation model (SEM) to ver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d variables and the control impact of the residential are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economic and environmental impacts have a positive impact on residents' support; second, residents' residence played a role in controlling the influence of the development of the luxury fishing village and the support of the residents'. The research results demonstrate that project plans should be established based on the economic benefits and the preservation and management of the environment when promoting island development projects, including the luxury fishing village.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sidents' with sufficient information on project implementation such that tourism development projects can be smoothly promoted. Finally, to increase the recognition and support of the positive influence of residents', year-end churches that increase accessibility to books should be expanded.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resolve regional conflicts by seeking balanced development and income distribution.

Keywords:

Fishing Village, Fishing Village Tourism, Residents' Support, Impact of Tourism Development, Connecting Bridge

키워드:

어촌마을, 어촌관광, 주민 지지도, 관광개발 영향, 연도교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경제 발전에 따라 개인의 소득 수준이 향상되고, 주 40시간 근무 제도와 주 5일 수업제, 여행주간 도입 등으로 인한 여가 시간 증대로 관광수요가 증가하고 있다(고태호 외, 2006; 김주진 외, 2017; 박대환·이양희, 2017). 관광개발사업은 지역경제를 활성화할 뿐만 아니라 지역의 이미지를 개선하는 긍정적인 효과를 유발하기 때문에 각 지역에서는 지역개발의 일환으로 적극 추진하고 있다(정유준·이주형, 2013). 이에 중앙정부 및 지방자치단체에서는 지역이 가지고 있는 관광자원 및 특성을 반영한 관광개발사업을 계획하여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킬 방안을 강구하고 있다(김태헌·박숙진, 2011).

우리나라는 반도라는 지형적 특성으로 해양이나 연안 지역과 같은 관광자원이 풍부하다. 최근 중앙 및 지방정부 주도의 관광개발사업에서 해양자원의 잠재력에 주목하고 있고, 이를 적극적으로 사업에 반영하려는 추세이다. 더욱이 지방균형발전의 일환으로, 한국의 관광자원개발 정책은 기존 어촌마을의 어업활동과 관광잠재력을 활용하는 방향으로 고안 및 집행되고 있다(이승우 외, 2008; 강지호, 2010; 해양수산부, 2014).

특히, 2017년 해양수산부에서는 지자체 공모를 통하여 전국 10개소의 명품어촌테마마을을 선정 및 조성하여 자금을 제공하는 등 어촌 지역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해양수산부, 2017). 명품어촌테마마을 조성사업은 해양수산부 일반농산어촌개발사업으로 선정된 사업대상지 중 경관이 우수하고,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있는 어촌마을을 선정하여 1개소당 100억 원(국비 70%, 지방비 30%)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여기에 첫 시범지역으로 선정된 완도군 보길도는 기초생활기반을 확충하고 지역소득증대 및 지역경관개선 등을 위하여 보길 섬집정원 프로젝트, 마을공동 브랜드 민박, 마을커뮤니티센터 리모델링 등의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관광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해당 지역에서 거주하는 주민들의 참여 및 지지도는 지속가능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요소로 볼 수 있다. 관광개발사업 계획 및 추진 시 지역주민들의 협력을 이끌어 내지 못하면, 관광개발로 인하여 각종 비용 증가, 지역사회 갈등, 지역주민 저항 유발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양승필·서용건, 2015). 또한 개발이 일어나는 장소와 주민들이 거주하는 위치 간 지리적 관계도 개발사업에 대한 지지 정도에 영향을 줄 수 있다(심현정, 2008).

국내에서는 해안권 발전을 위하여 동서남해안 및 내륙발전법 시행령을 개정하여 해양관광진흥지구 지정 기준, 도입 가능 시설 확대, 건폐율 및 용적률 완화 등을 구체화하였다. 또한 2010년에는 남해안권발전 종합계획을 수립하여 남해안 광역 관광 활성화 및 지역 간 접근성 향상을 위한 연륙·연도교 확충 등 해안도로 단절구간 연결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전남 서남해안의 경우 2019년 11월 기준, 유인도서 276곳 가운데 연륙·연도교가 건설되어 교통망이 확장된 섬은 59곳에 불과하여, 교통기본권을 침해받고 관광 및 해양자원 개발이 어려운 실정이다.

국내에서 진행되는 인접도서 간 연륙교·연도교 건설 사업은 도서 지역주민들의 시공간 범위 변화에 지대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지리적 맥락의 변화는 관광개발사업에 대한 주민 인식과 개발사업 지지 정도의 사이에 조절효과를 줄 것으로 판단된다.

다수의 연구들은 농·어촌마을 및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들의 이용 만족도, 방문동기 등을 주로 연구하고 있어, 관광개발 관련 정책의 성패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지역주민들에 대한 연구와 도서 간의 연결에 따른 차이를 보는 연구가 다소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명품어촌테마마을 조성 시범지구로 선정된 완도군 보길도와 인접 도서지역인 노화도, 소안도를 공간적 범위로 설정하였다. 노화도는 완도읍으로부터 남서쪽에 위치하고 있고 여객선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다. 명품어촌테마마을 사업대상지인 보길도는 노화도 남쪽에 위치한 섬으로 보길대교가 개통되어 있어 자가용 및 대중교통 등을 통한 육상 이동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소안도는 보길도 동쪽에 위치하며 노화도에서 여객선을 통하여 이동이 가능하다(<Figure 1> 참조). 연도교는 도서지역 주민의 육지 접근성 증진, 정주여건 개선, 관광객의 도서 유인 등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를 목적으로 두고 있기 때문에(이경현, 2012; 심승희, 2013), 물리적 연결은 주민들의 지지도에 영향을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이에 현재 소안도가 보길도와 물리적 연결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황에서 물리적 연결성의 영향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Figure 1.

Research area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에 따른 영향 인식이 주민 지지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관광개발 영향과 주민 지지도 간의 관계에 있어 연도교 연결 여부에 따른 개발사업 인식도 차이(조절효과)가 있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또한, 농촌마을을 대상으로 한 관광개발 영향 및 주민 지지도 관련 선행연구와 비교하여 지역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한다.


Ⅱ. 이론 고찰 및 선행연구

1. 관광개발 영향과 주민 지지도 관계

관광개발이란 관광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정한 규모의 한정된 공간에 대하여 관광객과 지역주민의 편익을 도모하기 위한 물리적 시설을 조성하고, 자본, 노동력, 기술 등을 투입하여 관광자원 활용 및 시설 이용을 촉진시키는 일련의 행위라고 할 수 있다(최자은·박은경, 2018). 관광개발은 지역주민들에게 경제적 편익을 제공하고 있어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중요한 경제적 활동으로 여겨져 오고 있다(고동완, 1998; 임화순·고계성, 2012).

관광개발에 따른 영향 연구는 1990년대부터 주목받기 시작하였는데, 이는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는 영향과 지지도가 관광 프로그램에 대한 성공적인 개발의 전제 조건 중 하나이기 때문이다(김정숙, 2004). 관광개발 영향은 지역에 미치는 실제적 영향과 지각된 영향으로 분류할 수 있다(Belisle and Hoy, 1980). 관광개발 영향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물리적 영향 등 다양한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는데, 일반적으로는 관광개발 영향을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으로 구분하고 있다(고동완, 1998; 이용학, 2015).

관광개발에 대한 주민 지지도는 지역사회 개발에 대한 태도라고 할 수 있다. 개발 지지도는 관광행위나 관광개발사업을 통하여 발생하는 여러 가지 영향에 대한 인식과 지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영향에 대한 정서적 반응 및 종합적 판단을 의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조명환·양봉석, 2004). 개발 지지도는 관광개발사업을 추진하는 데 있어 지역주민들을 설득시키고 주체적으로 참여시키기 위한 중요한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정성문 외, 2016). 따라서 관광자원이 풍부한 농어촌 지역에서는 효율적인 관광개발을 위하여 지역주민들과의 갈등 관리, 지역주민의 동의 및 참여가 반드시 필요하다(이광표, 2014).

이와 같이 관광개발은 개발 대상지의 주민에게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 관광개발을 성공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개발로 인하여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받는 지역주민들의 태도와 영향 정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다(문현철, 2017). 또한 관광개발 영향 인식 정도에 따라서 지역주민들의 지지도가 달라질 수 있기에, 관광개발사업 추진 시 어떠한 요인을 중점적으로 추진하여야 할 것인가에 대한 방법을 강구하는 데 관광개발 영향과 관광개발에 대한 주민 지지도를 주로 활용하고 있다(이광표, 2014).

본 연구에서는 관광개발 영향을 관광개발사업에 따른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으로 구분하여 독립변수로 활용하였다. 주민 지지도는 주민들이 지역 내 개발사업에 대해 지지하는 정도로 정의하여 종속변수로 활용하였다. 이와 함께 관광개발사업 지역으로부터의 거리가 주민 지지도의 차이를 줄 것이라는 심현정(2008)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도서지역 내 개발사업은 물리적 연결 여부에 따라 지지도의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단하여 이에 대한 이론을 검증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2. 어촌관광과 어촌체험마을

어촌과 관광을 조합한 어촌관광은 어촌 지역의 기반시설 개선 사업들이 성과를 내지 못하여 경제 여건이 악화되는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하나의 대안으로 나타났다(홍장원·최승담, 2008). 어촌관광 사업으로는 관광·레저 수요를 어촌 지역으로 유치하기 위한 어촌휴양단지 조성과 어촌체험마을 조성 등이 있다(고민규, 2007).

국내 어촌체험마을은 현재 해양수산부와 한국어촌어항협회에서 관리 및 운영하고 있으며, 2018년 기준 총 111개소가 지정 및 운영되고 있다. 해양수산부에서는 어촌 관광 수요가 증가할 것으로 전망하여 2023년까지 134개소로 어촌체험마을을 확대할 계획에 있다(해양수산부, 2014). 김준(2005)은 어촌관광을 도시민들이 연안 또는 도서지역의 어촌에 머물면서 어업인들의 일상생활을 체험하고 어촌문화와 여가를 경험하는 것이라고 정의하였다. 정석중·이미혜(2004)는 어촌관광을 어촌이라는 장소적 제한 범위 안에서 어민 소득과 연계되어 어촌의 어업활동과 직·간접적으로 관련되는 활동이라고 정의하였다.

지리적 관점에서, 어촌은 해안이나 도서 지역에 위치하여 접근성이 취약하거나 평지가 적고, 경제적 관점에서 어촌의 주요한 경제 기반은 어장과 어항이며, 대체로 어촌 구성원들이 함께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어촌의 지리적 그리고 경제적 특징으로 어촌 지역 주민들은 농촌 지역보다 결속력이 강하다는 의식이 존재한다(이승우 외, 2015). 어촌체험마을은 지역자원 활용 과정에 있어서 갈등을 최소화하고, 어촌의 생활환경 변화에 대해 동의를 확보하여야 하기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참여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황기형·이승우, 2000).

3. 선행연구 검토 및 연구의 차별성

성공적인 관광개발사업을 추진하기 위해서는 해당 대상지에서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들의 참여와 관심이 매우 중요하기에, 지역주민들의 관광개발 영향과 지지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었다.

조광익·김남조(2002)는 경제적 편익과 사회적 영향은 지역주민 태도와 유의한 관계가 있다고 주장하였다. 조명환·양봉석(2004)은 관광지원에 영향을 주는 것은 사회적, 문화적, 환경적 요인임을 밝혔다. 김혜영·류시영(2009)은 해양관광지 개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측면의 긍정적 변화임을 확인하였다. 박창규·김혜영(2011)은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에 영향을 주는 것은 경제적, 사회문화적 측면의 긍정적 변화라고 하였다. 임화순·고계성(2012)은 경제 향상 인식이 해양관광개발 지지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장준호(2012)는 인근과 비인근 지역주민들을 대상으로 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태도 차이를 연구한 결과, 지역주민 집단별 관광개발지지에 대한 영향에 차이가 없다고 주장하였다. 박인규·전희원(2013)은 김천 부항댐 수변공간 관광개발에 따른 환경적 영향과 경제적 영향이 주민태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윤설민 외(2013)는 엑스포에 대한 긍정적 경제 및 사회문화적 영향이 지지도에 영향을 미친다고 주장하였다. 이광표(2014)는 커뮤니티비즈니스형 어촌관광사업의 사회문화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이 지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황경후 외(2016)는 해양관광개발에서 관광개발 지지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경제적, 사회적 영향 인식임을 밝혔다. 김주진 외(2017)는 지역주민들의 개발 태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측면의 긍정적 영향임을 밝혔다. 문현철(2017)은 제주도 지역주민의 경제적·사회문화적·환경적 영향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수준에서 지속적 관광개발 지지의사에 영향을 미친다는 결과를 밝혀냈다. Lee and Back(2006)은 카지노 개발에 대한 지지도에 영향을 주는 것은 긍정적인 사회적, 환경적 영향임을 밝혀냈다. Long and Kayat(2011)는 꾹 프엉 국립공원(Cuc Phuong National Park)을 사례로 관광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과 관광개발 지지도 연구를 진행하여 관광개발 지지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임을 밝혀냈다.

지금까지 살펴본 관광개발 영향과 개발 지지도 간의 관계를 살펴보는 많은 연구들은 지역주민들이 관광개발에 참여하여야 성공적인 사업으로 추진할 수 있다는 결론을 제시하고 있다. 그러나 선행연구에서는 개발사업이 완료 및 종료되었거나 개발이 진행 중에 있는 지역을 중심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다. 또한, 분석 방법에서도 다수의 연구들이 요인분석과 회귀분석을 활용함에 따라 변수들의 측정오차가 고려되지 못했다는 한계가 존재하였다.

본 연구는 사업 대상지로 선정되어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살펴보고, 사업 대상지와 연도교 연결 여부에 따라 지역주민들의 영향 인식과 지지도간 영향 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 연구들과 차별성을 갖는다. 또한 구조방정식모델을 사용하여 측정 문항이 갖고 있는 측정 오차를 반영하고, 사회현상을 보다 잘 설명함으로써 분석결과의 신뢰성을 높였다(송지준, 2019).


Ⅲ. 조사 대상 및 분석방법

1. 연구지역 및 대상

본 연구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대한 영향 인식이 주민의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 주민들의 거주 지역 차이가 관광개발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간에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한다.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명품어촌테마마을로 지정된 곳 주변 섬 간에 일부만 교량으로 연결되어 섬의 연결성을 분석하기에 적합한 전라남도 완도군 보길도, 노화도, 소안도로 한정하였다(<Table 1> 참조). 보길도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지역으로 완도에서 서남쪽으로 23.3㎞ 떨어져 있다. 보길도에 인접한 노화도는 완도읍과 가장 인접(14.5㎞)한 도서 지역으로 보길도와 소안도 지역주민들이 육지로 이동하기 위하여 필수적으로 거쳐야 하는 지역이다. 노화도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지역인 보길도와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어 차량으로 이동이 가능하여 비교적 교류가 활발하다. 한편, 소안도는 완도군의 최남단에 위치한 섬으로 완도에서 남쪽으로 17.8㎞ 떨어져 보길도 동쪽 편에 위치하고 있다. 보길도와 노화도, 소안도 등은 소안군도를 이루고 있다.

Research area and the number of samples

현재 노화읍에 속해 있는 구도와 소안도를 연결하는 연도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향후 구도와 소안도가 연결되면 노화도와 소안도, 보길도 세 섬을 모두 차량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3개의 섬이 연결될 경우 각 도서 지역 간 교류는 물론 지역 간 연계관광이 가능할 것으로 예상된다.

설문조사 대상은 명품어촌테마마을로 선정된 보길도를 비롯하여 인접 도서지역인 노화도와 소안도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들로 설정하였다. 설문조사는 도서 지역 특성상 주민들을 만나기 힘든 점을 감안하여, 관공서, 상가, 은행 등을 직접 방문하여 진행하였다. 설문조사요원은 연구자를 포함한 총 3명으로 구성되어 총 390부(도서 지역별 각 130부)를 배포하였고, 최종적으로 회수된 설문지는 총 379부였다.

2. 변수설정 및 분석방법

설문 문항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 영향 인식과 개발사업에 대한 주민 지지도, 인구통계적 특성으로 구성하였으며,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작성하였다. 먼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는 개발에 따른 영향을 얼마나 인식하고 개발을 지지하는지 묻는 문항으로써 5점 리커트 척도로 측정하였다.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 영향 인식은 경제적 영향, 사회문화적 영향, 환경적 영향으로 구분하였다. 경제적 영향은 사업 활성화, 관광객 소비 증가, 지역주민 소득 증가, 지역주민 고용 창출, 지역경기 활성화 등 5개 문항, 사회문화적 영향은 여가 기회 증가, 시설 및 서비스 개선, 주민 삶의 질 향상, 지역이미지 향상 등 4개 문항, 환경적 영향은 환경 청결 유지, 환경 보존의식 증가, 생활환경 개선 등 3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Table 2> 참조).

Question on the impact of developing luxury fishing village

또한, 개발 지지도는 어촌테마마을 사업에 대한 기대, 지역 발전을 위한 관광객 유치 동의, 관광발전을 위한 참여, 관광개발사업 적극지지, 향후 추가 개발사업 진행 동의, 어촌테마마을 사업에 참여 등 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Table 3> 참조). 마지막으로, 인구통계적 특성은 성별, 결혼 유무, 연령, 거주 기간, 거주지, 직업, 최종 학력 등 7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Question on the residents'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본 연구는 기초통계분석인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신뢰도 및 타당도 확보를 위하여 탐색적·확인적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다수의 내생변수와 외생변수 간의 개별적인 영향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하였다(윤병훈·남진, 2014).

구조방정식 모형은 사회 현상이나 각종 경제 현상 등을 연구할 때 사용하는 방법론으로 각 요인 또는 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또한 구조방정식 모형은 다수의 종속변수와 독립변수들 간의 인과 관계를 동시에 검정할 수 있으며, 측정오차를 포함시켜 정확한 분석에 접근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일반 통계 모형에는 없는 잠재변수를 사용함으로써 측정하지 않은 개념적인 변수를 생성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측정한다(허준, 2013).

또한 물리적 연결 여부에 따라 거주민들의 영향 인식과 지지도 간 영향관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이론적 개념 간 정(+)적, 부(-)적 관계의 통계적 유의성 여부 및 양적인 크기에 대한 인과 관계를 질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수 있도록 매개 및 조절변수 역할을 검증하고자(정선호·서동기, 2016; Colquitt and Zapata-Phelan, 2007) 거주지역의 조절효과를 살펴보았다.


Ⅳ. 분석결과

1. 조사대상자 특성

설문 응답자 379명 중 남성은 약 60%이고, 기혼자는 약 83% 수준이었다. 40대와 50대 중년층이 약 60%로 가장 많았고, 20대와 30대 청년층과 60대 이상 노년층은 각각 약 24%, 약 15%로 상대적으로 적었다. 거주기간은 31년 이상(약 26%)이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11~20년(약 19%)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거주지는 노화도(35.6%), 소안도(33.0%), 보길도(31.4%) 순으로 나타났고, 직업은 어업(27.2%), 공무원(18.5%), 자영업(18.2%) 순으로 나타났다. 최종 학력은 고등학교(43.5%), 대학교 재학 이상(37.5%)이 높게 나타났다(<Table 4> 참조).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rvey respondents

2. 기술통계량

본 연구에서 개발 영향과 지지도를 분석하는데 있어 리커트 5점 척도를 적용하였다. 리커트 5점 척도에서 중간값이 3이기 때문에 값이 3보다 크면 긍정적, 3보다 작으면 부정적, 3인 경우 보통으로 해석하였다. 먼저 관광개발사업은 긍정적인 경제적 영향을 야기할 것이라는 주장에는, 5점 척도에서 3을 중간값으로 규정하였을 때, 평균 이상으로 응답한 비중이 높았다. 경제적 영향과 관련된 5개 문항 중, 특히 관광객 소비 증가 항목이 다른 문항에 비교하여 높은 강도의 동의를 얻었다. 따라서 지역주민들은 명품어촌테마마을에 관광객들이 방문하여 많은 지출을 할 것이라는 기대가 큰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사회문화적 영향과 관련된 4개 문항 중에서는 지역이미지 향상 항목이 다른 문항에 비교하여 높은 강도의 동의를 얻어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이 지역 이미지를 향상시킨다는 인식이 가장 높았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환경적 영향과 관련된 3개 문항 중, 생활환경 개선 항목이 다른 문항에 비교하여 높은 강도의 동의를 얻어 향후 명품어촌테마마을이 조성된다면 지역 내 생활환경이 크게 개선될 것이라는 기대가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주민 지지도와 관련된 6개 문항 중에서는 향후 추가 개발사업 진행 항목이 다른 문항에 비교하여 높은 강도의 동의를 얻어 지역주민들은 향후 지역 내에 추가적인 개발사업이 진행되었으면 하는 바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참조).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measured variables (min 1, max 5)

3. 측정 변수에 대한 신뢰도 및 탐색적 요인분석

먼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영향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요인추출방법은 많이 활용되는 주성분 분석법을 이용하였고, 요인적재량이 0.5 이상인 변수들을 유의미한 변수로 판단하였다(허준, 2013). 요인 항목들의 신뢰도 검증은 각각 요인별로 Cronbach’s α값을 구하였고, 사회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판단하고 있는 기준인 0.6 이상으로 설정하였다(채서일, 2005).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설문조사에서 구득한 자료는 요인분석에 활용되기에 적합함을 확인하였다(KMO=0.918; Bartlett‘s test=2692.2; p<.001).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영향 관련 12개 문항은 총 3개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했다. 도출된 요인들은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3개의 요인들은 전체분산의 72.7%를 설명하고 있다. 3개의 요인을 살펴보면, 요인 1은 “사업 활성화”, “관광객 소비 증가”, “지역주민 소득 증가”, “지역주민 고용 창출”, “지역경제 활성화” 등으로 구성되어 “경제적 영향”으로 명명하였다. 요인 2는 “여가 기회 증가”, “시설 및 서비스 개선”, “주민 삶의 질 향상”, “지역이미지 향상” 등으로 구성되어 “사회문화적 영향”으로 명명하였다. 마지막으로 요인 3은 “환경 청결 유지”, “환경 보존의식 증가”, “생활환경 개선” 등으로 구성되어 “환경적 영향”으로 명명하였다. 신뢰도 분석에 있어서 신뢰도 계수값인 Cronbach’s α값을 살펴보면, 0.82~0.88 사이로 기준치인 0.6 이상으로 나타나 각 요인들의 신뢰도가 확보됨을 확인하였다(<Table 6> 참조).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n the impact of developing luxury fishing villages

다음으로,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주민 지지도에 대한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타당도 검증을 위하여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탐색적 요인분석 결과, 설문조사에서 구득한 자료는 요인분석에 활용되기에 적합함을 알 수 있었다(KMO=0.926; Bartlett‘s test=1807.1; p<.001).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주민 지지도 6개 문항은 총 1개의 요인으로 설명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도출된 요인은 선행연구들의 결과와 동일하게 나타났다. 1개의 요인은 전체분산의 76.1%를 설명하고 있다. 신뢰도 검증 결과에서는 Cronbach’s α값이 0.94로 신뢰도를 확보하였다(<Table 7> 참조).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residents’ support

4. 측정 변수에 대한 확인적 요인분석

전체 측정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전체 측정 모형은 적합도 지수에서 절대 적합도 지수에 모두 충족하고 있어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는 수용가능하다고 판단되었다(CMIN=283.418, p=0.000, CMIN/DF=2.197, GFI=0.924, AGFI=0.899, RMR=0.036, RMSEA=0.056, NFI=0.942, IFI=0.967, TLI=0.961, CFI=0.967). 전체 측정 모형의 요인들도 모두 타당도를 확보하여 충분한 설명력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Standardized Coeffi cient>0.5; p<.001; SMC>0.4; AVE>0.5; CCR>0.7). 이에 측정변수들의 자료는 적합한 것으로 판단되었고, 측정변수는 4개의 요인으로 구성되어 자료의 적합도가 확보되었다(<Table 8> 참조).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odel

5. 연구 모형 및 가설 검증

연구 모형의 가설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며, 주민들의 거주 지역에 따라 영향 정도에 차이가 있을 것으로 설정하였다(<Figure 2> 참조).

Figure 2.

SEM for influence relationship verification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 H1: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영향 인식이 주민 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2: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사회문화적 영향 인식이 주민 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3: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환경적 영향 인식이 주민 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칠 것이다.
  • H4: 주민들의 거주 지역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사회문화적·환경적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간에 조절효과를 가질 것이다.

영향 관계 검증 모형의 적합도 평가를 위하여 절대적합지수와 증분적합지수를 이용하였다. 절대적합지수를 살펴보면, 최적 모형 기준에서 모든 지수들이 적합한 것으로 나타나 본 연구 모형은 분석을 위한 최적의 모형이라고 판단된다(<Table 9> 참조). 적합성 검토를 통하여 구축된 연구 모형을 중심으로 각 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하였다. 영향관계 검증에 대한 적합여부는 임계값인 C.R.값(±1.96)과 유의 수준을 나타내는 p값(p<0.05)으로 판단하였다.

Review suitability of research model

먼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분석하였다(<Table 10> 참조).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영향과 환경적 영향은 주민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494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348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사회문화적 영향의 표준화 경로계수는 -0.071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유의확률이 0.44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Impact of luxury fishing village development on residents' support

이는 명품어촌테마마을 조성 시 지역주민들이 인식하는 경제적인 혜택을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는 것을 의미하며, 지역주민 지지도에 있어 경제적 편익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는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특히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것은 보길도, 노화도, 소안도가 도서라는 지리적 특성을 가지고 있어 주민들은 환경 보존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다음으로,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간의 관계에 있어 사업대상지인 보길도 지역주민과 사업대상지와 대교로 연결되어 있는 노화도 지역주민, 대교가 연결되지 않은 소안도 지역주민들 간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지역주민들의 거주지역별로 각각의 모형으로 분리하여 제약모델과 자유모델로 분석한 결과, 적합도 지수에서 제약모델과 자유모델의 NFI값이 0.9 미만으로 나타났으나, IFI, TLI, CFI값이 0.9 이상으로 나타나 모형의 적합성은 수용가능한 것으로 판단하였다(<Table 11> 참조).

Model comparison

자유모델을 살펴보면, 보길도 지역주민의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영향 인식은 주민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2> 참조). 경제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567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430으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Moderating effect in free model

다음으로, 노화도 지역주민의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영향 인식은 주민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700으로 유의수준 0.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소안도 지역주민의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영향 인식은 주민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379로 유의수준 5%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397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약모델에서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영향 인식이 주민 지지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566으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미치는 경로계수는 0.389로 유의수준 1%에서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13> 참조).

Moderating effect in constrained model

이와 같은 분석 결과를 종합하면, 지역주민이 인식하는 경제적 영향은 노화도, 보길도, 소안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하였다. 사회문화적 영향 또한 노화도, 보길도, 소안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환경적 영향은 보길도, 소안도, 노화도 순으로 높게 나타났으며 노화도의 경우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은 사업 대상 지역인 보길도와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는 노화도 지역주민들이 경제적 영향을 크게 인식하고 있었고, 다음으로 사업 대상 지역인 보길도 지역주민, 소안도 지역주민 순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을 통한 환경적 영향에 대해 보길도 지역주민과 소안도 지역주민들은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고, 노화도 지역주민들은 영향계수가 가장 낮으면서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아 도서 지역 간 연도교 개통 여부에 따라 차이가 있다고 할 수 있다.


Ⅳ. 요약 및 결론

본 연구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시범지구로 선정되어 개발 계획을 수립하고 있는 보길도 명품어촌테마마을을 대상으로 지역주민들의 개발에 따른 영향 인식이 주민 지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 지역주민들의 거주 지역이 영향관계에 있어 조절효과를 갖는지 검증하고자 진행하였다. 따라서 관광개발사업에 있어 중요 요인들을 도출하고, 사업대상지로부터의 거리와 위치 등의 공간적 관계의 중요성을 검토하여 원활한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고 분석을 수행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따른 경제적, 환경적 영향 인식은 주민 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주민들이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으로 인하여 지역에 미치는 경제적 혜택과 환경적 개선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을수록 개발에 대해 호의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기존 선행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반면에 사회문화적 영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개발사업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간의 관계에 있어 농촌마을과 어촌마을은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농촌마을 지역주민 연구와 본 연구를 비교하였을 때, 박창규·김혜영(2011)의 연구인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과 농촌관광개발 인식 및 태도 간의 영향관계 연구 결과는 경제적 측면의 긍정적 영향은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문화적, 환경적 측면의 긍정적 영향은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긍정적인 영향이라 할 수 있는 경제적, 환경적 영향이 주민 지지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처럼 농촌마을과 어촌마을 간의 연구 결과에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개발 지역마다 가지고 있는 고유한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셋째, 사업대상지와의 연도교 연결 여부에 따라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에 따른 경제적, 사회문화적, 환경적 영향 인식과 주민 지지도 관계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경제적 영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을수록 보길도, 노화도, 소안도 지역주민들의 지지도가 긍정적이었으며, 표준화 경로계수는 대교로 연결되어 있는 노화도(β=0.570, p=0.000), 보길도(β=0.518, p=0.000), 소안도(β=0.416, p=0.023)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환경적 영향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이 높을수록 보길도, 소안도 지역주민들의 지지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노화도 지역주민들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노화도의 경우 보길도와 다리로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명품어촌테마마을 조성을 통하여 경제적 혜택을 크게 받을 수 있다는 인식이 강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소안도의 경우 연도교 미개통으로 인하여 노화도와 보길도 지역주민에 비하여 경제적 혜택 인식이 다소 작은 것으로 보여진다. 보길도 지역주민의 경제적 영향 인식이 인접 도서인 노화도에 비하여 계수값이 낮게 나타난 이유는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에 대한 경제적 이익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는 인식이 일부 존재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또한 환경적 영향에서는 인접 도서인 소안도 지역주민에 비하여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지역인 보길도의 지역주민들이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에 노화도 지역주민들은 연도교로 연결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게 나타난 것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이 노화도에 환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있었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개발사업 대상지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과 인근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지역주민들 간에는 사업 이전단계부터 관광개발사업에 대한 기대의 차이가 내재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는 심현정(2008)의 연구 결과를 지지하였다.

분석 결과에 기초한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향후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추진 시 지역주민들의 경제적 혜택, 환경 보전 및 관리 등 두 가지 측면에서 개발 방향이 모색되어야 한다. 경제적 및 환경적 영향에 대한 지역주민들의 인식 정도가 높을수록 지지도에 긍정적이라는 결과를 감안하여 주민들의 소득 증가, 고용 창출 등 경제적 혜택을 높여야 하고, 도서 지역에서 발생하는 부정적 측면의 환경 문제를 최소화하고 갯벌이나 어장 등에 대한 보전 관리를 기본으로 하여 어촌테마마을 개발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방식을 선택하여야 한다. 또한 명품어촌테마마을 사업지역 선정 또는 모니터링 시에는 필히 경제적 혜택과 환경 보전 및 관리에 대한 기준에 의하여 진행되어야 한다.

둘째,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추진 시 원활하고 성공적인 사업으로 거듭나기 위해서는 간담회, 공청회, 주민교육 프로그램과 같이 공식적인 모임을 추진하여 경제적 혜택을 극대화하고 환경 훼손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야 한다. 이러한 공식적인 모임은 지역주민들의 지지도를 높여 사업을 성공적으로 추진할 수 있기 때문이다.

셋째, 지역주민들의 관광개발에 따른 영향 인식과 지지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도서 간의 접근성을 높여주는 연도교가 확충되어야 한다. 도서 지역을 대상으로 한 개발사업 추진 시에는 ·주변 지역과의 거리, 접근수단 등을 고려하여야 하고, 이와 더불어 효과적인 지역개발을 위해서는 지역 간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균형적인 개발과 소득 분배를 위한 방안을 모색하여 지역주민 전체의 지지도를 높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와 같이 본 분석 결과는 어촌테마마을 개발로 인하여 발생하는 공공 및 민간 개발주체와 개발대상지역 주민들 간의 갈등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방향을 제시하고, 연륙·연도교에 따른 주민들의 지지도를 파악할 수 있다는 점에 의의가 있으며, 지역별 어촌마을 개발사업 추진 시 개발 지표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이 현재 계획수립 단계 또는 시설 공사 단계에 있기에 일부 지역주민들은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에 대한 정보를 정확하게 인지하지 못하고 있다는 한계가 있다. 향후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 후 다시 지역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분석한다면 사전·사후 비교연구를 통해 새로운 정보가 제공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본 연구가 전라남도 완도군이라는 특정 지역에 한정된 연구이기에 연구결과를 일반화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타 지역의 명품어촌테마마을 개발사업지를 대상으로도 연구가 진행되었으면 하고, 연륙·연도교가 연결되지 않은 지역 간의 지지도 차이를 살펴보는 연구를 진행한다면 본 연구 결과를 일반화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cknowledgments

이 논문은 제1저자의 2019년도 석사학위 논문을 수정·보완하여 작성하였음.

References

  • 강신겸, 2001. “지역사회 애착도가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Gang, S.G., 2001. “The Impact of Community Attachment on the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 강지호, 2010. “어촌관광교육이 지역주민의 행동변화에 미치는 영향”, 동명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Kang, J.H., 2010. “The Effect of the Fishing Village Tourism Education on Behavior Changes of People Living in the Local Resident“,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Tongmyong University.
  • 고동완, 1998. “지역주민의 지각된 관광영향과 지역사회에 대한 태도”,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o. D.W., 1998. “Residents´ Perceived Tourism Impacts and Attitudes toward Host Community“, Ph. D. Dissertation, Greaduate School, Sungkyunkwan University.
  • 고민규, 2007.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과 주민참여 관계: 어촌체험마을을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Go. M.G., 2007, “The Realation Between Residents’ Perception of Tourism Impacts and Residents’ Participation: Focused on the Fishing Village for Experience Tourism“,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 고태호·황경수·김의근·오상훈, 2006. “MRIO 모형을 이용한 관광수요변화 예측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8(3): 155-171.
    Ko, T.H., Hwang, K.S., Kim, E.K., and Oh, S.H., 2006. “A Study on the Forecasting Tourism Demand Change Using MRIO Model“,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8(3): 155-171.
  • 김석출·최영희·김학군, 2006. “안면도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관광객·관광 공무원의 관광영향지각·태도·만족도 차이”, 「관광연구」, 20(3): 1-19.
    Kim, S.C., Choi, Y.H., and Kim, H.K., 2006. “Perception, Attitude and Satisfaction of Local residents, Tourists and Civil Servants toward Anmyundo Tourism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0(3): 1-19.
  • 김성민, 2015. “지역사회 애착도가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관광개발에 대한 인지를 중심으로”,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Kim, S.M., 2015, “The Impact of Community Attachment on the Attitudes of Local Residents in Tourism Development : Focused on the Perception of Tourism Development“, M.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 김정숙, 2004.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과 사회적 특성이 관광개발 유형에 미치는 영향: 역사·문화관광권과 종합휴양관광권 중심으로”, 세종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Kim, J.S., 2004.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on Tourism Impacts and Socio-Characteristics on Type of Tourism Development: Historic and Cultural Tourism Circle & Total Recreational Tourism Circle“,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Sejong University.
  • 김주진·정봉현·신우진, 2017. “관광개발사업의 인지성이 배후지역주민의 태도에 미치는 영향: 무안군 생태갯벌유원지를 사례로”, 「한국지역개발학회지」, 29(5): 73-90.
    Kim, J.J., Jeong, B.H., and Shin, W.J., 2017. “The Impact of Perceptions of Tourism Development Project on the Attitudes of Residents in a Case of Muan-gun Ecology Tidal Flat Amusement Park”,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Development Association, 29(5): 73-90.
  • 김준, 2006. “관광 콘텐츠로서 어촌의 문화자원 연구”, 「도서문화」, 28: 347-378.
    Kim, J., 2006. “Investigate Culture Resources as Tour Contents“, Journal of the Island Culture, 28: 347-378.
  • 김태헌·박숙진, 2011. “지역경제 활성화를 위한 관광자원개발과 관광정책의 역할”,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1(5): 403-412.
    Kim, T.H. and Park, S.J., 2011, “Tourism Resource Development for the Activation of Regional Economic and the Roll of Tourism Policy“, The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1(5): 403-412. [ https://doi.org/10.5392/JKCA.2011.11.5.403 ]
  • 김혜영·류시영, 2009. “해양관광지 개발에 따른 영향지각이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연구”, 「관광연구저널」, 23(2): 21-36.
    Kim, H.Y. and Ryu, S.Y., 2009. “The Local Residents’ Study for Influence Perceptions on Marine Attractions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Tourism and Hospitality Research, 23(2): 21-36.
  • 문현철, 2017. “사회교환이론에 따른 제주도 지역주민의 관광영향 인식이 지속적 관광개발 지지의사에 미치는 영향: 지역애착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석사학위논문.
    Moon, H.C., 2017. “A Study on the Effects of the Residents’ Perception toward Tourism Development on Willingness to Support: A Focus on a Moderating Effect of Attachment“, M.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yunghee University.
  • 박대환·이양희, 2017. “어촌체험마을의 환경특성과 체험프로그램이 관광객 만족에 미치는 영향”, 「관광레저연구」, 29(2): 205-222.
    Park, D.H. and Lee, Y.H., 2017. “The Effect of Experience Program, Satisfaction for Visitors and Environmental Characteristics to Fishing Experience Village – Focused on Gong-Su Village in Gijang-Gun –”,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29(2): 205-222.
  • 박인규·전희원, 2013. “농산촌 수변공간 관광개발이 주민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천시 부항댐 수변공간 관광개발 지역을 중심으로”, 「동북아관광연구」, 9(4): 131-150.
    Park, I.K. and Jun, H.W., 2013. “A study on the Influence to the Attitude of Residents by Benefits of Developing Waterfront Area for Tourism in Farming and Mountain Villages: Centered in Developing Buhang Dam, Gimcheon Waterfront Area for Tourism“,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9(4): 131-150.
  • 박창규·김혜영, 2011. “지역주민의 농촌마을종합개발사업에 대한 인식이 농촌관광개발 인식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지리학회지」, 14(3): 419-436.
    Park, C.K. and Kim, H.Y., 2011. “The Influence on Residents` Recognition and Attitude on Their Farm Village Development in a Comprehensive Rural Village Development Project“, Journal of the Economic Geographical Society of Korea, 14(3): 419-436. [ https://doi.org/10.23841/egsk.2011.14.3.419 ]
  • 배태안, 2013. “지역사회 애착도가 농촌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녹색농촌체험마을을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Bae, T.A., 2013. “The Impact of Community Attachment on the Attitudes toward Rural Tourism Development: Focused on Green Tourist Villages”,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 송지준, 2019. 「송지준 교수의 논문통계의 이해와 적용」, 경기: 도서출판 21세기사.
    Song, J.J., 2019. 「Professor Song Ji Joon’s Understanding and Application of Thesis Statistics」, Gyeonggi: 21st Century History of Book Publishing.
  • 심승희, 2013. “도서 정책 중심으로 본 근대 이후 우리나라 도서 지역의 변화”, 「문화역사지리」, 25(1): 63-85.
    Shim, S.H., 2013. “The Changes of Islands Regions Driven by Island Policies in Korea Since Modern Times“, Journal of Cultural and Historical Geography, 25(1): 63-85.
  • 심현정, 2008. “관광개발지역으로부터의 거리가 지역주민 태도에 미치는 영향: 충남 태안 관광·레저형 기업도시 개발예정지를 대상으로”, 한양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Shim, H.J., 2008. “The Distance effects on the Resident’s Attitudes in Tourism Development Area: Based on the Tourism·Leisure Company City Development Proposed Area in Chung-Nam Taean”,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 양승필, 2012. “생태관광 개발에 대한 지역주민의 인식 영향요인, 지각된 혜택, 개발 지지도, 참여의도간의 관계 연구”, 「관광연구」, 27(2): 319-339.
    Yang, S.P., 2012.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of Residents’ Perceptions, Perceived Benefits, Development Supports and Intentions to Participate toward Eco-tourism Development”,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7(2): 319-339.
  • 양승필·서용건, 2015. “관광개발에 대한 갈등요인, 갈등수준, 주민협력 및 개발 지지도간 영향 연구: 제주지역 카지노 관광개발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30(2): 309-329.
    Yang, S.P. and Suh, Y.K., 2015. “Relationships among Conflict Factor & Level, Residents’ Cooperation &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Focused on Casino Development in Jeju“,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30(2): 309-329.
  • 윤병훈·남진, 2014. “구조방정식을 활용한 개발밀도 영향요인간 상호작용 분석”,「국토계획」, 49(7): 81-96.
    Yun, B.H. and Nam, J., 2014. “An Analysis on Interaction of Factors Affecting Development Densit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 Journal of Korea Planning Association, 49(7): 81-96. [ https://doi.org/10.17208/jkpa.2014.11.49.7.81 ]
  • 윤설민·박창규·이충기, 2013. “여수엑스포에 대한 관광영향, 혜택 및 지지도 간 영향관계 연구: 지역주민의 사전-사후조사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37(9): 207-229.
    Yoon, S.M., Park, C.K., and Lee, C.K., 2013. “A Study on the Relationships among Tourism Impact, Benefit, and Support toward the Yeosu Expo: Focusing on the Pre- and Post-Survey of Local Resident“, Journal of Tourism Sciences, 37(9): 309-329.
  • 이경현, 2012. “완도군 보길도의 지역정체성 형성과정과 특성”,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G.H., 2012. “Formation Process and Characteristics of Regional Identity in Bogildo, Wando-gun“,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Chonnam National University.
  • 이광표, 2014. “커뮤니티비즈니스형 어촌관광사업의 영향 인식과 지지도 관계분석: 논골담길 공공미술과 어촌체험마을 비교”, 강릉원주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Lee, K.P., 2014. “An Analysi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ption of Impacts and Support Level related in Fishing Village Tourism as Community Business: Based on the Comparison of Nongoldamgil’s Public Art with Fishing Experience Village“,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Gangne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이수호, 2017. “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태도와 지지 연구”, 경기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Lee, S.H., 2017. “Local Residents’ Attitudes and Support Toward Tourism Development“, Ph. D.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Kyonggi University.
  • 이승우·박상우·고민규·윤영준, 2015. 「도서·어촌 마을의 변화 실태와 정책 방향」, 나주: 한국농촌경제연구원.
    Lee, S.W., Park, S.W., Go, M.G., and Yoon, Y.J., 2015. Changes and Policy Directions of Island and Fishing Villages, Naju: Korea Rural Economic Institute.
  • 이승우·홍장원·이윤정, 2008. 「어촌관광을 통한 어촌 활성화 방안」,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Lee, S.W., Hong, J.W., and Lee, Y.J., 2008. Tourism as a Way to Revitalize Fishing Villages, Seoul: Korea Maritime Institute.
  • 이용학, 2015. “지역관광개발 영향에 대한 사회표상별 주민태도 연구: 강원도 춘천시 지역주민을 중심으로”,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Lee, Y.H., 2015. “Residents’ Attitude based on Social Representation about Influence of Regional Tourism Development: Focusing on Residents of Chuncheon-si, Gangwon-do“,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University of Seoul.
  • 이후석, 2011. “지역주민의 지역애착 수준별 농촌 관광영향 인식과 관광개발태도 관계 분석”, 「관광연구저널」, 25(5): 29-45.
    Lee, H.S., 2011. “Analysis of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Their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according to the Level of Community Attachment“,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5(5): 29-45.
  • 임화순·고계성, 2012.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지역주민 인식이 태도 및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동북아관광연구」, 8(1): 123-139.
    Lim, H.S. and Ko, K.S., 2012. “Residents’ Perception, Attitude, and Support toward Marine Tourist Destination Development“, Northeast Asia Tourism Research, 8(1): 123-139.
  • 장준호, 2012. “관광개발영향에 대한 지역주민태도 차이 연구: 인근·비인근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 27(3): 337-355.
    Jang, J.H., 2012. “A Study on Differences of Residents` Attitudes toward Tourism Development Impacts: Focused on Nearby Residents and Far-Off Residents“,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7(3): 337-355.
  • 정석중·이미혜, 2004. 「해양관광론」, 서울: 대왕사.
    Jeong, S.J. and Lee, M.H., 2004. The Theory of Marine Tourism, Seoul: Daewangsa.
  • 정선호·서동기, 2016. “회귀분석을 이용한 매개된 조절효과와 조절된 매개효과 검증방법”,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5(1): 257-282.
    Jung, S.H. and Seo, D.G., 2016. “Assessing Mediated Moderation and Moderated Mediation : Guidelines and Empirical Illustration”, The Korean Journal of Psychology: General, 35(1): 257-282. [ https://doi.org/10.22257/kjp.2016.03.35.1.257 ]
  • 정성문·양창환·강신겸, 2016. “슬로시티 관광자원화 사업에 대한 지역주민의 태도: 슬로시티 청산도를 중심으로”, 「관광학연구」, 40(7): 149-163.
    Jung, S.M., Yang, C.H., and Kang, S.K., 2016. “The Attitude of Local Residents Toward the Slow City Project in Terms of Tourism Resources: Based on Chungsando Island, a Slow City in Korea”, Journal of Tourism Sciences, 40(7): 149-163. [ https://doi.org/10.17086/JTS.2016.40.7.149.163 ]
  • 정유준·이주형, 2013. “지역관광브랜드 개발유형에 따른 편익이 개발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 강릉시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관광연구저널」, 27(4): 171-191.
    Jeong, Y.J. and Lee, J.H., 2013. “The Effect of Benefits According to Types of Regional Tourism Brand’s Development on the Supports for Its Development: Focus on the Residents in Gangneung City“, Kor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27(4): 171-191.
  • 조광익·김남조, 2002.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 효과 분석”, 「관광학연구」, 26(2): 31-51.
    Cho, K.I. and Kim, N.J., 2002. “Structural Equation Analysis of Resident Attitudes to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ourism Sciences, 26(2): 31-51.
  • 조명환·양봉석, 2004. “문화관광지 개발에 대한 김해시 지역주민의 관광영향지각, 관광태도, 관광지원에 관한 연구”, 「관광레저연구」, 16(2): 9-27.
    Cho, M.H. and Yang, B.S., 2004. “A Study on Residents’ Perceptions of Impacts, Attitudes and Supports for Development of Culture Tourism Destination in Gimhae City“, Journal of Tourism and Leisure Research, 16(2): 9-27.
  • 채단, 2006. “관광영향 인식 및 태도가 개발유형에 미치는 영향: 무안군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목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Cai, D., 2006. “A Study on the Influence of Resident's Perceptions on Tourism Impacts and Type of Tourism Development: Based on the Inhabitants in Muan“, M. S. Dissertation, Graduate School, Mokpo National University.
  • 채서일, 2005. 「사회과학조사방법론 제3판」, 서울: 비앤엠북스.
    Chae, S.I., 2005. Social Science Research Methods (3rd edition), Seoul: B&M Books.
  • 최자은·박은경, 2018. “관광개발영향이 지역주민의 만족도와 삶에 대한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동해안권 광역관광개발사업 대상 지역의 주민들을 중심으로”, 「관광연구」, 43(1): 255-273.
    Choi, J.E. and Park, E.K., 2018. “Influence of Tourism Development Impact on Local Resident‘s Satisfaction and Life Satisfaction -Focused on the Residents of Regions Where Have Been Promoted Tourism Development in Eastern Coast of Korea-”, Tourism Research, 43(1): 255-273. [ https://doi.org/10.32780/ktidoi.2018.43.1.255 ]
  • 해양수산부, 2014. 「제2차 해양관광진흥기본계획」, 세종.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4. 2nd Marine Tourism Promotion Basic Plan, Sejong.
  • 해양수산부, 2017. 「2017년 주요 업무 추진계획」, 세종.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2017. 2017 Main Business Promotion Plan, Sejong.
  • 허준, 2013. 「허준의 쉽게 따라하는 AMOS 구조방정식 모형: 기초편」, 서울: 한나래아카데미.
    Heo, J., 2013. Heo Jun’s Easy-to-Follow Amos Structural Equation Model: Basic Edition, Seoul: Hannarae Academy.
  • 홍장원·최승담, 2008. “어촌체험마을조성사업의 평가와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관광연구논총」, 20(2): 65-85.
    Hong, J.W. and Choi, S.D., 2008. “How to Enhance Tourism Fishing Village Policy: Evaluation and New Directions“, Journal of Tourism Studies, 20(2): 65-85.
  • 황경후·송상헌·정철, 2016. “해양관광개발에 대한 영향 인식과 효과인식이 지역애착과 개발지지에 미치는 영향”, 「관광연구논총」, 28(1): 105-132.
    Hwang, K.H., Song, S.H., and Jeong, C., 2016. “Influence Analysis of Community Resident Support for Marine Tourism Development“, Journal of Tourism Studies, 28(1): 105-132.
  • 황기형·이승우, 2000. 「주민참여에 의한 어촌관광개발 활성화 방안 연구」, 서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Hwang, K.H. and. Lee, S.W., 2000. A Study on the Revitalization of Fishing Village Development by Participation, Seoul: Korea Maritime Institute.
  • Belisle, F.J. and Hoy, D.R., 1980. “The Perceived Impact of Tourism by Residents: A Case Study in Santa Marta, Colombia”, Annals of Tourism Research, 7(1): 83-101. [https://doi.org/10.1016/S0160-7383(80)80008-9]
  • Brougham, J.E. and Butler, R.W., 1981. “A Segmentation Analysis of Resident Attitudes to the Social Impact of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8(4): 569-590. [https://doi.org/10.1016/0160-7383(81)90042-6]
  • Colquitt, J.A. and Zapata-Phelan, C.P., 2007. “Trends in theory building and theory testing: A five-decade study of the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50(6): 1281-1303. [https://doi.org/10.5465/amj.2007.28165855]
  • Lee, C.K. and Back, K.J., 2006. “Examining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Perceived Impact, Benefit, and Support for Casino Development Based on 4 Year Longitudinal Data”, Tourism Management, 27(3): 466-480. [https://doi.org/10.1016/j.tourman.2004.11.009]
  • Liu, J.C., Sheldon, P.J., and Var, T., 1987. “Resident Perception of the Environmental Impacts of Tourism”, Annals of Tourism Research, 14(1): 17-37. [https://doi.org/10.1016/0160-7383(87)90045-4]
  • Long, P.H. and Kayat, K., 2011. “Residents’ Perceptions of Tourism Impact and Their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The Case Study of Cuc Phuong National Park, Ninh Binh Province, Vietnam”, European Journal of Tourism Research, 4(2): 123-146.
  • Milman, A. and Pizam, A., 1988. “Social Impacts of Tourism on Central Florida”, Annals of Tourism Research, 15(2): 191-204. [https://doi.org/10.1016/0160-7383(88)90082-5]

Figure 1.

Figure 1.
Research area

Figure 2.

Figure 2.
SEM for influence relationship verification

Table 1.

Research area and the number of samples

Table 2.

Question on the impact of developing luxury fishing village

Table 3.

Question on the residents' support for tourism development

Table 4.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survey respondents

Table 5.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of measured variables (min 1, max 5)

Table 6.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n the impact of developing luxury fishing villages

Table 7.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of residents’ support

Table 8.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of the model

Table 9.

Review suitability of research model

Table 10.

Impact of luxury fishing village development on residents' support

Table 11.

Model comparison

Table 12.

Moderating effect in free model

Table 13.

Moderating effect in constrained model